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정서행동 문제 청소년 대상 음악치료 연구 분석

Title
정서행동 문제 청소년 대상 음악치료 연구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music therapy for Adolesc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 A Review of the Domestic Thesises from 2000 to 2008
Authors
조현경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8년까지 국내에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관련 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 34편의 내용을 분석하여 이제까지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음악치료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 논문들을 연구 대상, 방법, 목표, 연구에서의 음악적 중재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의 연도별 동향을 살펴보면, 2002년도에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청소년 관련 음악치료 논문이 7편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품행 문제를 가진 청소년에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2006년과 2007년에는 각각 5편으로 후반기에 들어 연구되는 논문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안 문제를 가지고 있는 청소년 음악치료에 관한 연구 논문이 2008년에 처음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 방법의 분석에서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실험 연구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하위 영역으로는 실험-통제 집단 설계로 한 연구 논문이 가장 많았다. 이는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청소년 관련 음악치료 연구가 음악적 중재를 하고 그 결과를 살펴보는 임상 관련 연구들로 많이 시행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2006년도 이후로 단일대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연구 총 25편 가운데 자료 분석방법을 알아본 결과, 양적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는데 이는 실험-통제 집단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의 목표 영역을 분석해서 살펴보면, 2가지 이상의 목표를 가지고 있는 복합 영역이 16편(47.1%)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사회 영역 11편(32.4%)이었다. 위의 두 영역은 전체의 약 80%로서 대다수를 차지했다. 인지 영역과 음악 영역에 대한 비율이 낮은 이유는 각각 독립적 목표가 설정되어지지 않고, 복합 영역 안에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복합 영역 중에서도 사회·정서 영역을 목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반면, 언어 영역과 운동 영역에서는 전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넷째, 음악적 중재별로 분석해 본 결과, 25편의 실험 연구 중 노래 부르기와 악기 연주, 음악 감상을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래 부르기에 사용된 대부분의 악곡은 청소년들이 즐겨 부르는 대중 가요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자나 대상자들이 직접 작곡한 곡들도 사용되었다. 악기연주 활동에서 주로 사용된 악기는 타악기였다. 악기 연주에 사용된 곡 중에서 제목이 수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즉흥 연주는 악기 즉흥연주가 대부분이었고, 음악과 동작은 주로 세션 초기에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음악 감상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토의하기와 음악 감상 후 느낀 것을 즉흥연주 하기 등의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청소년 음악치료 연구들이 연구 대상이나 연구 유형, 목표 영역, 음악적 중재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편향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추후의 연구들은 대상별, 유형별, 영역별, 음악적 중재별로 균형있는 연구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음악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음악치료가 전문적인 영역으로 발전하기 위해선 각 대상, 목표 영역에 따라 적합한 특성화된 음악적 중재를 사용하는 연구가 많이 시행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특성화된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되고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34 theses and journal dissertations about music therapy for the adolesc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ssued between 2000 and 2008, and thereby, analyze the effects of the music therapy on improvement of such problems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researches into the music therapies. The sample theses and dissertation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study subjects, study methods, goal fields and musical interven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yearly trend of the theses and dissertations, it was found that those about the music therapy for the adolesc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ccounted for most (n=7) of them in 2002, and that most of them were about their conduct problems. In 2006 and 2007, each 5 theses or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which suggests that the number of researches about this subject has increased over time. In 2008, a theses about the music therapy for the adolescents with anxiety problems was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y methods,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studies accounted for most of the studies, while in view of the sub-areas, test-control group designs accounted for most of the studies. Such findings may suggest that the researches into the music therapy for the adolesc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used some musical interventions for them and thereby, assessed the results of the interventions clinically. It was also found that since 2006, many researches for a single subject had been condu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thods of analysis for 25 experimental researches, it was found that the quantitative researches had prevailed, which suggests that test-control group designs had been used much.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oal fields, it was found that the complex fields with 2 or more goals accounted for most (47.1%, n=16), followed by the social field (32.4%, n=11). These two types of the goal fields combined accounted for about 80% of the researches. The reason why the ratios of intelligence and musical fields were lower was probably because they had not been set as independent goal fields but included in the complex fields. The social and emotional goal fields accounted for most of the complex fields. In contrast, no researches had been conducted in the language and sports field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usical interventions, singing, instrumental playing and music listening accounted for most of the 25 experimental researches. Most of the pieces used for singing were pop songs favored by the youth, and some pieces were composed by researchers or subjects. The primary instruments used for instrumental playing were percussion instruments. Many pieces used for instrumental playing had no titles. Impromptu performances were played by impromptu instruments in most cases. It was found that music and actions had been used much at the earlier part of the session. Music listening consisted primarily of recognition of emotion, discussion and impromptu performance after listening to music.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searches into the music therapy for the adolesc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have not bee diversified in terms of types, goal fields and musical interventions. So, it is hoped that future studies will strike a balance among subjects, types, fields and musical interventions to find more effective music therapy. In addition, in order to develop the music therapy into a more professional discipline, more researches focusing on specialized musical interventions according to subjects and goal fields should be conducted, while more customized music therapy programs should be researched into and develop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