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2 Download: 0

공정성 확보와 관련한 다면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Title
공정성 확보와 관련한 다면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the Method to Secure Faireness of 360 Degree Evaluation Program for Teachers
Authors
유현자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영
Abstract
본 연구는 새로운 교사평가제도인 다면평가제의 공정성 문제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교사평가 방법으로서의 다면평가제가 현장에서의 자율적인 수용도를 높이고 좀 더 교육현장에 의미있게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다면평가제의 공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교사다면평가제의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가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작성하고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고양시 관내 14개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310부를 발송하여 290부를 회수하였으며 유효 회수율은 92.3% 였다. 결과 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각각의 문항에서 조사대상자의 배경변인별 즉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χ2(Chi-Square)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검증을 거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다면평가에 대한 인지 정도는 긍정적인 답변이 62.6%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적극적인 답변에 해당하는 ‘잘 알고 있다’는 14.0%에 불과하다. 성별,학교규모,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적극적인 답변자의 대부분은 남교사였으며 학교규모도 소규모에 근무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것은 보통의 일선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인지 정도는 더 낮아짐을 의미하는 것으로, 평가에 대한 낮은 인지도는 평가에 대한 불안감 및 불신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평가의 대상인 모든 교사들에게 충분한 연수 기회 및 홍보가 평가 시행 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해 아직까지 대다수의 교사들은 주위의 동료교사들로부터 불확실한 다면평가제에 대한 정보를 간헐적으로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의 공정성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평가의 내용과 평가의 주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평가의 목적이나 평가의 방법 또한 30%이상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실제 교사들은 평가의 전 영역에서 공정성 문제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과(분배)의 공정성 뿐만이 아니라 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절차의 공정성이 평가의 공정성 인식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김정호, 2007)는 것을 고려해 볼 때 평가의 전 영역에서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한 공정성 확보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평가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평가의 목적을 ‘교수?학습방법 개선 및 전문적 자질향상을 위한 피드백 자료 활용’에 두고, 평가의 주체로는 ‘교장+교감+동료교사’까지만 참여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평가주체에 따라 발생하는 공정성 저해 요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평가기준, 평가방법 등의 분명한 평가지침을 제시하고 평가자에 따라 평가내용을 일부 제한하거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평가의 방법과 관련해서는 상대평가는 비교적 부정적인 인식이 강했고 절대평가는 긍정적인 인식과 부정적인 인식이 비슷하게 나타났는데 학교의 규모나 평가의 내용, 목적 등에 따라 신중한 선택이 요구된다 하겠다. 또한 평가방법의 미숙으로 인한 평가의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평가자 훈련보다 ‘새로운 평가제도에 적합한 새로운 평가척도를 개발’하는 방안을 더 많이 선호했는데 이것은 새로운 평가제도가 과중한 업무부담을 가져 올 것을 꺼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과중한 업무부담 역시 교사들에게 평가에 대한 반감을 불러오고 그것은 결과적으로 평가 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것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평가의 주체, 가중치 부여방법, 평가의 오류를 줄이는 방법 등에서 성별, 직위, 경력, 학교규모 등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공정한 평가를 위해서는 평가계획 수립에서부터 평가의 전 과정에 당사자인 교사의 참여가 필요하지만, 평가결과의 공개에 대해서는 평가결과를 왜곡 시킬수 있다는 이유로 부정적인 인식이 지배적이었으며 평가결과에 대한 이의제기 기회 부여는 연령,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대체적으로는 교직사회의 갈등요인으로 작용해 결과적으로 평가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온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한편으론 평가결과의 수용도를 높이는 긍정적인 효과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면평가의 실시횟수는 연 1회, 공정한 평가를 위한 관찰기회는 2번이 가장 많았으나 ‘적어도 5번 이상 관찰’이라고 답한 교사도 25.9%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나 공정한 평가에서 관찰횟수를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위원회의 조직을 비롯해 대체적으로 교사들은 다면평가에서 동료교사들의 평가를 가장 바람직하다고 여기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것은 가장 많은 시간을 접하고 있고 업무내용도 유사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동료교사를 제외한 관리자나 학부모등이 평가자로 참여할 때 발생하는 시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만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the method for 360 degree evaluation program to be willingly accepted by more teachers and to become more meaningful in the education field as a method of teachers evaluation, by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of the field teachers about the fairness of 360 degree evaluation program that is a new teacher evaluation program.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questions for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recogni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fairness of the 360 degree evaluation program for teachers? 2. What is the recogni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methods to secure the fairness of the 360 degree evaluation program for teachers? To solve the said study questions, 31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that had been prepar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relevant documents and precedent studies and modified and complemented with the advisor professor were distributed to the teachers of the 14 elementary schools in Goyang-si, out of which 290 copies were re-collected. The effective re-collection rate is 92.3%. The finding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data coding, data cleaning and then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program. Also, the (Chi-Square) was conducted to find any differences depending upon background variables of the respondents, that are demographical attributes, for each question.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even if the recognition level of 360 degree evaluation for teachers gained 62.6% positive, that is relatively high, 'be aware very well' that is of very positive response gained 14.0% only. Each of sex, school size and age made meaningful differences; most of very positive respondents were male teachers and many of them were working at small schools. This means that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teachers at normal schools goes low. As a low recognition of the evaluation may lead to uneasiness and distrust, enough education opportunities and PR should be made to all the teachers to be evaluated prior to the evaluation. However, most of the teachers showed to be getting uncertain information of 360 degree evaluation program from colleague teachers occasionally. Secondly, eve if the biggest factors affecting the evaluation fairness were most rated for evaluation content and evaluation subject, the evaluation purpose and method were also rated more than 30%, which tells that the teachers are being anxious about the fairness over the all areas. Considering that not only fair result (distribution) but also fair process that are being recognized by the teachers affects significantly recognition of evaluation fairness (Jungho Kim, 2007), the method to secure fairness reflecting teachers' opinion in the all areas for evaluation needs to be prepared. Thirdly, most of the teachers believed the evaluation purpose was to use feedback data to improve teaching & learning method and professional quality; it is proper to limit the evaluation subjects to principal, vice-principal and colleague teacher; in order to eliminate the factors impair the fairness by evaluators, it is necessary to suggest the clear evaluation guidelines, e.g. evaluation criteria and method and to partly limit evaluation content or give weighted value by evaluators. As for the evaluation method, as the relative evaluation was recognized relatively negative and the absolute evaluation was recognized positive and negative alike, the prudent choice should be required depending upon school size, evaluation content and purpose. Also, development of new evaluation measures suitable to the new evaluation program was preferred to evaluator education as a method to reduce evaluation errors by a poor evaluation method. This is judged because the new evaluation program was reluctant with the anxiety to bring over workload. Since over workload would lead to the teachers' animosity towards the evaluation too, which might bring negative impact to the evalua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find a solution. Each of sex, position, career and school size made meaningful differences in evaluation subject, weighting method and method to reduce evaluation errors. Fourthly, the concerned party, the teachers' participation in all the process starting from preparation of evaluation plan is required for the fair evaluation but negative recognition was dominant because the opening of evaluation result to the public could distort the evaluation result. Opportunity grant to file a protest to the evaluation resul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y age and career and in general it was believed to work as a conflict in the teachers society and consequently to bring negative impact to the evaluation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effect to enhance acceptance of the evaluation result was also being recognized. The number of 360 degree evaluation was most rated for once a year. As the observation for a fair evaluation was the most rated for twice and 'at least 5 times or more observation' was the second most rated with 25.9% teachers' response, the number of observation showed to be recognized important for a fair evaluation. In general, the teachers as well as the Evaluation Committee were found to think most desirable of the evaluation by colleague teachers in the 360 degree evaluation. This is believed because the colleague teachers share most times and perform similar duties.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prepare a method to overcome the time limitation that occurs when a manager or student's parent other than a colleague teacher takes part in as an evaluat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