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연정-
dc.contributor.author정주희-
dc.creator정주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5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7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513-
dc.description.abstract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ine, women’s life-span has increased along with increasing economic and cultural standards, which have brought progress in the quality of life, technical skills, marriage age, and a change in attitude toward their health, all of which have resulted in an increasing attention toward women’s hospitals. Thus, women have delayed childbirth as they become more active in society, and as their levels of consumption increase. Also, as their lifestyles have become more luxurious through increasing economic growth, their level of expectations regarding medical healing and child delivery has also increased. To respond to such demands, there have been changes in how interior colors and furniture and luxurious locations are used, and a change in attitude from merely providing medical healing or health management, but as providing a service to assist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of a woman’s life cycle. As a result, the hospital environment concept has been taking into account the need for customer service and the considerations of the patient. However, most women’s hospitals, despite catering to women, have stressed the importance of healing capacity and have largely ignored emotion elements in their design. As a result, the interior of the hospital has become a place for the physical and mental rehabilitation of women as well as a place for childbirth and postpartum care, where for doctors, it is a place of business, and for patients, a place of treatment and safety. Thus, current social demands emotion environments over merely functional spaces. Therefore, interior must have the communicative capacity to interact with the user by providing a decorative environment as a basic goal but also to encourage enjoyment and evoke human feelings. To achieve these goals, emotional design must be applied. Emotional design must pacify external discomforts, and mediate the senses so that no matter what the person is feeling, or what the person may feel from external discomforts, it will compensate for those distractions, and will make the user experience through their both their senses and the information of their surroundings, and should ultimately act to reduce their sensitivity toward discomfort. In sum, it acts to unite the human and the world and to assist in one of the basic elements of human life. Thus, a woman’s hospital is not only a place for women to heal their bodies, but is a place of special meaning where a woman is center of all care in preparing a new life to be delivered to the world, and thus, there is a need for an emotion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admission area is the domain of the patient where there is a focus on healing, so a stable, safe and calming space is needed to differentiate this space from other areas of the hospital. Consequently, the admission environment of domestic hospitals will be analyzed in this thesis to recommend design directions and to use the findings as a foundation to improve the existing environment of women’s hospitals by proposing the use of emotional design in interior medical environments. This paper is divided into 5 sections, and a brief summary of the contents are as follows. Section 1 is the introduction, where the research background and aims will be established, and the scope and research methods will be defined. Section 2 details past research and an investigation of the literature will be carried out to examine the design elements, in particular, the emotional design concept, elements of emotional design, methods of using space using those elements, the concept of healing spaces and medical environments. Section 3 explores the concept of a women’s hospital and i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will detail site inspections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admission areas of women’s hospitals in the metropolitan area.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patient’s environment will study the use of emotional design in the admission areas of women’s hospitals. Section 4 contains a case study through which the five human senses (taste, smell, touch, sight, hearing) will be investigated to find ways to produce emotional healing environments, with the aim of finding ways to improve the wards and healing rooms of domestic women’s hospitals, and will conclude by summarizing research findings to suggest a path for the progress of women’s hospitals. Section 5 will provide a synopsis of the research, including the significance of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in this paper. First, a well designed physical environment provides happiness and the feeling of stability by form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mind, and society. Second, the core element of emotional design is to reduce and minimize the fears women may feel about healing and childbirth, becoming a supplementary asset in the psychological healing of women. Third, hospital space that uses emotional design should not only be aesthetically pleasing, but a safe space where life is celebrated and medical treatment capacity is established considering the emotions of the patients as well.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further investigate the use of emotional design since the concepts and results discussed here are not actively considered by who manage hospital environments such as architects and designer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findings in the current research, there may be a need for the wide application of the emotional design concept. In summary,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factors behind the demands made on medical treatment facilities in the current social environment and provides evidence to support the use emotional designs as a future direction.;현대의학 기술이 점점 발달하면서 경제성장에 따른 문화수준의 향상과 과학적 의학 기술의 발달로 여성의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여성들의 삶의 질적 향상과 기술적 진보를 가져왔으며, 여성의 결혼연령 변화와, 건강에 대한 의식변화 등 여성 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여성병원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즉, 여성들의 사회활동이 많아지고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출산이 늦어지고 있으며, 경제성장에 따른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의 고급화로 자신의 몸 즉, 의료에 관심이 많아짐에 따라 출산에 있어서도 많은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최근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색채 및 가구, 고급소재 등의 사용변화에 있어서 여성 건강 전반에 관한 의료 환경의 성격으로 볼 때 출산이 치료, 처치 등의 단순한 의료행위가 아닌 여성의 라이프 사이클 전반에 기초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서비스의 차별화와 환자중심의 병원환경 개념으로 흐름이 바뀌고 있다.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여성전문병원들은 여성을 위한 병원인데도 불구하고 의료진의 기능적 업무에 중점을 두고 감성적인 면이 무시된 체 디자인 되어 왔으며, 여성 전문병원 환자 즉,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건강하지 못한 여성이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그리고 출산준비와 산후조리를 위해 이용하는 것으로 의사와 간호사 및 직원에게는 업무 공간이 적용 되고 환자에게는 치료와 안정의 공간이 된다. 그러므로 기능적 공간보다는 감성적인 공간의 의료시설증대가 요구되고 있는 현대사회는 디자인이 소비를 주도하는 만큼 공간에서도, 장식적인 기능은 물론이고 감각적인 즐거움과 인간의 감성을 상호 소통시켜주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으로 발전되어야 하는데, 그러한 기능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감성디자인의 적용을 들 수 있다. 감성은 외부의 자극을 수용하는 능력이며, 감각을 매개로 하여 인간이 어떤 대상과 감각이나 지각 등의 감정을 느끼게 하는 것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감각과 정보자극을 통해 느끼게 되며, 감수성과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다. 이렇듯 인간과 세계를 잇는 원초적 유대로써 인간생활의 기본적 영역을 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여성 전문병원이란 몸이 아파서 찾는 병원이라는 다른 진료과목에 비해 분만의 준비와 새로운 생명탄생을 준비하는 여성을 중심으로 모든 진료가 이루어지는 공간적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금 더 세심하고 감성적인 공간 연출이 필요하다. 특히 입원공간은 환자의 거주공간이자 치유의 촉구를 목적으로 안정되고, 안전하며, 온화한 공간으로 병원 내 타 공간과는 차별화된 치유환경으로서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여성전문병원 입원환경의 사례를 분석하여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 그를 토대로 여성전문병원의 향후 보다 나은 감성적 실내 치유환경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5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서론부분으로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설정하고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한정한다. 제 2장에서는 선행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해 감성디자인의 개념과, 감성표현요소, 요소로서 공간적용 방법, 치유공간의 개념, 치유환경에서의 디자인 요소 등을 알아본다. 제 3장에서는 여성전문병원의 개념 및 특성, 현장 방문을 통해 수도권 내 여성전문병원의 입원 공간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여성병원 환자의 입원환경을 조사, 분석함으로서 여성전문병원 내 입원공간의 감성적 디자인 적용방안을 강구한다. 제 4장에서는 사례분석의 틀을 바탕으로 인간의 감성 표현요소인 오감의 요소 (시각, 후각, 촉각, 미각, 청각)를 통해 감성적 치유환경을 연출하도록 접근하여 우리나라 중소규모 여성전문병원 병동부 치유환경 디자인을 계획하고 보다 나은 감성디자인의 적용방법과, 여성전문병원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여 연구 내용을 종합해 결론은 맺는다. 제 5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종합하여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고 결론을 도출한다. 이에 따른 연구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볼 수 있다. 첫째, 잘 디자인된 물리적 환경이 사람에게 행복감과 안정감을 주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관계가 성립된다고 보고 있다. 둘째, 감성적 치유환경의 요소는 두려움과 위압감을 느끼는 여성 환자에게 치료와 출산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시키며 여성 환자의 심리적 측면에 대한 치료의 보조수단이 된다. 셋째, 감성적 디자인을 적용한 병원공간은 단순히 미적인 공간이 아닌 환자의 정서적으로 안정된 측면에서 삶의 풍요로움을 더할 수 있는 장소로 기능적인 면과 감성적인 측면을 고려한 치유환경이 된다. 따라서 이외에도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감성 디자인의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며, 또한 현재의 병원환경과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건축가나 디자이너에 의해 실제 적용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므로 연구의 결과물인 정보의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선 좀 더 감성적 치유환경을 세부적으로 적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의료시설에 요구되는 치유환경 요소들의 분석과 감성적 디자인방향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배경 및 목적 = 1 B. 연구범위 및 방법 = 4 II. 감성디자인과 치유환경 = 6 A. 감성디자인의 개념 = 6 1. 감성디자인의 개념과 접근 필요성 = 6 2. 감성디자인의 표현요소 = 10 B. 치유환경의 개념과 요소 = 22 1. 치유환경의 개념 = 22 2. 치유환경 구성요소 = 25 C. 감성디자인 적용방안 = 35 1. 치유환경에서의 감성디자인 = 35 Ⅲ. 여성전문병원의 현황 = 40 A. 국내 여성전문병원의 실태 = 40 B. 감성적 표현 특성에 의한 치유 공간 사례 분석 = 42 C. 사례분석 결과 = 48 IV. 감성디자인이 적용된 여성전문병원 공간디자인 계획 = 50 A. 디자인 계획 = 50 1. 대상지 선정 및 분석 = 50 2. 디자인 전개 = 54 3. 디자인 최종안 = 62 4. 종합 및 평가 = 74 Ⅴ. 결론 = 75 참고문헌 = 77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472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감성디자인이 적용된 치유환경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여성전문병원 실내공간디자인-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Design in Healing Environments : Interior Design of a Women’s Hospital-
dc.creator.othernameJUNG, Joo-hee-
dc.format.pagexi,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