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33 Download: 0

음악과 지필평가 문항분석과 실음지필평가 문항개발

Title
음악과 지필평가 문항분석과 실음지필평가 문항개발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Question of Paper Evaluations in Music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unds Based Objective Test
Authors
이종민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희선
Abstract
음악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평가는 학생이 교육 목표를 성취했는가를 점검하고, 그 결과를 당사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앞으로의 교육적 노력의 방향을 효율적으로 결정하도록 돕는다. 또한 평가의 결과를 반영하여 교육과정의 계속적인 수정과 보완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음악 교육의 질을 제고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음악 교과의 평가는 평가하고자 하는 학습 목표에 따라 인지적, 심동적, 정의적 영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영역에 따른 적절한 평가가 필요하다. 학교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음악과 평가는 지필평가와 실기평가가 있으며 그 중에 지필평가는 인지적 영역을 측정하기에 가장 적절한 도구라 할 수 있다. 7차 교육과정과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지필평가는 지식 위주의 평가를 지양하고 실제 음악을 바탕으로 평가하는 ‘실음지필평가’를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에서는 제반시설의 부족, 시간부족, 정보의 부족으로 실음의 활용이 낮은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문계 중학교에서 실시되는 음악과 지필평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알아보고, 실제로 활용 가능한 실음 지필 평가 문항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서울시에 소속되어 있는 7개의 중학교에서 2008년 1학기 기말고사에 실시된 1, 2, 3학년의 문항을 수거 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도구로써 ‘이원목적분류표’를 사용 하였다. 이를 통해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음악적 개념을 고루 다루었는지 알아보고 블룸(Bloom)의 교육 목표 분류학에 기초하여 단순 정신 능력부터 고등 정신 능력까지 측정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의 출제 비율과 다양한 문항 유형을 출제 하였는지 알아 보았다. 문항 분석 후에 문제점을 보완 하여 실음 지필 평가 문항을 개발 하였으며 학교에서의 적용성 여부를 현직 교사의 감수를 통하여 검증 받았다. 문항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노래 가사나 음악사에 해당되는 기타 개념이 가장 많이 출제 되었고, 그 다음으로 가락, 악곡의 특징 순으로 많이 출제 되었다. 둘째, 고등 정신 능력에 해당되는 ‘적용’ 문항의 출제 비율이 가장 낮았다. 셋째, 서양음악의 출제 비율이 전체 문항의 70%이상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넷째, 대부분의 문항이 선다형으로 출제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교과 지필평가의 방향을 모색해보면 다음과 같다. 음악과 지필 평가는 무엇보다 실음을 중심으로 하는 평가가 이루어 져야 한다. 학교에서는 실음 지필평가가 실행 될 수 있도록 제반 시설의 확충에 힘쓰고, 음악교사는 연수를 통해서 실음 지필 평가 문항에 대한 이해와 개발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음악의 다양한 개념과, 악곡을 폭넓게 다루도록 하며 학생의 지적 이해력, 적용 능력 등 고등 정신을 골고루 평가 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 하도록 한다. 또한 교수-학습 과정에서 전통음악의 비중을 늘려 평가에서도 전통음악을 많이 다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업 시수를 확대 하거나, 음악 교사 수를 늘려서 실음지필평가에 대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통하여 양질의 음악과 지필 평가가 이루어지고 중학교 음악과 평가 연구에 유용한 자료로 쓰일 수 있기를 바란다.;Assessment in music ducation can examine how educational objectives of students are accomplished, and by providing the results, it helps them to choose their course of action for the educational efforts effectively.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also play an important role to improve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through continuous influence on adjustment and complement of the curriculum of music. Assessment in music education can be sorted into the cognitive domain, the psycho-motor domain, and the affective domain under the learning objective for the assessment. Each domain of the music assesment need proper way of evaluation. The assessment of music education mainly taken in schools are paper evaluation and musical performance evaluation, and among them, the paper evaluation is the most proper mean to evaluate the cognitive domain. Under the 7th curriculum and revised curriculum, paper evaluation does not aim to evaluate students based on knowledge but on real sound. However, it is not utilized well due to the lack of fundamental facilities, time, and information in the schoo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paper evaluations of music in middle schools and to develop the questions of the paper evaluations in real sound which can be utilize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the questions of the 1st, 2nd, 3rd grades' final test in the 1st semester of 2008 in seven middle schools in the city of Seoul using a two-way specification table as a means of analysis. Through this analysis, I investigated if the musical concepts presented in the 7th curriculum are evenly dealt with, and it is measured from simple mental ability to higher mental ability on the basis of the taxonomy of education objectives. Furthermore, I investigated the proportion of the questions between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 styles, and the diversity in the pattern of questions. After analyzing the questions, I developed some questions for the paper evaluation on real sound compensating for any problems encountered, and then verified if they can be applied to the school curriculum through the supervision of the teachers of middle schools. The results of thr study are as follows: Generally, most of the questions are about the concepts of the lyrics and history of music, and then some of the questions are about melody and characteristics of musical pieces in order. Moreover, the question of 'application' which comes under the higher mental ability, are in the lowest proportion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questions about western music are 70% of the whole questions. Finally, most of the questions are multiple choice quest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directions of future paper evaluations on the music curriculum can be presented as follows. The paper evaluation on the music curriculum should be taken on real sound. The schools should make efforts on the expansion of the fundamental facilities to enforce the paper evaluation on real sound. Music teachers also have to make efforts to develop and understand about questions of the paper evaluation on real sound through training. Moreover, the questions need to be developed to involve the diverse concepts of music and evaluate the higher mental ability such as understanding, ability of application, etc. Furthermore,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more traditional music should be involved to evaluate as well. Finally, more classes and teachers need to prepare for the paper evaluation on real sound. This study hopes to make the paper evaluation for the music curriculum of a good quality and to be used as useful data to the study on the evaluation of music curriculums in the middle sch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