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중-
dc.contributor.author유진이-
dc.creator유진이-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5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536-
dc.description.abstract최근 들어 도시환경은 괄목할 만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는 어떻게 변화해가는 것이 바람직한지, 도시공간은 어떻게 설계하고 개선해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도 많은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이 변화 중 특히 도시공간 계획에 있어 중요시되어온 ʻ장소(place)ʼ라는 개념은 그 중요성이 약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공간디자인에 나타난 개념의 ʻ장소ʼ는 근대에 잊혀졌던 환경과 인간의 관계를 새롭게 구축하는 주요 개념이다. 하지만 공간디자인의 시작이 땅이라는 특정 장소에서 시작된 이래 장소성의 개념은 하나의 표준화된 형태가 모든 형식의 공간에 적용됨으로써 도시환경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였다. 또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과 방법이 새롭게 등장하고 세계화가 빠른 속도와 강도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적 특성을 강조하는 ʻ장소ʼ에 대한 중요성은 약해지고 있는 것이다. 본래 장소성은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피상적으로 해석될 경우 환경의 혼돈이라는 위험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위험은 도시 변화의 흐름을 이해하고 공간에 대한 근원적인 접근으로 장소의 흔적과 기억, 지각-인지를 통한 경험의 흐름이 반영된 개념의 계획이어야 좋은 장소가 만들어진다. 본 연구는 도시의 변화에 발전되고 있는 장소성의 개념을 우리 도시공간에서 이해하고, 그 특성을 고찰하여 장소성 개념을 구축하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현대 도시의 유동적 환경에 대응하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크게 장소성의 이론적 고찰과 도시공간의 변화에 따라 주요 개념으로 적용되는 장소성을 사례분석을 통해 봄으로서 의미 있는 환경의 창출에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이 연구 하였다. 1. 새로운 관점으로서 현대 도시와 장소의 상호 관련성을 이해하고, 도시의 공간디자인에 있어 인간과 환경의 관계로서의 공간 개념인 ‘실존적 공간’개념을 통해 장소성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요소들을 지각­인지에 의한 물리적 측면, 인간 행태의 측면, 의미적 측면의 세 가지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2. 도시에서 추상적이고 유동적인 공간이 실존적이고 구체적인 장소로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서 새롭게 나타나는 장소의 개념과 구조를 사례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3. 장소성을 구성하는 물리적 구성요소, 행태적 구성요소, 의미적 구성요소 세 가지 각각의 개념을 개념 언어와 형태 언어로 도출하여 디자인 문제 해결의 근거로 삼았다. 4. 도출된 개념 언어와 형태 언어 그리고, 대상지의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문화적 상징화로써 장소성을 구축한 디자인 모형사례를 제시하였다. 도시환경은 문화와 주변 환경에 대한 대응이면서 동시에 부분이어야 하며, 지역·장소들의 물리적 상징을 제공하고 대지와 자연이 연결 되어야 한다. 따라서 위 연구는 도시에서 인간 환경의 정체성 확보를 위해 장소성 구축의 조건으로 지각­인지에 의한 물리적 조건과 인간 행태적 조건, 이에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의미 있는 장소로서 구축이 실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Urban environments have shown notable improvement in the recent years. Naturally, ideas regarding the directionality of such changes and ways how urban environments should be designed and reformed have also undergone noticeable developments. Especially, the concept of “place,” a key component in the realm of urban planning, has been losing its hold. “Place” in urban planning is a central concept that redefines the interrelations between environment and the human race, which has been rather obscured throughout the developmental stages in the modern era. However, ever since its inception from concrete spatiality, the concept of place has failed to respond to certain changes in the urban environment, due to its innat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standardized formalities to various forms of different spaces. Also, with the advent of new communication methods and overall globalization picking up its pace, the emphasis on “place” based on local specifications have been constantly challenged. As spatiality consists of a wide variety of components, superficial interpretation may entail the confusion of incompatible environmental elements. This risk may be avoided by grounding the basic concept of the design in contextual experiences that incorporate perception and cognition as well as traces and memories of given places, through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flows in urban changes that allow a fundamental approach to each and every space. This study proposes the possibility of newly establishing spatiality by understanding the concept within the context of our immediate surroundings and observing its characteristics, with the aim of seeking effective responses to the fluidity of modern urban environments. Under the ultimate objective of creating a meaningful environment, this study utilizes theoretical tools to examine the spatiality concept, and presents case studies that demonstrate the actual application of spatiality to urban changes in the following sequence. 1. Observe new perspectives in view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modern urban environments and spatiality, and examine the elements required for realizing spatiality through the “existential space” concept –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environment – based on three categories: physical perspective based on sense perception, human behavior, and theoretical significance. 2. Examine the newly rising concept and structure of “place” through case studies, focusing on how abstract and mobile spatiality transforms into existential and concrete places in the urban environment. 3. Model the physical, behavioral, and semantic components of spatiality in the forms of the conceptual and formal languages, which may serve as the basic foundation for resolving issues that hinder productive urban designs. 4. Present examples of design models that formulate spatiality through the above mentioned conceptual and formal languages and cultural symbolism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pecific places in the target area. Urban environments must simultaneously function as a response to and a part of the culture and environment and become the physical symbols of concrete locations, in the process of which land and Nature interconnect. In this light, this study may open up new channels for realizing meaningful spaces by endowing actual places with physical and behavioral conditions as well a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as a way of securing humanitarian foundations within the urban environm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 2 C. 연구 흐름도 = 4 Ⅱ. 도시의 장소성 개념과 인식체계 = 5 A. 도시공간 개념의 재인식 = 5 1. 도시공간의 의미 = 5 2. 도시공간의 변화 = 7 B. 장소성 개념 및 인식체계 = 9 1. 장소의 개념 = 9 2. 공간의 장소화 = 10 3. 장소의 구조 = 12 4. 장소 체험에 의한 장소성 획득과정 = 14 C. 소결­?도시의 장소성?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 = 16 Ⅲ. 지각­인지에 의한 장소성 공간구성 요소 = 17 A. 인간행태와 환경의 지각­인지 = 17 1. 인간 주변의 공간 = 17 2. 환경의 지각 및 인지 = 18 B. 장소성 공간 구성요소 = 20 1. 물리적 구성요소와 지각­인지 = 21 2. 행태적 구성요소와 지각­인지 = 31 3. 의미적 구성요소와 지각­인지 = 37 C. 사례 연구의 종합 = 40 D. 소결 = 42 Ⅳ. 장소성 개념을 적용한 공간디자인 = 43 A. 사례연구 대상으로서의 도시 공원 = 43 B. 디자인 개요 = 45 C. 대상지 분석 단계 = 46 1. 대상지 선정 = 46 2. 대상지 현황 및 분석 = 47 D. 디자인 과정 = 51 1. 디자인 개념 설정 및 개념의 시각화 = 51 2. 디자인 적용 = 53 3. 디자인 최종안 = 54 E. 디자인 종합평가 및 제안 = 59 Ⅴ. 결론 및 제언 = 60 참고문헌 = 62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171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도시의 장소성 구축을 위한 공간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Space Design for Establish Placeness in the Metropolis-
dc.creator.othernameYoo, Jin Yi-
dc.format.pageⅹ,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