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김세영-
dc.creator김세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3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6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355-
dc.description.abstract최근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는 과정중심 쓰기 교육에서의 교사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학습자가 생산해 낸 쓰기 결과물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 제공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학습자들의 쓰기 결과물에 대하여 교사가 어떠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만 이루어졌을 뿐, 교사의 피드백을 제공 받은 후 학습자가 교사의 피드백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주목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정중심 쓰기 교육에서 교사의 피드백 제공 후에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다시쓰기 활동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A대학 기관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학습자 중 중급 수준의 학습자 14명을 대상으로 학습자 작문 자료를 수집해 분석해 보았다. 즉 A대학 기관의 3급 쓰기 교실 중 두 교실의 학습자들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여 일정 기간(약 5주) 동안 5차례에 걸쳐서 학습자들의 작문 자료를 수집하여 학습자들의 작문에 나타난 형태 오류에 대하여 교사가 피드백을 제공한 후, 교사의 피드백 제공 후에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다시쓰기 활동의 유무에 따른 형태 오류 감소율의 변화로 다시쓰기 활동의 유의미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입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에는 학습자들의 처음쓰기에 대하여 교사가 피드백을 제공한 후 다시쓰기 과제를 부과하였고, 통제집단에는 학습자들의 처음쓰기에 대하여 교사가 피드백을 제공은 하지만 피드백 제공 후 다시쓰기 활동은 생략하게 하였다. 그리고 첫 번째 작문과 마지막 작문의 처음쓰기 결과물을 각각 사전 실험과 사후 실험으로 간주하여 사전 및 사후 실험에서의 형태 오류율 변화를 기술통계와 비모수 통계를 사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두 가지 연구문제에 따른 네 가지 가설을 통계적으로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피드백 제공 후 학습자의 지속적인 다시쓰기 활동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의 정확성 향상(즉, 오류율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해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형태 오류율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맨-휘트니 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사전 실험의 경우에는 두 집단의 형태 오류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 실험의 경우는 두 집단 간 형태 오류율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각 집단 내에서 사전 실험과 사후 실험의 형태 오류율을 비교하여 형태 오류 감소의 차이가 유의미한지 윌콕슨 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매 작문마다 다시쓰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경우만이 사전 실험에 비하여 사후 실험의 형태 오류율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통제집단의 경우는 오류율이 감소하지 않았다. 이는 교사 피드백 제공 후 실험집단에게만 부과되었던 학습자의 다시쓰기 활동이 형태 오류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하는 유의미한 분석 결과였다. 둘째, 교사의 피드백 제공 후 학습자의 지속적인 다시쓰기 활동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의 범주별(문법, 어휘, 맞춤법) 정확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 어휘 오류 범주의 경우만이 사전 작문에 비하여 사후 작문에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문법 오류 범주와 맞춤법 오류 범주의 경우는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교육 현장에서의 실제 작문 자료를 가지고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한 한국어 과정중심 쓰기 교육에서의 다시쓰기 활동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통계적 검증 결과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하나의 학습 방법으로 한국어 쓰기 교육 현장에서 교사 및 학습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다시쓰기 활동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In recent Korean writing education, not only the importance of the reciprocal actions between a learner and a teacher has been emphasized, but also the necessity of teacher feedback has been stressed. While there have been variety of studies analyzing effective feedback for a learner, it has not been paid attention how to apply it afterwar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 of re-writing statistically in the writing-centered curriculum, particularly after teacher feedback.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writing materials of 14 intermediate- grade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at A university. Prompted by these observations,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learners in two different classes who are in the same writing level at A universit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or the research: one w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was the controlled group. Then, the research was set to show the significance of rewriting activities 5 times for 5 weeks in order for reducing the morphological errors on their writing after the teacher’s feedback. In order to demonstrate this analytical framework,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a re-writing assignment for their first draft after they got the feedback from teachers, while the students in the controlled group only got teacher feedback omitting a re-writing assignment. In addition, each student’s first draft and final draft had been considered as the pre-experiment and the post- experiment, the changes of morphological error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non-parametric statistics. The results of study verified with four hypothetical views of two research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nstant re-writing to improve accuracy through writing activiti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led group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was analyzed by the Man-Whitney Examination.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of morphological error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pre-experiment, wherea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error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post- experiment. Furthermore, as a result of the Wilcoxon Examin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decrement of the morphological errors in two groups,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only the experimental group enforced to have a rewriting assignment on each writing class.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rewriting activities are essential to reduce morphological errors for the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this experiment inquires how re-writing affects on the writer’s categorical abilities such as grammar, vocabularies, or Korean orthographic rules. At this poin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errors in the part of vocabularies in the post- writing.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mmatical or orthographical errors. This research verified statistically the effect of re-writing activities in writing-centered curriculum with actual writing materials in writing-centered curriculum in Korea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re-writing activities can be supportive to all the Korean learners as one of the greatest ways to improve their writing accuracy in the Korean current educational syst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논문의 구성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쓰기 교육에 대한 논의 = 5 1. 쓰기 교육 이론 = 5 2. 과정중심 쓰기 교육 = 6 B. 제2언어 쓰기 교육에서의 피드백 = 9 1. 피드백의 개념 및 유형 = 9 2. 과정중심 쓰기 교육에서의 교사 피드백과 개작 = 11 C. 선행연구 고찰 = 13 D.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 17 Ⅲ. 연구 방법 = 19 A. 연구 대상 = 20 B. 실험 절차 = 23 C. 실험 도구 = 28 1. 작문 주제 = 28 2. 피드백 방법 = 29 3. 오류 유형 범주 설정 = 31 가. 형태 오류 범주 = 32 나. 오류 판정 기준 = 36 D. 예비 실험 = 37 1. 예비 실험의 목적 = 37 2. 예비 실험 방법 = 37 3. 예비 실험 결과 = 38 E. 분석 방법 = 39 1. 형태 오류 집계 방법 = 39 2. 통계 처리방법 = 4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2 A. 전체 연구 결과 = 43 B. 전체 형태 오류에 대한 다시쓰기 활동의 효과 = 44 1. 전체 형태 오류율 평균 분석 = 44 가. 각 집단의 전체 형태 오류율 평균 분석 = 44 나. 각 집단의 작문 차시별 전체 형태 오류율 변화 = 46 2. 전체 형태 오류율 비모수 검정 결과 분석 = 49 C. 범주별 형태 오류에 대한 다시쓰기 활동의 효과 = 53 1. 문법 오류에 대한 다시쓰기 활동의 효과 = 53 가. 문법 오류율 평균 분석 = 54 나. 문법 오류율 비모수 검정 결과 분석 = 56 2. 어휘 오류에 대한 다시쓰기 활동의 효과 = 59 가. 어휘 오류율 평균 분석 = 59 나. 어휘 오류율 비모수 검정 결과 분석 = 61 3. 맞춤법 오류에 대한 다시쓰기 활동의 효과 = 64 가. 맞춤법 오류율 평균 분석 = 64 나. 맞춤법 오류율 비모수 검정 결과 분석 = 66 Ⅴ. 결론 및 제언 = 69 참고문헌 = 73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 = 77 부록2. 다시쓰기 작문지 = 78 부록3. 실험집단 학습자의 처음쓰기 작문 = 79 부록4. 실험집단 학습자의 다시쓰기 작문 = 80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711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title교사 피드백 후 학습자의 다시쓰기가 한국어 쓰기 능력의 정확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Student Rewriting on Improving Accuracy after Teacher Feedback-
dc.creator.othernameKim, Se Young-
dc.format.pageⅶ,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