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일호-
dc.contributor.author박유정-
dc.creator박유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2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7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249-
dc.description.abstractNew ability that target of art can enjoy visual culture environment in art education as is changed from fine art to visual culture and consume rightly was required. Together, was emphasized about change and social backgrounds by Constructivism by education. Therefore, critical thinking skill that get into nature of studying that compose by analysis about social backgrounds and learner rose by important value of art education. Art education process is selecting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by method for critical thinking ability improvement. Critical thinking skill required importantly in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has sense in terms of can form appreciative eye that capacitate creative thinking to learner, and see the world. Form aesthetic environment that can promote thinking process to improve learner's critical thinking faculty from art subject and in critical thinking process learner directly participate must. But, that is gone fragmentarily by personality of incidental activity of a lot of part expression activity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is actuality meantime. Therefore, this research is tendencious that search about sense of teaching method plan readying art appreciation teaching method for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 Executed class and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class that apply teaching method plan about 30 experiment groups and 30 control groups to third-year student 60 people in J middle school, each group after compose to 30 control groups situated to Seoul Songpa-gu to achieve these purpose over gun the eight times. Teaching method that ready in this research readied by art appreciation tuition of the eight times-studying considering developmental stage of learner and player studying. Select appreciation step of Feldman that was being the most universal and wears categoricalness of step among several appreciation stages for art appreciation class that can improve critical thinking skill and applied to class. Change of image of person that established 'West art searching by person' to subject matter of appreciation class, and appears in West art progressed criticism class with art appreciation by emphasis. Also, this investigator used postscript that choose illustration and is correct for appreciation phase for comprehension and critical thinking planning of learner. That a KICE(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is low primary factor of critical thinking skill public prosecutor who quote in Korean course of study rating agency (Kim myeong-sook et al, 2001) and analyzed class result through this that manufacture according to research that refer to details factor, and statist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is used SPSS ver. 12.0 statistics package program and drew conclusion with statistics.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was expose that get more superior estimation than control group from critical thinking skill estimation element that experiment group which take class by art appreciation teaching method that apply appreciation step of Feldman composes domain of inference. Second, was expose that get more superior estimation than control group from critical thinking skill estimation element that experiment group which take class by art appreciation teaching method that apply appreciation step of Feldman composes domain of interpretation. Third, was expose that get more superior estimation than control group from critical thinking skill estimation element that experiment group which take class by art appreciation teaching method that apply appreciation step of Feldman composes domain of evaluation. It can be said that art appreciation teaching method that apply appreciation step of Feldman conclusively exerted effect that is positive in third-year student's critical thinking skill in middle school. Such this research has sense as basic data of teaching method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at can conduct extension of critical thinking skill in medium quality art education spot by applying and searches about sense of teaching method to third-year student in middle school readying art appreciation teaching method for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미술의 대상이 순수미술에서 시각문화로 변경되면서 미술교육에서도 시각문화 환경을 향유하고 올바르게 소비할 수 있는 새로운 능력이 요구되었다. 더불어 교육학적으로도 구성주의로 변화하면서 사회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강조되었다. 그러므로 사회적 배경에 대한 해석과 학습자 스스로 구성해 나가는 학습의 바탕이 되는 비판적 사고가 미술교육의 중요한 가치로 부상하였다. 미술 교육과정에서는 비판적 사고 능력 신장을 위한 방법으로 미술 감상과 비평 교육을 채택하고 있다. 미술 감상과 비평교육에서 중요하게 요구되는 비판적 사고력은 학습자에게 있어 창의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하고,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을 형성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미술교과에서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사고과정을 촉진시켜 줄 수 있는 미적 환경을 조성해 주고 비판적 사고과정에 학습자를 직접 참여시켜야 한다. 그러나 그동안의 미술 감상과 비평교육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부분 표현활동의 부수적인 활동의 성격으로 단편적으로 진행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한 미술 감상 지도방안을 마련하여 지도방안 의의에 대해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J중학교 3학년 6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으로 구성한 후 각 집단에 대해 지도방안을 적용한 수업과 전통적인 미술 감상수업을 총 8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마련한 지도방안은 학습자의 발달단계와 선수학습을 고려하여 8차시의 미술 감상 교수-학습으로 마련하였다.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할 수 있는 미술 감상수업을 위해 여러 감상 단계 중 가장 보편적이고 단계의 명확성을 띠고 있는 펠드먼의 감상단계를 채택하여 수업에 적용하였다. 감상 수업의 제재로 ‘인물로 알아보는 서양미술’을 설정하였으며, 서양미술에서 나타나는 인물 모습의 변화를 중점으로 미술 감상과 함께 비평수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자는 학습자의 이해와 비판적 사고 도모를 위해 도판을 선정하고 감상 단계에 맞는 발문을 구사하였다. 비판적 사고력 평가도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김명숙 외, 2001)에서 제시한 비판적 사고력 검사의 하위요인 및 세부요인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제작한 것으로 이를 통해 수업 결과물을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계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펠드먼의 감상 단계를 적용한 미술 감상 지도방안에 따른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추론영역을 구성하는 비판적 사고력 평가요소에서 통제집단보다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펠드먼의 감상 단계를 적용한 미술 감상 지도방안에 따른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해석 영역을 구성하는 비판적 사고력 평가요소에서 통제집단보다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펠드먼의 감상 단계를 적용한 미술 감상 지도방안에 따른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평가 영역을 구성하는 비판적 사고력 평가요소에서 통제집단보다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펠드먼의 감상 단계를 적용한 미술 감상 지도방안이 중학교 3학년 학생의 비판적 사고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한 미술 감상 지도방안을 마련하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해 보고 지도방안의 의의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중등미술교육 현장에서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을 이끌 수 있는 미술 감상교육의 지도방안의 기초자료로써의 의의를 갖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비판적 사고 = 4 1. 비판적 사고의 개념 = 4 2. 미술교과에서의 비판적 사고 = 9 B. 미술 감상교육 = 11 1. 미술교과에서의 감상교육 = 11 2. 미술 감상교육의 모형 = 12 3. 중학교 3학년 미술 감상교육의 의의 = 17 Ⅲ. 연구방법 = 23 A. 연구대상 및 절차 = 23 1. 연구대상 = 23 2. 연구절차 = 23 B. 연구도구 = 24 1. 수업도구 = 24 2. 평가도구 = 47 C. 자료 처리 = 5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52 A. 연구결과 = 52 B. 논의 = 58 Ⅴ. 결론 및 제언 = 61 참고문헌 = 63 부록목차 = 66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746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미술 감상 지도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eaching Method of Art Appreciation-Criticism for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
dc.creator.othernamePark, Yoo Jung-
dc.format.pageⅴ,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