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6 Download: 0

뉴미디어를 적용한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연구

Title
뉴미디어를 적용한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mplex Cultural Space applying New Media
Authors
송인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연정
Abstract
The human beings, based on their capacity of symbolization, have visually expressed various values which generated from each life, and have developed using special means shared by others. The ultimate goal of those means is communication and the means of communication have been developed more elaborately and actively in modern society. Modern space has the characteristic of making harmony and composition among the social feature, cultural tendency, and technical aspects. It leads to the increased tendency of interaction of space with other field and the boundaries have become flexible, resulting in various change in communication way such as composition of space, material technique, and method for expression between human and space and exchange of information. The design for new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space has become by introducing new media to space design as the environment surrounding human have become network and intellectual in 21th century, the interfaced spaces have been generated actively as a various designing attempt for exchange of information. The characteristic of correlation has also become important as the space itself become interface as a media for delivering information. Considering space with those concepts means the recognition of relation between human and space as one communicate and response each other in interactional way. The modern space is defined as one which is active and de-limitation. The role of new media in mak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space possible may be helpful in understanding new field of organizing architecture and space, and proposing another possibilities. The digital technique of new media has propose various possibility and method and building more actively by supporting those activities. The space itself also became one in which the communication is possible by organically 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and circumstance and transforming not based on the fixed materiality and constructionality. The space also expand the width of choice for users so that they use the space subjectively, and leads the tendency of endowing priority to nonmaterial emotion such as shape, image, sensation, and imag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was to seeking new possibility and role of active generation of relation between modern interfacial space and media caused by various expressional method of new media,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in the field of intervention and response between human and space. The complex cultural space among various cultural space in digital society allows to sharing leisure activity and cultural satisfaction and to generation of complex communication such as intellectual activities of human in space, by being provided in satisfying the taste of moderners. This study is to apply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interface space to space among the complex cultural space to which the various design is applied. This study consisted of theoretical review and case study, and expand those characteristics generated from those review and case study into design.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 of space induced by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interface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ase expressed in space of new media and their correlations. The detail case were used in examining the tendency where above characteristics are expressed as space. The focus of this author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new technology and human's various activity through the enhancement of rel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space in historical perspective.;인간은 오랜 시간 동안 상징화 능력을 기반으로, 삶을 영위하는 가운데 발생되는 다양한 가치들을 시각적으로 표출해 왔으며, 다른 사람과 함께 나눌 수 있는 특별한 수단을 통하여 공간을 발전시켜 왔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소통을 목적으로 하는데 현대에 이르러 이러한 소통의 방법들은 보다 복합적이고 적극적인 양상으로 발전하고 있다. 오늘날의 공간은 그 시대의 사회상, 문화적인 흐름, 기술적인 분야 들이 서로 조화되어 복합되는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공간이 타 영역과 상호작용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경계가 유연해지면서 공간의 구성, 재료기술, 표현 방법 등 공간과 인간이 커뮤니케이션하는 방식 등에 다양한 변화와 정보의 교류가 일어나고 있다. 21세기에 인간을 둘러싼 환경이 네트워크화, 지능화 되어감에 따라 공간 디자인에 새로운 미디어가 도입되어 인간과 공간에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이 시작 되었으며 정보의 교류를 위한 다양한 디자인적 시도로서 인터페이스화된 공간이 활발히 생성되고 있다. 또한 정보 전달의 매개체로써 공간 자체가 인터페이스화 되면서 상호 관계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개념으로 공간을 본다는 것은 인간과 환경의 관계를 상호 관계 적으로 소통하며 반응하는 것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현대의 공간은 공간을 역동적이며 한계를 벗어난 것으로 정의 한다. 인간과 공간의 상호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변화에서 미디어의 역할은 건축과 공간을 구성하는데 새로운 영역에 대한 이해와 또 다른 가능성 제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미디어의 디지털 기술은 이를 지원하여 다양한 가능성과 방법을 제시하고 더욱 적극적으로 구연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에서는 공간 또한 고정된 물질성, 구축성에 근거하기 보다는 정보와 환경에 대해 유기체적으로 반응하고 유동적으로 변형하여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수용자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주어 자기의 기호, 형편, 요구에 따라 주체적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또한 이성보다는 감각이 중시되는 경향을 추구함으로써 형상과 이미지, 감각, 상상력, 즉 비물질적 감성이 우선시되는 경향을 만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과 공간간 개입과 반응에 대한 상호소통에 초점을 두고 미디어의 다양한 표현 방식으로 인해, 현대의 인터페이스 공간과 미디어의 관계가 활발히 생성 되는 데에 새로운 가능성과 역할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디지털 사회의 다양한 문화 공간 중에서 복합 문화 공간은 현대인들의 기호에 맞게 보다 편리하게 제공하여 여가 활동과 문화적 충족을 공유하고, 인간의 지적 활동 등 복잡한 상호작용이 이루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디자인이 반영되어 복합적인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복합문화공간을 대상으로 인터페이스 공간의 개념과 원리를 공간에 적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으로 구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특성들을 디자인으로 발전 시켰다. 인터페이스의 정의와 그 개념으로 인한 공간의 특성을 연구하고 미디어가 공간에서 표현 되어지는 양상에는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분석 하였다. 그리고 그 상관성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 위에서 도출한 특성들이 공간으로 표현될 때의 경향에 대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자가 주목하고자 한 것은 시대의 흐름으로 인간과 공간의 관계 증진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테크놀로지와 인간의 다양한 행위의 관계를 끌어내고자 함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