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병구-
dc.contributor.author조경미-
dc.creator조경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9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6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956-
dc.description.abstract의약품 사용 평가(Drug Utilization Review, DUR)는 의약품의 처방이 적절하고 의학적으로 필요하며 부정적인 의학적 결과를 낳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 또는 시스템을 말한다. 의약품 사용 평가는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보장하고 비용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약물 요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과 우리나라의 의약품 사용 평가 제도에 관한 기존의 문헌을 조사하고 인터넷 전자 정보를 수집하였다. 문헌과 연구 자료는 데이터베이스(예. KMbase, MEDLINE 등)에서 국내외 논문들과 연구보고서들을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선정된 문헌들과 정보들을 참고로 하여 각 나라별로 의약품 사용 평가 제도의 발전과 현황을 분석하였다. 미국의 DUR 제도 발전에 계기가 된 미국 연방법 The Omnibus Budget Reconciliation Act'90 (OBRA’90)는 지역약국에서 처방 조제 서비스에 후향적, 전향적 의약품 사용 평가 프로그램을 적용할 것을 의무화한 법안이다. 이 법안에 따라 처방의약품을 조제하기 전에 전향적 DUR을 실시하고 조제 투약 이후에는 약제비 심사평가 전문평가기관(Pharmacy Benefit Manager, PBM) 등 관리 기관이 부적절하거나 의학적으로 불필요한 처방 등을 평가하는 후향적 DUR을 실시하게 되었다. 영국에서도 Prescribing Analysis and CosT (PACT) 분석을 통한 감사 제도, 독일에서도 Quality Circle (QC)을 통해 의약품 사용 평가를 실시한다. 우리나라의 DUR 제도는 의약분업의 시행으로 그 필요성이 증가되었고 병용 금기 및 특정 연령대 금기 성분을 지정하여 고시함으로써 제도적으로시행되었다. 이후 DUR 프로그램의 설치 의무화, 임산부 금기 의약품 지정등으로 발전하였다. DUR의 실행이 오래되지 않은 우리나라는 환자의 안정성을 위해 개발, 시행되어야 하는 시스템이 남아있으며 이를 위해 개선해야할 점들도 많다. DUR 제도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DUR 대상 및 기준 데이터와 가이드라인의 적합성 확보와 지속적 관리, 실제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DUR 프로그램의 개발 및 개선 등이 있다. 또한 DUR을 제공하는 의료인으로서의 약사의 역할이 중요하고 이를 위한 지침과 제도의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DUR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관의 설립도 고려해 볼 수 있다. DUR은 의약품을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도로 환자의 안전성 확보와 약제비 절감의 목표로 여러 나라에서 실행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도 DUR 제도의 정착을 위하여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 나가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drug utilization review (DUR) is to improve the quality and cost effectiveness of drug use by ensuring that prescriptions are appropriate, medically necessary and not likely to results in adverse medical results.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DUR program and investigate a strategy for DUR in Korea. The background, evoluation, and current status of DUR in the developed countries was reviewed. A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conducted using MEDLINE, KMBASE and EMBASE databases, reference lists from relevant articles, and online sources, including news releases, conference materials, and reports. The U.S. Congress enacted the Omnibus Budget Reconciliation Act of 1990'90 (OBRA'90). Both prospective DUR and retrospective DUR have been required for state Medicaid programs. This legislation offered the promise that DUR systems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drug prescribing and patient drug use. Pharmacy Benefit Management companies(PBMs) apply managed-care principles and procedures to pharmacy benefits in an effort to contain costs and improve quality of care. In Europe, various tools have been used to influence physician-prescribing behavior. Auditing was implemented through the Prescribing Analysis and CosT(PACT) system in the UK. Germany has also had a periodic review of physicians(Quality Circle) individual prescribing activity. In Korea, the drug use process has changed significantly since the new pharmacy law was implemented in 2000, separating the prescribing and dispensing functions between physicians and pharmacists and mandating prospective DUR practice by pharmacists immediately before dispensing medications. And simple descriptive studies of drug uti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must start and continue in order to optimize drug therapy and to save costs in health care. Korea attempt to draw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 better health care system. DUR is a quality assurance system that holds promise as a tool that, if implemented effectively, could enhance appropriate drug use. Information systems and databases are essential to perform DUR program and DUR study. We believe a more systematic approach to DUR is needed. And we suggest adoption of performance standards for pharmacists and explicit remuneration for time spent identifying and responding to drug therapy proble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연구 배경 및 목표 = 1 A. 연구배경 = 1 B. 연구목표 = 3 Ⅱ. 연구 방법 = 4 A. 연구 자료 및 방법 = 4 B. 연구내용 = 5 Ⅲ. 연구결과 = 6 A. 미국의 의약품 사용 평가 시스템 = 6 B. 유럽의 의약품 사용 평가 시스템 = 15 C. 일본의 의약품 사용 평가제도 = 17 D. 우리나라의 의약품 사용 평가제도 = 18 Ⅳ. 고찰 = 25 A. DUR 대상 및 기준 데이터와 가이드라인의 적합성 = 25 B. 적절한 DUR 프로그램의 개발 및 개선 = 26 C. 약사의 역할과 제도적 지지 = 28 D. 의약품사용평가제도의 관리기관 = 29 E. 연구의 제한점 = 29 Ⅴ. 결론 = 30 참고문헌 = 41 ABSTRACT =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72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의약품 사용평가의 현황과 개선방향 검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urrent Status and an Improving Strategy of Drug Utilization Review-
dc.creator.othernameCho, Kyoung Mi-
dc.format.pageⅵ, 4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약학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