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30 Download: 0

'여로형' 소설의 교육 방법 연구

Title
'여로형' 소설의 교육 방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 of the Journey Novel : Focusing on 「The Road To Sampo」
Authors
채현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현숙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자가 텍스트와 상호 긴밀하게 소통하여 의미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탐구로서의 소설교육’을 지향한다. 소설교육의 장에서 문학교사는 학습자에게 소설 해석의 원리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깊이 있는 소설 경험을 돕는다. 현대소설의 여러 양상 중에서 여로형 소설에 주목하였고, 여로형 소설의 특성을 반영한 여로형 소설의 교육 방법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특별히 여로형 소설에 주목한 것은 여로형 소설이 취하고 있는 여로라는 구조에 기인한다. 여로는 인간의 삶과 가장 닮아 있는 구조이다. 떠남과 돌아옴의 여정, 그 사이에 존재하는 위기의 시간, 그리고 인간의 성숙 및 변화는 학습자로 하여금 현재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하고, 앞으로 지향할 삶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여로형 소설을 경험한다는 것은 해당 작품을 깊이 있게 수용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학습자 자신의 삶을 탐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여로형 소설은 작중인물이 머물러 있던 곳을 떠나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여정이 작품의 중심구조를 이루는 소설로, 출발점에서부터 도착점에 이르는 인물의 물리적 공간 이동 즉 여로가 드러난다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여로형 소설의 교육 방법은 인물의 여정을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Ⅱ장에서는 현행 소설교육의 범주 속에서 여로형 소설을 다루기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과 문학교육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학교육과 교과서에 나타난 소설교육을 검토하여, 여로형 소설 교육 방법 설계의 방향 및 범위를 점검하였다. 이어 여로형 소설의 교육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여로형 소설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장르적 특성을 정립하여 여로형 소설 교수-학습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여로형 소설의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여로형 소설 교수-학습 모형은 읽기 전 단계인 ‘길의 서사에 다가가기’, 발견적 읽기 단계인 ‘인물의 여정 발견하기’, 탐구적 읽기 단계인 ‘여정의 의미 탐구하기’, 넓혀 읽기 단계인 ‘다른 작품과의 관계 확인 및 확장’의 네 단계로 구성하였다. Ⅳ장에서는 여로형 소설 교수-학습 모형을 황석영의 「삼포 가는 길」에 적용하여, 여로형 소설 교수-학습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여로형 소설 교육 방법은 읽기 전-중-후의 활동을 기본으로 마련된 체계적인 교수-학습 단계 속에서 학습자가 여로형 소설 작품의 전문(全文)을 읽고, 질문과 탐색의 과정을 거쳐, 작품을 해석하는 수준의 문학 경험을 하도록 설계되었다. 이와 같은 여로형 소설 경험은 학습자에게 내면화되어 자신의 삶에 대해서 탐구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is study pursues 'education of a novel as exploration' for learners to closely interact with the 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educational method of the journey novel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 journey. This research especially focused on the journey novel in that the journey novel adopts the structure of a journey which reflects a life of a human-being. The itinerary from departure to arrival back, time of crisis between them, and maturation and change of a human-being enable learners to reflect their life and to set the purpose of their life. Therefore, reading the journey novel is not only for deeply understanding their reading but also for exploring the learner's own life. The journey novel has an itinerary of characters in a story with depicting characters' route. Thus, educational method of the journey novel is planned by focusing on a journey of characters. In the chapter II, the Korean curriculum and literary education are researched. This chapter attributes to reviewing direction and designing the educational method, by analyzing literary education in the curriculum and novel education in the literature textbooks. The possibilities of educating the journey novel is also researched with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journey novel. Therefore, this chapter provides the evidence of teaching-learning the journey novel. In the Chapter III the teaching-learning model is researched. This teaching-learning model] consists of 1 pre-reading level - approaching a prologue, 2 encountering level - discovering the character's itinerary, 3 exploring level -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journey, 4 expanding level - confirm of relationship and extension with another text. In he fourth chapter, this study suggests a new teaching method of the journey novel focusing on 「The Road To Sampo」. In conclusion, by the learning journey novel, the students can improve thei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journey nove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