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1 Download: 0

행정정보공개와 행정책임성에 관한 연구

Title
행정정보공개와 행정책임성에 관한 연구
Authors
윤정원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서울시 행정정보공개와 행정책임성을 서울시의 실질적인 정보공개제도의 운영내용 분석과 정보공개에 대응하는 공무원의 책임성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알권리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공개는 주권자인 국민이 정치와 행정에 참여하여 정부를 통제하고 그 책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민이 정부 내에 축적되어 있는 정보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야하는 바 여기에 정부의 정보공개의 당위성이 있다. 이러한 국민의 알권리에 기초한 정보공개를 본 논문에서 행정책임성ㅇ과 연관하여 연구한 이유는 이제까지 우리나라의 정보공개는 충실히 이루어지지 못했고 또 정보공개가 이루어진 부분도 주로 일방적인 정책선전이나 주민설득에 그치고 있는 점을 중시하여 이를 공무원의 무책임성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무원의 책임성이 확보된다면 정보공개가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의 정보공개와 행정책임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향은 두 방향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첫째, 서울시 정보공개제도의 실질적인 운영내용을 분석과 둘째, 정보공개에 대응하는 공무원의 책임성분석이다. 서울시 정보공개제도의 실질적 운영내용은 다시 자발적인 정보공개인 ‘정보제공’과 청구요구가 있을 때 공개하는 ‘청구공개’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이에 대응하는 공무원의 태도는 공개담당자인 공무원과 공개청구권자인 시민·시민단체의 질적 면접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서울시 정보공개 제도운영상의 미비점이 발견되었으며, 행정정보공개제도와 관련된 공무원의 책임성에 있어서도 공개청구권자인 시민 측과 공개담당자인 공무원 스스로가 평가하는 책임성이 서로 상이한 모습을 보임으로써 전체적으로 불충분한 행정책임성을 드러내었다. 그러나 공무원의 책임 있는 태도여부가 정보공개의 성패를 가름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공무원, 시민, 시민단체 모두 동의하는 입장이었고, 시행 첫해와 많은 제도상의 문제점들이 보완되어 나가고 있었으며 이는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앞으로 공무원 의식전환과 정보 공개처리실무를 위한 공무원들의 실질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정보공개를 담당하는 전문적인 인력과 독립적인 부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ractice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Seoul city and the administrative responsibilities of the civil servants who are obliged to act according to the Public Information Act. Information disclosure is based on the Right to Know. The people have the right to know public information to participate in politics and governmental issues. This study deals with information disclosure for Korea's disclosure of information has never been fully implemented. They are executed partially 개 persuade and propagate government policies. Information disclosure has been misused and violated by irresponsible civil servants. Therefore, this study presumes information disclosure will be secured by the responsive acts of the civil servants. The study is composed of two parts : the analysis of the practical execution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Seoul city and the administrative responsibilities of the civil servants corresponding to the system. The first part is divided into the voluntary 'information offer' and the 'request opening' done when a demand is made. The second part is formed by substantive interview from three parties : the information disclosure executors 'the civil servants', and the demanders 'the citizens' and 'the civil society organization'. Due to the qualitative character of this study, the interview method was used instead of quantitative methodologies. The interview was done to the persons concerned including the civil servants, the citizens and the civil society organizations. They were performed in th form of conversation to acquire their experiences, feelings, and evaluations without filtering. By analyzing the interview,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Seoul was found to be defected.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was also insufficient as the information demanders and the civil servants were in discordance in responsibility evaluation. In results, it is agreed by all three parties that the success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will be accomplished by the responsive acts from the civil servants and there is a lot of space for betterment. However, system procedures and materials have been improved compared to the first year of implementation. For more development, education for mind transformation and practical skills is needed in the side of civil servants. Specialist training and independent office establishment are also required for the better execution of the A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