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양하-
dc.contributor.author정수경-
dc.creator정수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0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5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51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trans 지방이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위해도 개선에 콩의 섭취가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는 건강한 20-29세 사이의 성인 남녀 22명을 대상으로 총 10주간 진행되었다. 연구 진행에 앞서 연구 목적과 진행 과정을 자세히 설명한 후 동의서를 받고 임상시험윤리위원회(IRB)의 심의를 통과한 후 수행하였다. 실험 시작 시 대상자들의 신체계측 및 혈압을 측정하고,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 혈액 지질 구성, 염증 지표 수준,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였고 이를 연구 초기자료로 이용하였다. trans 지방이 3.75g 함유된 빵을 제조하여 6주 동안 공급한 후 2주마다 혈액을 채취하여 공복시 혈당(FBS), 총 콜레스테롤 (TC), 중성지방 (TG),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염증 지표인 C-reactive protein (CRP), E-selectin, soluble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s-1 (sICAM-1), soluble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s-1 (sVCAM-1), Interleukin-6 (IL-6), soluble tumor necrosis factor-RⅡ (sTNF-RⅡ)를 측정하였다. 실험용 빵 섭취 전 대상자들의 계측 및 혈압, 혈액 분석 결과에서 수축기 혈압과 맥박,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총 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 변수에서 두 군의 차이가 나타났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의 초기 수준은 두 군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시험 초기와 6주 동안 두 군의 주요 영양소와 식이 지방산 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시간 동안의 변화에서 빵 섭취 1시간 후에 두 군에서 모두 혈당,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준이 상승하였으나 밀가루 빵 섭취군의 혈당 증가 수준 (28.0%)에 비해 콩가루 빵 섭취군의 증가 수준 (6.4%)이 더 적었다 (p<0.05). 총 콜레스테롤은 밀가루 군에서 1.6% 감소, 콩가루 군은 5.8% 감소하였고, (p<0.05) LDL 콜레스테롤은 콩가루 빵 섭취군에서 감소 수준이 더 컸다 (Wheat vs. Soybean : -4.3% vs. -6.0%, p<0.05). 이외 다른 변수에서의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따라서 콩 섭취의 단기적 효과는 부분적으로 관찰되었다. 보정 전 6주 간의 혈액 성분 변화 분석 결과 공복시 혈당 수치가 두 군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었고(p<0.05), 동맥경화지수(AI)와 TC:HDL ratio은 두 군에서 모두 6주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E-selectin 과 sVCAM-1은 6주 후에 콩가루 빵 섭취군에서 더 호의적인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이지 않았다. 혼란변수 보정 후 6주의 혈당,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의 경우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으나 콩가루 빵 섭취군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동맥경화지수와 TC:HDL ratio의 경우 모두 콩가루 빵 섭취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p<0.05) 염증 지표에서는 C-reactive protein에서만 콩가루 빵 섭취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p<0.05) 본 연구 결과 콩 성분이 함유된 빵을 섭취한 군에서 동맥경화지수 및 TC:HDL ratio 수준이 감소하였고, C-reactive protein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적인 혈중 지질 및 염증 지표 수준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trans 지방의 섭취로 혈중 지질 및 염증 지표 수준의 상승을 유도한 후 콩 성분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 일부 변수에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oybean on the metabolic effect of the trans fatty acids in Korean healthy and young adults. The study processed for 10 weeks in twenty-two healthy males and females volunteers. Before beginning of this study, all the subjects were fully informed the purpose, procedure of the study and gave verbal consents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we acquired the approval after the deliberation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of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The subjects randomly assigned to the one of two bread groups; Wheat bread composed of 80g of wheat powder, Soybean bread composed of 30g of soybean and 50g of wheat powder, respectively, and both breads contained 3.75g of Trans fatty acids. Each participants was served a loaf of bread at every day for 6 weeks. Anthropometric indices and blood pressure, dietary intakes, blood assesment for lipid profiles, and inflammatory markers and endothelial markers were measured at every 2 weeks. Before entering the study,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in systolic blood pressure, pulse,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AI, TH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other baseline value. Nutrient intake status of baseline and 6 week later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Fasting blood suga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to 1 hours, but less increased in Soybean than Wheat group (p<0.05). LDL cholesterol level was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Soybean than Wheat group to 1 hours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ce of other lipid profiles, that can't see positive effects of soybean in acute period. Fasting blood suga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groups to 6 weeks (p<0.05), AI and TH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to 6 weeks (p<0.05). E-selectin and sVCAM-1 tend to more favorable effect in Soybean than Wheat group to 6 weeks with no significance. After adjusting the baseline of lipid profile, inflammatory and endothelial markers and age, sex, bread intakes rate, fasting blood sugar,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 cholesterol levels at week 6 of Soybean group tend to lower than those of Wheat group. On the other hand, AI and THR at week 6 of Soybean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Wheat group (p<0.05). C-reactive protein level as inflammatory markers at week 6 of Soybean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Wheat group (p<0.05). In current study, the result showed that AI, THR and C-reactive protein leve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ecause of Soybean intake. This study provided the evidence of the role of soybean in reduction of AI, THR in health young adults. Also improves partial effects of anti-inflammation ability were observed. In conclusion, dietary soy protein or isoflavone from soybean products may partially reduce the metabolic risk of the trans fatty aci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5 A. 연구 대상 = 5 B. 연구 진행 과정 = 5 C. 연구 방법 = 7 1. 실험용 빵의 제조 = 7 (1) 밀가루 빵, 콩가루 빵의 제조 = 7 1) 실험용 빵에 사용된 쇼트닝 성분 = 8 2) 실험용 빵의 영양성분 분석 = 9 (2) 빵의 배부 및 섭취 = 11 2. 일반 사항 조사 = 11 3. 신체 계측 조사 = 11 4. 혈압 및 맥박 측정 = 12 5. 식이 섭취 조사 = 12 6. 혈액 채취 및 분석 = 13 7. IRB 심의 = 14 D. 자료 처리 및 통계 분석 = 15 Ⅲ. 연구결과 = 16 A. 대상자의 특성 = 16 1. 일반 사항 = 16 2. 신체 계측 및 혈압 = 18 3. 혈액 성분 = 20 (1) 혈당 및 혈중 지질 구성 = 20 (2) 혈중 염증 지표 구성 = 22 4. 식이 섭취 상태 = 24 B. 단기간의 콩 섭취가 혈당, 혈중 지질 구성에 미치는 효과 = 29 C. 장기간의 콩 섭취가 혈당, 혈중 지질 구성, 염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 = 34 1. 혈당 및 혈중 지질 성분 변화 = 34 2. 혈중 지표 변화 = 36 D. 연령 및 초기수준 보정 후 혈중 지질 성분 및 염증 지표 구성 = 40 1. 보정 후 혈당 및 혈중 지질 성분 = 40 2. 보정 후 혈중 염증 지표 구성 = 42 E. 식이 섭취 상태 = 44 Ⅳ. 고찰 = 48 Ⅴ. 요약 및 결론 = 56 참고문헌 = 59 Appendix 1. 설문지 = 68 Appendix 2. 식사기록지 = 69 Appendix 3. 빵섭취실태조사표 = 73 ABSTRACT = 75 Acknowledgements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34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트랜스 지방의 위해도 개선에 콩의 섭취가 미치는 영향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ietary effects of soybean intake to metabolic risk of the trans fatty acids in Korean healthy young adults-
dc.creator.othernameJung, Su Kyoung-
dc.format.pageⅵ,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영양학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