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6 Download: 0

유치원 부모교육에 대한 아버지의 경험실태 및 인식

Title
유치원 부모교육에 대한 아버지의 경험실태 및 인식
Other Titles
Fathers' Experience Realities and Perception Regarding the Kindergarten Parenting Education
Authors
이인정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용희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 및 인근 경기지역에 있는 국·공립 및 사립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버지가 경험한 유치원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태와 아버지의 인식에 관해 조사해 봄으로써 유치원의 아버지 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유치원 부모교육 경험 실태는 어떠한가? 2. 유치원 부모교육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치원 부모교육에 대한 아버지의 경험여부와 유치원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및 인근 경기지역의 국·공립 및 사립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아버지 29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연구자가 선행연구와 교사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으며, 아버지의 일반적인 특성, 부모교육 경험 실태, 유치원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등에 대한 것 2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기술통계, X2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에 대한 아버지들의 참여도는 과반 수 이상으로 과거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부모교육을 경험한 아버지가 유치원 부모교육참여 전 사전요구조사를 의뢰받은 수준은 높게 나타났고, 대부분 '참여 가능 여부'에 대한 사전조사내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가 경험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으로는 '가정연계 정보제공'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행사참여', '수업참관', '수업참여'의 순서로 나타났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한 내용으로는 '자녀와의 놀이방법',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지식과 지도방법', '자녀와의 의사소통 방법' 등이 많이 나타났고 부모교육을 통해 학습하고 싶은 내용도 이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부모교육에 대한 사후 평가를 유치원에 전달한 경험여부에 대한 조사 결과 25.7%로 낮게 나타났는데, 전달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대부분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지'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교육 불참의 요인으로는 '시간문제'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대상 아버지들은 대부분 유치원에서 실시하는 아버지 대상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성의 이유로는 '아버지도 자녀양육의 책임이 있으므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와의 밀접한 관계 형성을 위해서', '올바른 자녀교육을 위해 아버지도 책임이 있으므로'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들은 유치원의 아버지 대상 부모교육 운영의 효과 및 충실 정도에 대해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유치원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부모교육의 주제선정에 있어 자녀가 경험하고 있는 교육활동과의 일관성을 고려해야 할 것, 원장과 교사가 원내 상황을 고려하고 충분히 연구하여 진행하여야 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유치원 부모교육에 대한 경험여부에 따라 유치원 부모교육의 필요성 인식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치원 부모교육의 경험 여부에 따라 자녀양육에 대한 정보의 제공원, 유치원 부모교육 운영의 충실성 정도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유치원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아버지일수록 자녀양육에 대한 정보 제공의 1순위로서 '유치원 원장과 교사'를 꼽았으며, 유치원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충실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facilitat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to fathers in the right way by researching the realities of the kindergarten parenting education program and the fathers’ perception of it on the fathers with children going to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ung Gi regions. In addressing this issue, the questions that the study set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parenting education experience of fathers with the adolescent? 2. what is the perception of fathers about kindergarten parenting educatio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experience of parenting and their peception of the progra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296 fathers who send their children to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ung Gi province, and the study method was survey. The survey was made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it consisted of 22 questions about general traits of fatherse, experience of parenting education, perception of kindergarten parenting education, etc.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echnical statistics, and X2 confirm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erized as following. First, the participation rate of fathers in the parenting education in kindergartens was over half, which was higher than in the past. Many fathers received a demand survey prior to participating in the kindergarten parenting education participation, most of which was about availability. In the types of the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information session relating to the family"was the most abundant, followed by "event participation," "class visit," and "class participation," in decreasing order. The major contents learned from th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were "how to play with children," "knowledge about children’s growth characteristics and disciplinary methods," "how to cummunicate with children," and the contents desired by fathers were similar. The experience of sending evaluations of the parenting education was low (25.7%), and most of the evaluation was done by "surveys about the program."The main cause of absence was "availability." Second, most of the fathers involved in the study thought that parenting education program conducted in the kindergartens to fathers was necessary. The prevalent reason for the necessity was "because fathers are also responsible for raising children," followed by "to form a close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because fathers are also responsible for proper education of the children," in decreasing order. Fathers’ perception of the effect and richness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to fathers was in normal level. They also recognized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the kindergarten parenting educatio program, coherency between education activities of the children and topics of parenting education was needed, and the directors and teachers must proceed only after thoughtfully considering the institute’s situation and researching.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ence of kindergarten parenting education and perception of kindergarten parenting education’s necessity.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ence of kindergarten parenting education and perception of the source of information about child raising and the effectiveness of kindergarten parenting education. In other words, fathers who experienced kindergarten parenting education program chose "kindergarten director and teachers" as the prime source of information about child raising, and they recognized that th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was running effec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