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0 Download: 0

TV 홈쇼핑 상품유형에 따른 배경음악 연구

Title
TV 홈쇼핑 상품유형에 따른 배경음악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Background Music for the TV Home Shopping Programs Depending on Types of the Commodities
Authors
정다은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실용음악대학원 음악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유리
Abstract
TV home shopping induces the audience through the broadcasting media or TV by taking advantage of its popularity, convenience and sensuous stimulus. In order to stimulate the senses, especially the visual and auditory senses, the TV home shopping programs use video images and background music, linking consumers with the commodities being broadcast. In particular, the background music is used for effective association to enhance the images of commodities as well as consumers' intention of purch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background music pieces used for the TV home shopping commodities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to find some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selection of the background music piec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analytical methods and criteria were used. The commodities put on 5 domestic TV home shopping channels for sale were divided into 10 categories, and the sample commodities were chosen for each category. Then, the background music pieces for a total of 415 programs broadcast from January through August, 2008 for the sample commodities were analyzed for their genres, and thereupon, the correlations between commodity categories and their background music pieces were tes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usic pieces had differed depending on commodity categories,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pieces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commodities. The background music pieces had acted as the musical elements expressing the images inherent in commodities, contents of the program broadcast and appealing to the major customers by age. Specifically, genres, tempo and sound effects of the music were correlated with the video images of the programs introducing the commodities. In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commodity categories and genres of music interacted with each other to enhance expressions of the commodity images.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determine an absolute law to have commodity categories match genres of music, because the genres of pop music used for the TV home shopping were too diversified, while the criteria for them differed among researchers, not allowing for a clear and systematic categorization of genres of music. So far, no research has analyzed the background music pieces for the TV home shopping by commodity category. Hence, it is hoped that this first attempt to analyze the background music for the TV home shopping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academic efforts, and it is also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for a guideline for future studies which will analyze the background music for the TV home shopping more extensively.;TV 홈쇼핑은 TV라는 방송매체를 통해 대중성, 사용의 편리성, 감성의 자극성 등을 이용하여 시청자를 화면 앞으로 유도한다. 이 중 감성을 자극하는 요소인 시각과 청각, 즉 상품의 영상과 배경음악을 이용하여 소비자와 방송 상품을 연결한다. 특히 배경음악은 판매하는 상품의 효과적인 연상 작용을 위해 사용되며 상품 이미지를 증대시키어 소비자의 구매 의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은 TV 홈쇼핑에서 방송된 프로그램의 배경음악을 통해 상품에 따라 어떤 음악이 사용되는지 살펴보고 상품 유형에 따른 음악의 특징들을 분석하여 전문적인 음악 선곡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상품에 따른 음악 장르의 사용에 대한 본 연구의 분석 방법과 기준은 다음과 같다. 현재 국내 5개 TV 홈쇼핑사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들을 10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각각의 표본상품을 지정하였다. 2008년 1월부터 8월까지 방송된 표본상품, 총 415개의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배경음악을 취합하여 음악 장르를 분석하였고 분석한 자료들을 통해 상품 유형과 음악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상품 유형에 따라 사용되는 음악이 세분화되어 있었고 이에 따른 음악적 특징들은 상품과의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배경음악은 상품에 내재되어 있는 이미지,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내용, 상품을 구매하는 주 고객층의 연령을 표현하는 음악적 요소로서의 기능을 하였으며 음악장르와 음악의 빠르기, 음향 효과를 통해 상품별 프로그램에 나오는 영상 이미지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상품 유형의 특징들과 음악 장르는 상품의 이미지 표현을 높이는 상호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상품에 따른 음악 장르의 사용에서 절대적인 법칙을 정할 수는 없었는데 이는 TV 홈쇼핑에서 사용되는 대중음악의 장르가 다양하고 연구자마다 기준이 달라 대중음악 장르를 명확하게 체계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재 TV 홈쇼핑에서의 상품 유형에 따른 배경음악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처음 시도한 이 현황 분석을 통해 배경음악 선곡 분야가 학술적으로 체계화되는 기초가 되길 바라며, 이런 연구가 나날이 전문화되어 가는 TV 홈쇼핑의 배경음악 부분에서 지침서가 되어 새로운 시도로 더욱 확장시켜지길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음악공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