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윤제민-
dc.creator윤제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7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79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매체의 본질을 학생들이 제대로 이해하고 나아가 매체를 선택하고 활용할 줄 아는 주체적인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매체 문식성 중에서도 영상 텍스트가 주가 되는 광고와 뮤직비디오를 활용함으로써 영상 매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영상 매체 문식성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요즘 대부분의 학생들은 취학 이전부터 빈번하게 시청각 매체를 접해왔고 그것이 전하는 문화, 코드와 관련된 무제한의 내용을 일방적으로 전달받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올바른 영상 매체 문식성 교육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매체 교육과 관련하여 주목받는 키워드는 매체 문식성이다. 매체 문식성은 컴퓨터 리터러시, 경제 리터러시, 그리고 감정적 리터러시와 같이 유행처럼 사용된다(이희복, 2008). 영상 매체 문식성 교육이라고 한 것은 매체와 교육의 중요성이 동등하다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 매체 텍스트의 주를 이루는 광고와 뮤직비디오가 도구적 성격에 머무르지 않고 매체에 대한 학습을 통해 매체 문식성 능력 배양에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함이다. 매체 문식성 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은 텍스트의 비판적 읽기를 통해 내용을 분석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창의적 쓰기 과정을 통해 제작과정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읽기와 분석, 쓰기와 제작, 분석과 쓰기, 제작과 읽기 등이 유기적으로 순환될 수 있다. 즉 매체 문식성은 교육 전 과정에서 통합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또한 매체에 대한 이해와 비판, 감상과 수용, 창조적 활용까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성숙한 수용자의 역할은 물론 창작의 입장도 경험하게 된다. 영상 매체 문식성 교육은 정보의 내용을 학습의 대상으로 하여 매체의 특성과 기법에 주목하면서도 제작 프로세스도 함께 음미해야만 매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고, 동시에 주체적인 매체 비평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매체 문식성 교육은 매체 본질에 대한 이해와 매체 비평 교육, 매체 감상 교육, 매체 활용 교육, 더 나아가서는 매체의 생산 등의 개념을 모두 포괄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논문은 영상 매체 문식성을 활용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이미 정규과목으로 매체 문식성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국외의 수업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연구한 사례를 바탕으로 영상 매체 문식성을 위한 국어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매체 문식성 관련 교육에서 수정·보완되어야 할 사항을 검토하고 나아가야 할 매체 문식성 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광고와 뮤직비디오의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우선 각 매체의 특성을 분석 하였고 영상 텍스트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각각 메시지와 이야기(인물, 사건, 배경)의 확인과 구성, 이미지의 활용과 분위기(정서)의 흐름, 영상 문법의 인식, 사회·문화적 맥락의 파악 이렇게 4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검토 후 감상하기→ 핵심 모티프로서의 극적 장면 포착하기→ 비판적으로 수용하기(외연 분석과 내포분석으로 분석)→ 제작해보기→ 평가하기’와 같은 교수학습 모형이 도출되었다. 도출 된 교수학습 모형을 단계별로 구체화 된 방향성을 제시하고 학교 현장에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nd provide the teaching model which can help students to foster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commercials and music videos that I believe the most influential ones among media texts students can encounter in their everyday life. As pointed out in many thesis dealing with this issue, most students have been exposed to visual images even before they learn how to speak and write, which might contribute to more sensitive susceptibility of students, to visionary images. This thesis puts its focus on commercials and music videos in which, I believe, visionary images are closely incorporated than any other media texts. Keeping the important roles of visionary images played by in commercials and music videos in minds, it would be highly desirable to start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model with commercials and music videos. To analyze this kind of visual phenomena, this thesis employs "visual media literacy" as a conceptual framework. The visual media literacy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audio-visual education' in that media literacy does not occupy central themes, but materials involving visionary images e.g., TV, video slides, are merely used as an auxiliary means of education, and also, the 'computer literacy' which aims to teach how to handle computer. An education of the visual media literacy focuses on the idiosyncrasy of media itself, and by analysing techniques and processes used in making visual media, tries to broaden the scope of understanding of students in dealing with visually saturated environment around them. In this sense, education of the visual media literacy should include various aspects of education, that is, how to criticize, appreciate, and make use of visual media in real life. To develop an adequate teaching model which can satisfy the needs specified above, this thesis analysed the characters of each media in the respect of story(it is consisted of figures, events and background), image grammar, socio-cultural context, and based on that, explored the educational applicability of each media. As a result of this process,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the teaching model whose structure is as follows: Appreciation → Discerning main motifs → Understanding the media in a critical manner → remaking the media in his/her own way → Evaluation of whole processes. And to each stages, concrete guidelines readily applicable to actual visual media literacy classes in school, are accompanied. The contribution of this thesis lies in that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music videos, and to construct teaching model on that analysis. In constructing a teaching model, I believe, it is most important to choose relevant kind among various modus vivendi of visual media, which can represent duly current trends most influential to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사 검토 = 4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10 Ⅱ. 영상 매체 문식성의 이론적 검토 = 12 A. 영상 매체 문식성의 이론적 검토 = 12 1. 영상 매체 문식성, 비주얼 텍스트의 개념 = 12 2. 해외의 영상 매체 교육에 대한 검토 = 13 B. 영상 매체 문식성의 국어교육학적 의의 = 28 1. 영상 매체 문식성과 국어과 교육의 상호성 = 28 2.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검토 = 29 Ⅲ. 광고와 뮤직비디오 영상 매체 텍스트의 특성 및 교수·학습 = 39 A. 광고와 뮤직비디오의 이해 및 비주얼 텍스트의 특성 = 39 1. 광고의 이해 및 비주얼 텍스트의 특성 = 39 2. 뮤직비디오의 이해 및 비주얼 텍스트의 특성 = 43 B. 비주얼 광고와 뮤직비디오 텍스트의 교수·학습 = 47 1. 비주얼 광고 텍스트의 교수·학습 = 47 가. 메시지의 확인과 구성 = 48 나. 이미지의 활용 = 52 다. 영상 문법의 인식 = 55 라. 사회·문화적 맥락의 파악 = 58 2. 뮤직비디오 비주얼 텍스트의 교수·학습 = 64 가. 이야기의 확인과 구성 = 64 나. 분위기(정서)의 흐름 = 66 다. 영상 문법의 인식 = 69 라. 사회·문화적 맥락의 파악 = 76 Ⅳ. 영상 매체 문식성 교수·학습 적용 방안 = 79 A. 비주얼 텍스트의 국어교육적 적용 = 79 1. 감상하기 = 79 2. 핵심 모티프로서의 극적 장면 포착하기 = 80 3. 비판적으로 수용하기 = 81 가. 외연 분석 = 81 나. 내포 분석 = 82 4. 제작해보기 = 83 5. 평가하기 = 85 B. 비주얼 텍스트를 통한 매체교육의 확장 방안 = 88 Ⅴ. 결론 = 91 참고문헌 = 93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146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뮤직비디오와 광고를 중심으로 한 영상 매체 문식성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aching Media Literacy Focused on Music videos and TV Advertisements-
dc.creator.othernameYoon, Je Min-
dc.format.pageⅹ,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