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수용과 창작을 통한 내면화 지도 연구

Title
수용과 창작을 통한 내면화 지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eaching of internalization by acceptance and creation : focused on
Authors
박진영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나은진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독자가 ‘내면화’체험을 경험할 수 있게 함을 지향한다. 내면화 경험은 현행 문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로 설정되어는 있지만, 그에 도달하고자 하는 현장의 실천적인 노력은 극히 부족해 보이는 바, 본고가 문학교육의 그 잃어버린 본질을 되찾아 가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고에서의 내면화 개념을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내면화란 학습독자가 자기 삶의 영역 안에 텍스트를 끌어들여, 텍스트와의 소통을 능동적으로 주도하고, 그런 과정 속에서 자신의 삶의 구조를 성찰하여 변형시키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는 과정을 일컫는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내면화 과정의 특성에 주목하여, 학습독자의 개별적 삶과 텍스트가 구안하고 있는 삶이 대등하게 만날 수 있는 경험의 장을 마련해 줌으로써 학습독자들이 텍스트와의 의미 있는 소통을 통한 내면화 과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것은 개인적 차원의 문학 수용과 창작의 과정을 통해 가능하리라본다. 즉, 일반적으로 문학수업에서 행해지는 수용과 창작은 외부의 조건과 의도에 의한 수동적인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학습독자들에게 텍스트를 사회적 담론으로 인식하게 하였던 것이고, 이런 맥락 속에서 학습독자들은 온전하게 자신의 독서 경험을 소통과정에서 드러낼 수 없었다. 그렇기에 사회적 차원에서만 머물렀던 텍스트의 위치를 개인적 차원의 담론으로 인지하게 하고, 온전한 학습독자의 모습으로 소통하게 하고자 한다. 그럴 때 비로소 학습독자의 내면화는 시작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개인적 차원의 소통이 바로 내면화 과정의 필수적 전제조건이 되는 것이다. 그런 개인적 차원의 소통 속에서 학습독자는 비로소 이전의 수동적인 ‘감상자’가 아닌,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수용자’가 되고, 그럼으로써 학습독자는 능동적으로 텍스트를 자신의 삶 속에서 가치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내면화 지도를 위한 ‘개인적 차원의 수용과 창작의 과정’을 본고의 가장 핵심적인 개념으로 재규정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독자가 수용자로서 텍스트 속에서의 인물의 삶을 하나의 경험으로서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그 간접경험 속에 자신의 삶의 구조를 성찰해 나가는 그 모든 과정이다. 좀 더 구체화하자면, 수용이란 작품을 자신의 삶 속에서 받아들이고, 그 과정 속에서 자신의 삶을 성찰하여 변형시키는 과정이고, 창작이란 이러한 수용된 내면적 결과물을 표현하여 좀 더 분명하게 정리하고자 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본고의 논의의 진행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정리될 수 있다. Ⅱ장에서는 우선, 본 연구의 기본적 관점과 전제들에 대한 정리가 이루어질 것이다. 즉, 본고에서 지향하는 내면화 과정을 학습독자들이 체험하기 위해서, 전제되어야 할 소통장면의 설정이 이루어진다. Ⅲ장에서는, 위의 전제들을 바탕으로, 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고 본격적으로 내면화를 지향하는 수용과 창작의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실체를 구안하게 된다. 우선 내면화 지도를 위한 수용과 창작의 과정과 원리를 설계한다. 그런 다음 그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좀 더 구체적인 실체로서 교수․학습모형의 구안까지 나아간다. 다음으로 Ⅳ장에서는 좀 더 실제적인 양상의 결과를 보여주게 된다. 3장에서의 내면화 지도방안을 구체적인 <소나기>의 서사텍스트에 적용시켜 교수․학습의 구체적인 양상을 보여주고, 그를 중학교 학습독자에게 실험하여 본 연구의 모형의 효과성과 가치를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결론을 통해, 본고에서 논의된 것들의 가치와 이후의 교육의 방향에 대해 제시게 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hat learned readers can experience 'internalization'. Experience of internalization is set as ultimate objective of current literary education, but practical effort for reaching that is extremely inadequate, thus this study is of help to regain the lost nature of literary education. Arranged idea of internalization in this study is as follows. Internalization is a process that a learned reader draws a text in his/her territory of life, leads actively communication with the text, in this course considers his/her structure of life and transforms it and has developed into a positive direction. This study takes notice of characteristics in this process of internalization, learned readers experience a process of internalization by meaningful communication with a text, as given place of experience that a learned reader's individual life can meet designed life in text on equal terms. It would be possible by literary acceptance and process of creation on the private level. That is, in general, acceptance and creation in literary class have been gone passive activity by external condition and intention. So learned readers recognize the text to social discuss, in this context learned readers couldn't show entirely their own reading experience in communication process. Thus it gets position of text that only stays in social level recognizes into discuss of private level, they communicate as a absolute learned reader's figure. In this communication of private level, as a learned reader who is not a previous passive 'appreciator' but a positive and subjective 'receiver' then, and the text is positively a worthy thing in his/her life. This study restates that 'process of acceptance and creation in private level' for teaching of internalization is the most key concept in it, and the concept is presented as follows. It is the all process that a learned reader as a receiver positively accepts a character's life as a experience in the text, and considers structure of his/her life in the indirect experience. As more incorporate that, acceptance is a process that accepts works in his/her own life, and considers his/her own life and then transforms it, and creation is a process that expresses accepted internal results and more clearly arranges it. In this study, progress of the discussion could arrange briefly as follows. In the second chapter first, readjustment on basic viewpoints and conditions of this study would be done. In the third chapter, from the conditions, it analyzes the 7th curriculum and text books, and concrete examples would be designed regularly on process of acceptance and creation that aim internalization. In the next forth chapter, it shows more practical results of the aspect. It applies the teaching methods of internalization to regular epic text of , shows regular aspect of teaching·learning, and it judges effectiveness and value of model on this study as testing to middle school learned readers. Finally in the fifth chapter, by the conclusion, it would present value of discussed things in this study and follow-up direction of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