View : 669 Download: 0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의 교우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Title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의 교우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er Relationship of Dance Major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Life in Arts High School
Authors
이소연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본 연구는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의 교우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가 일반적 배경, 즉 전공형태, 학년, 무용경력, 거주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교우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는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예술고등학교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의 원만한 교우관계 형성과 만족스러운 학교생활에 도움을 주며, 학생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전반적인 학교생활지도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316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의 일반적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전공형태, 학년, 무용경력, 거주형태에 따라 교우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교우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의 일반적 배경(전공형태, 학년, 무용경력, 거주형태)에서 전공형태에 따른 교우관계 수준은 현대무용, 발레, 한국무용의 전공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학년에 따른 교우관계 수준은 3학년, 1학년, 2학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무용경력에 따른 교우관계 수준은 3년 미만, 6년 이상, 3-6년 미만의 경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거주형태에 따른 교우관계 수준은 집에서 학교를 통학하는 학생이 하숙이나 자취를 하는 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의 일반적 배경(전공형태, 학년, 무용경력, 거주형태)에서 전공형태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은 발레, 현대무용, 한국무용의 전공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은 3학년, 1학년, 2학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용경력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은 6년 이상, 3-6년 미만, 3년 미만의 경력 순으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거주형태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은 집에서 학교를 통학하는 학생이 하숙이나 자취를 하는 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의 전체적인 교우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교우관계가 좋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우관계 하위 요인과 학교생활만족도 하위 요인 간에도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은 자신의 전공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원만한 교우관계를 형성하여 친구들과 함께 연습하고, 노력하며 목표를 향해 발전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긍정적이며 만족스러운 학교생활을 지속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lationship of the students in arts high school, who major in dance and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with the school life based on their general background information, which are form of major, academic year, dance career and form of residence. It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peer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life, in order to improve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 school lives of the students in arts high school, and to provide the data for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and their overall guida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dance majors in arts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fter conducting the survey, the answer sheets from 316 respondents were analyzed.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make a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find out their general background, and t-test and ANOVA were employed to see if the form of major, academic year, dance career and the form of residence mad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peer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lif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procedures were utilized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peer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life.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general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dance majors, the peer relationship level according to the form of major was in the order of modern dance, ballet, and traditional Korean dance, but it did not mak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peer relationship level according to academic year was in the order of junior, freshman, and sophomore. This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peer relationship level according to dance career was in the order of below 3 years, above 6 years, and between 3 and 6 years, but it did not mak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Moreover, the students who live with their parents showed higher peer relationship level than the students who live by themselves. This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in the general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dance majors in arts high school,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ccording to the form of major was in the order of ballet, modern dance, and traditional Korean dance, but it did not mak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ccording to academic year was in the order of junior, freshman, and sophomore. This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students' satisfaction according to dance career was in the order of above 6 years, between 3 and 6 years, and less than 3 years. This also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Moreover, the students who live with their parents hav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fe than the students who live by themselve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er relationship level and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with their school life. The students who have better peer relationship have more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fe.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of the peer relationship and sub-factors of the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life. Overall, the results above suggest that the dance majors in arts high school are able to acquire more positive and satisfactory life at school by setting up goals about their major in detail, having good relationship and sharing worries with their classmates, and trying hard to achieve their go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