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향혜-
dc.creator이향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6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6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68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21세기 한국의 기독교 선교가 다종교 사회속에서 상황화 선교를 이루어 나가야 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이에 대하여 상황화 선교의 관점에서 토착화와 상황화 선교이해와 한국의 다종교 사회현황 분석 및 한국타종교와 다종교적 관계에서의 상황화 선교를 전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를 하게 된 것을 최근 한국의 기독교 선교가 다종교 사회 속에서 타종교와 종교다원주의의 도전으로 인해 심한 혼란과 위기 속에 처해 있음을 인식하고 21세기 한국의 기독교 선교는 토착화와 상황화 선교이해를 통해 이에 대한 연구와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현대는 타종교의 비판을 자제하는 종교다원주의의 추세이다. 그러나 21세기 한국의 기독교 선교는 궁극적으로 타종교와의 만남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타종교와의 경쟁과 충돌이 야기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예측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목적은 토착화와 상화화 선교이해를 통하여 각 종교의 현황, 전망, 유사점, 장애점, 접촉점을 밝혀서 이러한 상황에 효과적인 상황화 선교를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하에 본 논문은 토착화와 상황화 선교를 연구하여 이해해 본 결과 에큐메니칼- 에반젤리칼 상황화 선교의 특성이 성서적으로 가장 적합한 유형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1세기의 한국의 다종교 사회속에서의 상황화 선교를 에큐메니칼적이면서 에반젤리칼적인 토착화와 상황화 선교의 입장에서 다루기로 한다. 이와 같은 입장에서 본 논문은 최근 20년간 한국의 종교별 현황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도출하게 되었다. 첫째로 한국유교는 통계에 나오는 종교 인구로서는 그 교세가 미약하지만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조상숭배와 조상제사를 절대적인 효행으로 여기며 유교적 사고와 관습에 젖어 있고, 유교의 지도자들은 이러한 유교문화권 사람들을 유교인으로 흡수하고 단결하여 한국유교의 옛 영광을 회복하려고 시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앞으로 한국유교가 이와 같은 유교문화권의 수많은 일반인들을 흡수하게 된다면 그것은 21세기 한국대신교의 상황화 선교의 큰 장벽이 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로 한국불교는 해방 후 오랜 불교계의 분쟁을 어느 정도 수습하고 불교의 교세확장에 큰 관심과 힘을 모으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불교의 현대화 계획을 추진 중인데 그 과정에서 기독교의 발전된 교리 체계와 선교프로그램들을 과감하게 도입하고 모방하고 있다. 이러한 불교계의 교세확장을 위한 현대화 운동은 교리적으로는 기독교의 교리에 정면으로 도전하고 있고 포교활동에서는 기독교의 모든 선교현장에 경쟁적으로 참여함으로서 21세기 기독교의 상황화 선교에 큰 장애가 될 것으로 보인다. 셋째로 한국샤머니즘은 정부의 모든 종교자유화 정책에 따라 지금까지 일반인들에게 미신종교라는 이미지를 종식시키기 위해 종교단체를 결성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학문적인 연구를 병행함으로서 또 하나의 한국의 거대종교로 부상할 가능성이 보여 진다. 넷째로 한국 이슬람교는 아직까지는 한국의 다종교의 하나로 보기에는 그 교세가 미약한 상태이지만 이슬람교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교 인구를 가진 종교라는 점과 이슬람권 선교의 활동이 현재 세계 각처에서 기독교의 선교활동을 능가하고 있은 점으로 보아 2세기의 한국사회에도 이슬람권 선교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신흥종교 중에서 단군계는 그 교세가 적지 않지만 단군을 국조로 숭배하는 신앙과 일반인들이 단군을 국조로 알고 있는 점이 일맥상통하여 한국인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종교로 보여 진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21세기 한국의 다종교 사회속에서의 기독교의 상황화 선교는 한국사회를 기독교 문화권의 사회로 변혁시켜야 하는 중대한 사명의식을 가져야 하며 만약 이러한 사명을 가져야 하며 만약 이러한 사명을 감당하지 못한다면 한국의 기독교는 한국에 먼저 들어온 유교나 불교와 같은 또 하나의 종교로서 한국에 남게 될 것이다. 또한 기독교 선교가 성서에 근거한 올바른 토착화 선교를 이루지 못한다면 유교나 불교처럼 한국의 샤머니즘과 혼합주의 형태의 종교로 변질되어질 위험이 있음을 인식하고 경계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에큐메니칼- 에반젤리칼적인 입장을 유지하면서 한국의 각 종교에 대한 적극적인 상황화 선교대책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인 한국의 타종교의 세밀한 교리와 전통 및 그 종교의 조직체계는 앞으로 깊이 연구하여 보다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선교대책을 모색하고 심화시킬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eek an effective ecumenical- evangelical mission in Korean context and to apply the contextualization to Korean Christian cultural society that Korean Church may lead Korean society in religious plural society of 21st century to a society based on Christian culture. I described that is some struggle and competition among religions in Korea because no religion has occupied whole Korean culture as to lead it with initiative, and pointed out that Korean Church is facing in the limitation of mission the situations resulted in and find in resolution. For I recognized the limitation and the crisis of mission in religious plural society in Korea, I tried to seek an advancing mission of contextualization. In this essay, however, I developed the contextualization in Christian mission on the ecumenical faith in evangelism grounded in the Bible. In chapter 2, I explained the indigenization an the contextualization of missions, understanding it in an effective ecumenical- evangelical view. It is desirable that when the gospel meet Korean culture, the indigenization of mission should not loss traditional Christian characteristics and essence of the gospel the Bible says. By doing so, Should the gospel be penetrate into Korean culture and reconstruct thoughts and ethics rooted in religions given, transforming it to Christian culture. The contextualization of mission needs to identify the identity and the difference in meanings between indigenization and contextualization. Bruce C.E. Fleming defined most clearly it. According to Fleming, indigenization usually is reffered to focusing on how to proclaim the gospel effectively in the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indigenization means the process of communicate the gospel with an appropriate language and pattern in a culture world. Contextualization is purposed to challenge and transfer real world in the historical context. In this respect, contextualization can be a term which has been used, focusing on the message of the crucial issues in the lifes of those who have strived to seek contact points between the Word and the World. In chapter 3, I prospect the developments of religions in 21st century, examining plural religious society specifically in Korea. These days, religions in Korea have propelled modernization in their traditions, participation competitively in contextualization of their mission as much as Christianity. Wee should recognize it as mission fields for contextualization being encroached. So, We perceive that 21st century predicts a crises of significant situation in Christian mission. Considering that respects, I analysed the individual growth and change of religions for 20 years in Korea and tried ton find alternatives in Christian mission for effective contextualization. I attempted this in the desire of that Korean churches would be concerned in contextualization of Christian mission. And I examined the analysis of the growth, the situation , and the prospect of Korean Catholics. By doing so, I think, the contextualization that Korean Catholic Church has attempted might be help for the contextualization of Christian mission because the former precedents in many respects while identified with the latter. In chapter 4, I searched other religion traditions in Korea. I tried to find out what make believers in other faiths open their hearts, dealing with contact points and obstacles in the fields which the gospel is facing in other faiths. First, the greater obstacle for evangelization to follower of Confucianism in Korea is about the worship of ancestors. Therefore, in order to evangelize believers in Confucianism, Christian mission should reveal in practice that honoring parents in Christianity is better than that of Confucianism. Secondly, for the mission to believer in Buddhism, the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Buddhism is required. To do so, Christians have to possess some knowledge about Buddhism philosophy. Then Christians should be models to them in practice of love that is essence of Christianity because Buddhism are that the most concerned in practice of charity. Thirdly, To do mission to those who follow Shamanism, the approach with love and respective attitudes might be effective, We Christians must acknowledge that the spirituality of Shamanism is smiler to that of Christians in korea in some degree so that they are ready to understand and accept God. We should, However, clarify the Spirit of Christianity from that of Shamanism in the views of the Scriptures not to be confused. Fourth, Islam, I think, has little impact in Korea because of believer in the small group. Korean Church, however, should recognize that Islam is the biggest religion in the world, and that the speed of it's faster than that of Christian growth. That is why Korean Church should make provision against thrusting into Korea, preparing equipments to get information about Islam, establishing research institutions as like 'Institute of Islamic Studies' so that Korean Churches may cooperate for this in the level of transdenominations. Finally, I discussed about Dangunism, in terms of a new religion, that is raising conflict with Korean Church because of construction of statues of Dangun and movement to locate the statues in many palaces over the country. I dealt with the historical issues of Dangun myth which is the base of worshiping the national Father rather than going to mission directly to followers Dangunism. It is better to commit historical issues to historians than to confront with religious issues. Preventing people from worshipping Dangun demands distinguishing the matter of considering as the national father from that of worshipping. For the worship of Dangun comes to naturally construction of its temples and statues, dangerous confusion might rise. I pointed out that more fundamental and specific follow ups should be continued so that the contextualization of mission effectively might be carried out in religious plural society in Korea 21st century. I suggest the follow ups as the below: First, Korean Church has to discuss about the indigenization and the contextualization of mission with open minds in the level of transdenominations and reach an accord view of it as soon as possible. Secondly, research institutions in the level of trasdenominations have to be established to prepare the contextualization of mission as we know through the analysis of statistics of religions in Korea. For the statistics of religions which I used in this article are of the period from 1971 to 1990, the analysis can changed according to new resource. Thirdly, preparation also against other religions except for Confucianism, Buddhism, Shamanism, Islam and Dangunism which are dealt with in this article needs to consider.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the level of transdenomination need to be established to study more on traditions, principles, and organizations on other faiths. What I enumerate and suggest above are also tasks and limitations which I and Korean Church should admi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문제제기 및 연구 목적 1 2. 연구범위 및 방법 4 II. 토착화와 상황화 선교이해 6 1. 토착화 선교의 이해 6 1) 토착화 용어의 의미 6 2) 토착화의 과제 14 3) 한국의 토착화 신학과 비판 18 2. 상황화 선교의 이해 23 1) 토착화와 상황화의 관계 23 2) 하나님 선교(Missio Dei)의 개념 25 3) 상황화 선교의 다양성 26 4) 비판적 상황화 32 5) 복음주의적 상황화 34 6) 한국의 상황화 신학과 비판 41 III. 현대 한국의 다종교 사회현황 분석과 상황화 선교 44 1. 현대 한국의 다종교 현황과 전망 44 1) 현대 한국유교의 현황과 전망 45 2) 현대 한국불교의 현황과 전망 47 3) 현대 한국천주교회의 현황과 전망 50 4) 현대 한국민족종교의 현황과 전망 54 2. 최근 한국의 종교통계자료 분석과 상황화 선교 59 1) 최근의 종교별 교세현황 분석과 상황화 선교 59 2) 종교인구 나이별 분석과 상황화 선교 61 3) 종교별 성분석과 상황화 선교 70 4) 종교별 집회참여도 분석과 상황화 선교 73 5) 종교적 교리에 대한 관용도 분석과 상황화 선교 75 6) 지역별 종교적 특성 분석과 상황화 선교 77 7) 종교별 사회복지시설 분석과 상황화 선교 79 IV. 한국타종교와 다종교적 관계에서의 상황화 선교 84 1. 한국유교 문화를 극복하는 상황화 선교 84 1) 한국의 유교권 선교의 장애요인 85 2) 한국의 유교와 기독교와의 연속성 88 3) 한국의 유교권 상황화 선교 89 2. 한국 불교와 경쟁관계에서 상황화 선교 91 1) 한국의 불교권 선교의 장애요인 92 2) 한국의 불교권 상황화 선교 95 3. 한국샤머니즘 문화를 계도(啓道)하는 상황화 선교 101 1) 한국 샤머니즘의 특징 102 2) 한국 샤머니즘이 기독교에 끼친 영향 103 3) 한국의 샤머니즘권 상황화 선교 104 4. 한국이슬람의 확장에 대비하는 상황화 선교 108 1) 한국의 이슬람교 상황 108 2) 한국의 이슬람권 상황화 선교 109 5. 한국 신흥종교(단군계)에 대처하는 상황화 선교 112 1) 단군신화의 역사성 문제 113 2) 단군신화의 내용 114 3) 단군신화에 대한 견해들 115 4) 단군신화에 대처하는 상황화 선교 117 V. 결론 119 참고문헌 125 ABSTRACT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822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c.title한국의 다종교 사회속에서의 기독교 상황화 선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에큐메니칼, 에반젤리칼 상황화 선교를 중심으로-
dc.format.pageviii, 1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신학대학원 신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