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김수진-
dc.creator김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9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5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7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51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탐구학습이 문법교육을 정상화할 수 있는 중요한 교수ㆍ학습 방법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교육내용과 교육주체를 강화한 탐구학습 상세화 모형을 제안하여 문법교육에서 탐구학습의 사용을 활성화 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실태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확인한 탐구학습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학습은 문법교육의 중심을 교사에서 학습자로 변화시켰다. 탐구학습의 학습자 중심적 성격은 문법교육의 교수ㆍ학습 방법을 과거의 주입식 강의법을 고수하던 것에서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지식 생산 경험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수정하게 만드는 실마리를 제공했다. 둘째, 문법영역 교육내용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교수ㆍ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문법교육의 탐구대상은 언어 현상 및 국어사용이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익숙하며 학습에 필요한 자료를 구하기도 수월하다. 셋째, 학습자로 하여금 문법영역에 대해 스스로 관심을 갖고 체험해 보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학습자 스스로 흥미로운 언어 현상을 찾아 문제로 삼고 이에 의미를 부여하며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는 지식 생산의 총체적인 경험을 하도록 함으로써, 문법교육이 더 이상 어렵고 지루한 과정이 아닌 흥미롭고 재미있는, 즉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과정이 될 수 있다. 문법교육 현장에서 탐구학습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에 대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교사들은 탐구학습이 문법교육에 미치는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수업에서의 활용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고는 이러한 결과의 원인을 기존의 탐구학습 모형이 문법교육의 현실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결론 내리고, 보다 실제적인 성격의 탐구학습 모형을 구현하기 위하여 교육내용과 교육주체라는 요소를 탐구학습과 접목시켰다. 본고의 주된 목적인 탐구학습 상세화 모형은 문법영역 교육내용의 성격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주체, 즉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을 구분하고 이에 따라 각각의 특성에 맞는 탐구학습 모형을 설계하는 것이 주를 이룬다. 탐구학습 상세화 모형을 설계하는 데 있어 교육내용과 교육주체를 분석 대상으로 삼은 것은 다음의 두 가지 측면을 주목했기 때문이다. 첫째, 문법영역의 교육내용은 매우 광범위하다. 문법영역은 현장에서 비교적 교수되고 있지 않는 국어사 영역을 제외하고도 음운론, 형태론, 문장론, 어휘론, 화용론에 이르는 광범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다양한 교육내용은 그 성격에 맞는 서로 다른 교수ㆍ학습 방법을 적용해야 보다 효율적이고 유의미한 학습으로 구성할 수 있다. 둘째, 탐구학습은 교수ㆍ학습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역할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교수ㆍ학습 모형이다. 탐구학습은 탐구주체라고 할 수 있는 학습자의 탐구활동과 교수자이자 안내자라고 할 수 있는 교사의 안내활동의 상호작용을 통해 탐구의 과정을 진행해 나간다. 정리하자면 탐구학습 상세화 모형은 기존의 획일적인 탐구학습 모형을 전 영역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문법영역 교육내용이 가지고 있는 광범위한 성격과 탐구학습이 가지고 있는 참여자의 역할을 강조한다는 측면을 고려하여 교육내용의 성격에 따라 강화해야 할 탐구학습 과정을 달리 선택하고 그 과정에서 교육주체인 교사나 학생의 역할을 적절히 분배하여 실질적이고 적용 가능한 모형을 설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문법교육에서 탐구학습을 적용하고자 할 때 기존 탐구학습 절차를 획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내용과 교육주체에 맞는 상세화된 탐구학습을 적용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보다 효과적이고 유의미한 지식 생산을 경험할 수 있게 하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교육내용의 성격에 따라 해당하는 탐구학습 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첫 번째 단계로 이를 교육내용에 따른 상세화라고 할 수 있으며, 교육내용에 따라 교육주체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두 번째 단계로 이를 교육주체에 따른 상세화라고 할 수 있다. 탐구학습 상세화 모형은 위의 두 단계를 접목하여 설계한 것으로 교사-안내 강화 모형, 교사-조력 강화 모형, 학생-탐구 강화 모형, 학생-실천 강화 모형이 있다. 끝으로 각각의 모형의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This study recognizes inquiry activities as an importa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hich can normalize grammar education and proposes an inquiry activity specialization model with strengthened educational contents and educational bodies. The study aims to further promote the use of inquiry activities for grammar education. For this, this study has conducted documentary studies as well as a research survey. Points related to inquiry activities examined through the documentary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quiry activities has shifted the focus of grammar education from the instructor to the student. Such student-centered characteristics of inquiry activities have provided students with a meaningful knowledge producing experience as well as the means to overcome past cramming methods of education. Second, it has proposed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hich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education contents within the grammar domain. As the subjects of inquiry for grammar education are language phenomenon and language use, such has high familiarity levels with students and also allows easy access to necessary materials. Third, it provides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grammar area and develop an interest. Students themselves can discover interesting language phenomenon and find their significance, through which, they are provided a comprehensive experience allowing knowledge production. Consequently, students more easily discover that grammar education is not a boring or difficult thing, but rather an interesting and fun, in other words, a meaningful learning process. The specialization model for grammatical inquiry activities, the central objective of this study, divides the role of the educational body, such as the roles of teachers and student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of grammatical education content. Such allows for the design of inquiry learning models match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ody. The reason for using the education content and education body as the subjects for analysis for the design of the specialization model for grammatical inquiry activities was due to the following perspectives. First, the scope of education for grammar is wide. The variety in education content allows for more efficient and meaningful curriculums to be designed as such variety requires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econd, inquiry instruction is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which the role of participants who participate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is important. Inquiry instruction must be conducted through an inquiry process in which the inquiry activities of the student and the guidance activities of the instructor must mutually apply to be effective. To organize, the specialization model for grammatical inquiry activities does not apply the previous standard inquiry learning model to all educational areas, but rather is a model which differently selects inquiry learning processes in accordanc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content and adequately distributes the roles of instructors or students within the consideration that grammar education is wide-ranging as well as that the role of participants must be strengthened within inquiry learning processes. Such will provide the functionality which allows students to partake in more efficient and meaningful knowledge production experiences. The first stage is to strengthen the inquiry learning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content and can be specialized according to educational content. The second stage will be to strengthen the role of the educational body in accordance to the educational content and can be specialize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ody. The specialization model for grammatical inquiry activities was designed by integrating the two stages described above, and can be classified into the instructor-guidance strengthened model, instructor-assistance strengthened model, student-inquiry strengthened model, and student-practice strengthened model. Lastly, the plans for application of each model will be propo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 3 C.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 8 Ⅱ. 탐구학습 상세화의 이론적 배경 = 10 A. 문법교육에서 탐구학습의 중요성과 의의 = 10 B. 탐구학습에 대한 국어교사의 인식 및 탐구학습 적용 실태 = 14 1. 사전 실태 조사 = 14 C. 탐구학습 모형에 대한 고찰과 비판적 검토의 필요성 = 20 1. 기존 탐구학습 모형에 대한 종합적 고찰 = 20 2. 기존 탐구학습 모형에 대한 비판적 검토의 필요성 = 23 Ⅲ. 탐구학습 상세화 모형 개발의 원리 = 25 A. 문법 교육내용의 성격에 따른 상세화 = 26 1. 수렴적 범주 = 30 2. 발산적 범주 = 33 B. 문법 교육주체의 역할에 따른 상세화 = 36 1. 학습자 활동 중심 = 37 2. 교사 안내 중심 = 39 Ⅳ. 탐구학습 상세화 모형 개발의 실제 = 46 A. 교사-안내 강화 모형 = 47 1. 교사-안내 강화 모형의 틀 = 47 2. 교사-안내 강화 모형의 활용 = 49 B. 교사-조력 강화 모형 = 52 1. 교사-조력 강화 모형의 틀 = 52 2. 교사-조력 강화 모형의 활용 = 54 C. 학생-탐구 강화 모형 = 57 1. 학생-탐구 강화 모형 = 57 2. 학생-탐구 강화 모형의 활용 = 59 D. 학생-실천 강화 모형 = 62 1. 학생-실천 강화 모형의 틀 = 62 2. 학생-실천 강화 모형의 활용 = 64 Ⅴ. 결론 = 67 참고문헌 = 70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81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문법 탐구학습 상세화 모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 specialization model for grammatical inquiry activities-
dc.creator.othernameKim, Soo-jin-
dc.format.pageⅸ,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