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연정-
dc.contributor.author박혜경-
dc.creator박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5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7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594-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는 정보매체, 뉴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문화, 경제 등 전반적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거리에 상관없이 서로 연결시켜 다양한 네트워크를 이루도록 해주었다. 컴퓨터와 통신의 발달이 가져온 디지털에 의해 가능해진 것이며, 모든 구성요소들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특히 사회구조의 양방향 소통관계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은 디지털 혁명의 새로운 변화를 일으켰고,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까지 와 있다. 오늘날 문학은 문자 개념과 텍스트의 개념을 확대된 의미에서 작업하고 있고, ‘글쓰기’ 또는 ‘텍스트’와 같은 문자 문화의 주 기능들이 하이퍼미디어를 통해 스토리텔링 되고 있다. 이제 이들을 상호작용과 같은 역동적인 개념으로서 이해해야 하며, 활자 미디어처럼 고정된 공간에서 지식을 발견하고 불러내는 것이 아니라, 공간에서 역동적인 움직임으로 이해된다. 뉴미디어의 발달로 디지털 미디어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형태를 도입할 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구조적인 층위에서도 새로운 유형을 반영하고 있다. 이런 새로운 유형이 텍스트의 확대된 의미에서 하이퍼텍스트(Hypertext)이며, 인터넷 상에서 끊임없이 다른 문서로 연결 가능하게 해준다. 본 연구는 텍스트의 연장선상에서 발전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의 개념을 변화하는 우리의 문화 속에서 이해하고, 그 특성을 고찰하여 하이퍼텍스트적 건축 공간 구성 원리의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하여, 현대사회의 유동적 환경에 대응하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크게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으로 구분할 수 있고, 우선 디지털 시대의 패러다임을 통해 사회적, 문화적인 변화와 특성을 고찰하고,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의 고찰을 통해 ‘비선형성’, ‘무경계성’, ‘상호작용성’, ‘다중심성’의 네 가지 하이퍼텍스트 공간 개념을 도찰하였다. 하이퍼텍스트적 공간 개념을 바탕으로 현대 공간의 디자인 표현 방법으로 비선형성은 중심의 해체, 네트워크 노드, 무경계성에서는 탈경계, 투명한 경계, 프로그램의 통합과 입체화, 비물질적 표현, 상호작용성에서는 상징적 외피로서 비물질화, 은유적 상징, 마지막으로 다매체성에서는 프로그램의 복잡화, 비기능적이면서 변화 가능한 공간, 흐름을 활용한 방법들로 정리 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퍼텍스트적 공간 개념들이 실제 건축공간에 어떻게 적용되어 질 수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우선 현대 건축 공간들의 사례분석을 통해 그 가능성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특성들은 물리적공간과 사이버 공간에서의 차이로 인해 적용되기 어려운 점도 있지만, 앞으로 디지털과 같은 정보화 기술의 발전 가능성을 가늠해 본다면 실현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이라 본다.;Moder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cultural and economic,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Information media. Regardless of distance, these flows of changes will make the network to connect to each other. The flows on network are important at a hypertext structure. This study is begun to apply to the architecture with the definition of hypertext 'nonlinear writing through human imagination' and its meaning is converted from writer centered to reader center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at understand and recognize the feature of the concept of the hypertext which is developed at extension line of text in our changeable space culture so that provide the direction and a possibility of hypertext construction space composition principal and investigates the method which confront in the flow environment of the contemporary society for the construction space. The research method could be divided in objection investigation and instance analysis, first, it is deduced four of hypertext space concept as 'nonlinarity', 'interactivity', 'boundlessness', 'polycentrism' wit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text and the hypertext. Based on the concept of hypertext space, nonlinarity means network nodes, dissolution core, boundlessness means transparent boundary, program Integration, interactivity means the intention of the space user is changed with reflected to the space, lastly program mix. The structure puts an emphasis on poly-centric feature, connections, flow and unclear directions, etc that are quite similar to modern cities' characteristics. Therefore, a hypertext structure can produce the structure that can satisfy modern cities' flexible characteristics. The hypertext structure can be applied to urban cities and architecture to let them be free from large-sized box shape having only functions, and it produces open structure having dynamic power of urban cities. In addition, the structure can be connected with neighboring areas and produce an event between composite progra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1.2. 연구 방법 및 내용 = 2 1.3. 연구의 흐름도 = 3 2. 디지털 미디어와 하이퍼텍스트 = 4 2.1. 디지털 패러다임 변화 = 4 2.1.1. 디지털 미디어 변화 = 4 2.1.2. 디지털 패러다임 특성 = 6 2.2. 디지털 미디어와 하이퍼텍스트의 개념 정의 = 8 2.2.1. 디지털 미디어의 특징 = 8 2.2.2. 하이퍼텍스트의 개념과 특징 = 11 2.3.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의한 하이퍼텍스트 = 19 2.3.1.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 = 19 2.3.2. 스토리텔링과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비교 = 22 3. 하이퍼텍스트에 의한 공간 특성 = 26 3.1. 위계의 소멸 = 26 3.1.1. 중심의 부재 = 28 3.1.2. 비순차적 공간 경험 = 28 3.2. 경계의 변화 = 30 3.2.1. 공간의 투명성 = 31 3.2.2. 프로그램의 통함과 입체화를 통한 경계 재설정 = 32 3.3. 내·외부의 상호 관계 = 32 3.3.1. 비물질성에 의한 시·공간 탈피 = 33 3.3.2. 구조적 내·외부의 해체 = 34 3.4. 프로그램의 복잡화 = 34 3.4.1. 비기능적이면서 변화가 가능한 공간 = 36 3.4.2. 흐름을 통한 공간 = 36 3.5. 하이퍼텍스트 공간 사례 분석 = 36 3.5.1. 하이퍼텍스트의 분석체계 = 36 1) 센다이 미디어 테크 = 38 2) 주시우 도서관 계획안 = 43 3) 21ST CENTURY MUSEUM OF COMTEMPORARY ART = 47 4) YOKOHAMA INTERNATIONAL PORT TERMINAL = 51 5) EYEBEAM MUSEUM OF ART & TECHNOLOGY = 55 3.6. 소결 = 57 4. 디자인 계획 = 61 4.1. 디자인 개요 = 61 4.2. 프로그래밍 = 62 4.2.1. 대상지 선정 = 62 4.2.2. 대상지 환경 분석 = 63 4.3. 디자인 과정 = 66 4.3.1. 디자인 개념 = 66 4.3.2. concept development = 68 4.3.3. design 계획 전개 = 72 4.4. 디자인 최종안 = 75 4.5. 디자인 종합 = 85 5. 결론 = 87 참고문헌 = 89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0357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공간 디자인 방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하이퍼텍스트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ethods Of design applying the digital storytelling technique : Focusing on hyper_text-
dc.creator.othernamePARK, hye-kyung-
dc.format.pagexii,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