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용-
dc.contributor.author박혜린-
dc.creator박혜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1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7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193-
dc.description.abstract우리는 다양한 상황에서 수많은 정보와 지식을 접하고 있으며, 이런 정보들과 지식 속에서 무엇을 선택하고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문제의식에 직면하고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어진 대상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분별력을 길러야하며 이것은 반성과 탐구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현대사회는 디자인을 통하여 다량의 시각정보와 시각지식을 구성하고 있으며 디자인은 사회의 변화와 발전과 함께 의미를 확장하여 더욱 복잡한 사고과정으로 해석되어진다. 디자인 소비자로서 우리는 디자인을 즐기고 선택할 수 있는 안목을 갖춰야하며 이것은 일상의 주변 환경에서 디자인에 대한 문제의식을 발견하는 것에서 출발할 수 있다. 디자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발견한 문제를 비판적인 사고와 시각으로 탐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법을 중학교 3학년 디자인 수업에 적용하여 디자인 감상과 제작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미술학업성취도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서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법과 중학교 디자인 교육을 고찰하였고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마포구 소재 K중학교 3학년 2반과 3반의 6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31명, 통제집단 31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실험집단은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감상방법에 의한 디자인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는 총 6차시로 본 연구자가 직접 수업을 진행 하였다. 미술학업성취도는 사후 형성평가와 실기평가의 합으로 점수를 내었으며 실기평가도구는 교육인적자원부의 중학교 미술 성취기준과 백연경(2005)의 중학교 디자인 평정척도 기준표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제작하였다. 수업 결과물의 자료처리는 SPSS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 3학년 3반이 전통적인 감상방법에 의하여 디자인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 3학년 2반에 비해 사전 사후 미술학업성취도 점수 증가폭이 높았다. 전통적인 감상방법에 의하여 디자인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에 비교된 미술학업성취도 증가점수보다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를 적용하여 디자인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비교한 미술학업성취도 점수가 더 높은 폭으로 증가 되었다. 둘째,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법을 적용하여 디자인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감상방법에 의하여 디자인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에 비해 미술학업성취도 사전 사후 하위영역 점수증가 차이 비교에서 실기평가와 형성평가 모두 높게 나왔다. 사전과 사후 형성평가, 실기평가의 점수 증가 폭이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 3학년 3반이 전통적인 감상방법에 의하여 디자인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 3학년 2반에 비해서 높았다. 셋째,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감상방법에 의하여 디자인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 집단간 미술학업성취도 비교 점수가 높게나왔다.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인 3학년 3반의 사후 미술학업성취도 점수와 전통적인 감상방법에 의하여 디자인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인 3학년 2반의 사후 미술학업성취도 점수 비교에서 실험집단인 3학년 3반이 더 높은 평균점수를 받았다. 결론적으로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이 중학교 3학년 학생의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하여 미술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법을 디자인 수업에 적용하여 학교 미술교육 현장에서 디자인에 대한 비평적 사고력 향상을 도모하고 이를 통한 미술학업성취도 증진의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갖기를 기대해 본다. ;Enormous amount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around various situations make us confront what we have to select and utilize. To solve the problem, a sense of discretion is required to perceive the value of a given object. The ability can be achieved through reflection and research. The modern society consists of great deal of visual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the form of design which expands the meaning as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to more complicated process of thinking. As consumers of design, we have to possess appreciative sense to select and enjoy designs we want. It could begin to develop from critical thinking about design around everyday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quire the methods to think and examine designs critical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theory of critical inquiry of G. Geahigan implemented to the design classes of 3rd grade of the middle school effects the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rt work and appreciation of various designs. The literature review has been executed to contemplate the theory of critical inquiry of G. Geahigan and the design education and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For the objects of the study, total 62 3rd graders from class # 2 and 3 of K middle school located in Mapo-gu, Seoul were selected. Each of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consists of 31 students. For the experiment group, the design classes with the theory of critical inquiry of G. Geahigan were carried out, while the classes with the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were processed in the control group. Total 6 classes were performed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Art was generated with the total grade from the formative evaluation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e measurement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was developed based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dicator of Art for middle school students form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Design Evaluation Standards for middle school of Baek Yeon Kyeong(2005). The SPSS(ver.12.0) was utilized for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pretest and posttest of academic achievement of Art from class # 3 of the 3rd grade given the theory of critical inquiry of G. Geahigan displayed higher increasement rate than the one from class # 2 of the 3rd grade with the traditional method. Second, the result of pretest and posttest of subordinate dimensions of academic achievement of Art revealed that the class implemented with the theory of critical inquiry of G. Geahigan ha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lass of traditional appreciation method. Also for the results of the formative evaluation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e classes with the theory of critical inquiry of G. Geahigan showed higher increasing rate than the class # 2 the control group. Third, The average grad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one of the controlled group in the posttest result. In conclusion, by incorporating the theory of critical inquiry of G. Geahigan in designing classes intrigued Junior-High seniors to achieve higher performance in visual arts with enhanced critical thinking.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s that by applying the theory of critical inquiry of G. Geahigan provides an effective way of critical thinking in designing and is furthermore promising in promoting enhanced visual art performan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미술감상과 비평적 탐구 = 4 B. 중학교 디자인 교육 = 11 Ⅲ. 연구방법 = 20 A. 연구 대상 및 절차 = 20 B. 연구 도구 = 22 C. 자료 처리 = 43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45 A. 연구 결과 = 45 B. 논의 = 50 Ⅴ. 결론 = 53 참고문헌 = 55 부록 = 58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1148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게히건(G. Geahigan)의 비평적 탐구법을 적용한 중학교 3학년 디자인 지도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sign Teaching Method for 3rd Grade of Middle School through the Theory of Critical Inquiry of G. Geahigan-
dc.creator.othernamePark, Hey Lin-
dc.format.pageⅷ,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