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영식-
dc.contributor.author이나영-
dc.creator이나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1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7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141-
dc.description.abstractIn the past, the typical impression of a traditional Korean woman was someone passive and conservative. However, nowadays women in Korea are much more active and liberal. Since the change among women has been seen not only in social situations, but also in their appearance, one of the greatest interests of modern Korean women is displaying their beauty and expressing their sexuality without inhibition. This change made a huge impact on fashion. Women are much more sensitive to fashion trends and prefer more liberal fashion to express individual style and taste.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modern women, the market has focused on more daring and provocative styles. As a result, women have become more and more interested in innerwear which was previously just hidden under the clothes. Starting in the 1990’s,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fashion, innerwear has become visible outerwear and a fashion item. The Korean innerwear market has rapidly expanded with a lot of new brands and different ways of marketing. However, there has been significantly less research on innerwear than in the outerwear market. That is a concerning factor for the future innerwear market. Therefore, the analysis of trends on innerwear designs will help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Korean innerwear market. This thesis consists of five chapters; the history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innerwear market, analysis of the women’s innerwear advertisements in the last three years, analysis of the design elements on recent innerwear trends to help the development of future designs and the continuous growth of the women’s innerwear market. This research cannot provide the insights on a variety of design preferences or consumer sentiment since only the major popular products were studied.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about the overall analysis of various products. Also, the government and innerwear companies have to support the basic needs of design development for the long-term. Moreover, in order to lead the innerwear trends around the world, as well as in Korea, a lot of support and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highly qualified designers who are capable of satisfying both the design and functional qualities by thinking outside the existing ideas and presenting new standards.;수동적이고 보수적이었던 과거의 전통적인 한국 여성상은 능동적이고 개방적인 현 대적 여성상으로 탈바꿈하였다.이러한 여성들의 의식 변화는 사회적인 측면뿐만이 아니라 미적인 측면에서도 가시화되고 있는데,현재 한국 여성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자신의 미를 당당하게 드러내는 것이고,자유로운 성(姓)을 거리낌 없이 표방하는 것 이다. 이와 같은 변화는 패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현대 한국 여성들은 점점 유행에 민감해지고 자신의 취향과 개성을 표출하기 위하여 자유로운 패션성향을 추구한다. 이러한 현대 여성들의 특징에 따라 패션 트랜드는 점점 더 과감해지고,자극적인 방 향으로 흘러가게 되었고,그 결과 아웃웨어(outwear)속에만 감춰져있던 이너웨어 (innerwear)에 대한 여성들의 관심은 아웃웨어 못지않게 커져나갔다. 1990년 대 부터는 서양 패션의 영향으로 속옷의 겉옷 화 현상이 발생하면서 이너웨 어는 어느새 하나의 패션으로 자리 잡게 되었고,국내의 이너웨어 시장은 수많은 브 랜드와 다양한 유통방식으로 규모가 급속히 확대되어가고 있는 추세이지만 현재 아웃 웨어에 비하여 이너웨어에 관한 연구 자료가 현저히 부족하여 앞으로의 국내 이너웨 어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염려되는 바,이너웨어 디자인 트랜드에 관한 분석을 통 하여 국내 이너웨어 디자인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본 논문은 총 다섯 개의 장으로,먼저 이너웨어의 변천사와 현재 우리나라 이너웨 어 시장의 현황에 대하여 알아본 후,최근 3년간의 여성용 이너웨어 광고를 분석하여 트랜드의 단서를 찾아보고,최근 이너웨어 트랜드를 디자인 요소별로 분석함으로서 향후 이너웨어 디자인의 발전과 더불어 국내 여성용 이너웨어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 을 도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은 일반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제품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계층의 디자인 선호도 및 소비심리 파악에 미흡한 점이 있었다.따라서 후행 연구에 서는 다양한 제품의 전반적인 부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고,이러한 것에 정부와 기업 모두가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부분들을 장기적 차원에서 지 원해 주어야 할 것이다.또한 국내에서만이 아니라 세계적인 이너웨어 트랜드를 선도 하기 위해,기존의 통념적인 관행들을 모두 타파하고,새로운 기준과 환경을 제시하여 디자인적인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디자이너를 개발하는 것에 다각적인 지원과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2. 이너웨어의 개요 및 시장의 현황 = 3 2.1. 한국 여성의 의식변화에 따른 이너웨어의 변천사 = 3 2.2. 국내 이너웨어 시장의 과거 및 현황 = 5 3. 이너웨어 광고에 나타난 트랜드 분석 = 7 3.1. 해드카피(Headcopy)분석에 따른 언어출연빈도조사 = 7 3.1.1. 언어의 시각적 작용 = 9 3.1.2. 언어의 정서적 작용 = 12 3.2. 광고 이미지(Image)의 디자인 요소 분석 = 14 3.2.1. 이미지 유형에 따른 광고 분석 = 14 3.2.1.1. 긴장된 이미지의 광고 = 16 3.2.1.2. 명료한 이미지의 광고 = 17 3.2.1.3. 역동적 이미지의 광고 = 18 3.2.1.4. 서정적 이미지의 광고 = 19 3.2.1.5. 순수한 이미지의 광고 = 20 3.2.1.6. 신비로운 이미지의 광고 = 21 3.2.1.7. 평안한 이미지의 광고 = 22 3.2.2. 표현방법 및 도구에 따른 광고 이미지 = 23 3.2.2.1. 연상이미지 = 23 3.2.2.2. 상징이미지 = 25 3.2.2.3. 기억이미지 = 31 3.2.2.4. 기호이미지 = 31 3.2.3. 광고 이미지의 의도와 목적 = 32 3.2.3.1. 컬러마케팅과 소비자 제품 선호의 상관관계 = 32 3.2.3.2. 신체노출이 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 33 3.3. 광고에 나타난 이너웨어 트랜드의 단서 = 35 3.3.1. 세련됨을 추구하는 이너웨어 = 35 3.3.2. 스포티함을 추구하는 이너웨어 = 36 3.3.3. 경쾌함을 추구하는 이너웨어 = 36 3.3.4. 여성성을 강조하는 이너웨어 = 37 3.3.5. 도발적인 스타일의 이너웨어 = 37 3.3.6. 순수함을 추구하는 이너웨어 = 38 4. 이너웨어 디자인 분석 및 방향제시 = 39 4.1. 이너웨어의 디자인 요소별 트랜드 분석 = 39 4.1.1. 컬러 = 39 4.1.2. 실루엣(Silhouette) 및 아이템(Item) = 44 4.1.3. 패턴(Pattern)과 및 디테일(Detail) = 49 4.2. 국내 이너웨어 디자인 발전에 관한 방향제시 = 54 5. 결론 및 제언 = 55 참고문헌 = 58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547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여성용 이너웨어 디자인 트랜드 분석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이너웨어 광고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ofwomen'sinnerweardesigntrends : Focusedoninnerwearadvertisements-
dc.creator.othernameLee, Na Young-
dc.format.pageⅷ,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