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허명-
dc.contributor.author이승은-
dc.creator이승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9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6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995-
dc.description.abstract현재 한국 교육은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학습자 중심의 개별화 된 수업을 지향하고 있으나, 실제 교실 상황에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기존의 획일화된 수업과 평가 방식으로는 한 교실에 있으나 각기 다른 환경에 놓인 각각의 학생들에게 효율적인 학습내용 전달과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극복하고 교사들의 올바른 평가와 교수를 위해서는 학습자 개인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변인을 고려해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학습자의 성향을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 중 학습자의 학습 유형과 사고 양식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에 맞는 수업처치를 함으로서 수업의 효율성과 그에 따른 성취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학생들의 사고 양식, 학습 유형과 과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유의미한 사고양식과 학습 환경을 파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의 성향에 맞는 교수 학습이 시도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은 교사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학습방법을 체험해 봄으로써 궁극적으로 과학교육에서 요구하는 창의적 사고를 하게 되고, 이를 통해 과학에 대한 흥미와 더불어 과학 성취도가 향상 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의 남녀공학 K 중학교 학생 18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연구 문제에 따라 SPSS 1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독립 표본 t - 검정, 다중회귀분석(multiple-regression), 단순 상관분석(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습자의 사고 양식과 과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측정해 본 결과 사고 양식 변인 중 과학 성취도와 가장 유의미한 상관을 보인 것은 기능 변인으로 나타났다. 기능 변인의 세부 요인인 입법적, 사법적, 행정적 변인 모두와 과학 성취도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고 양식 스타일 중 기능 변인의 스타일을 가진 집단이 과학 성취도와 상관관계가 있음으로 과학 성취도의 변화를 위하여 교수자는 기능 변인을 고려하여 수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둘째, 학습자의 학습 유형 변인과 과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 해 본 결과 학습 유형 변인 중 신체 변인과 가장 유의미한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 성취도는 신체 변인 중 청각, 촉각 요인과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났다. 따라서 과학 성취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신체 변인을 고려한 수업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학습자의 학습 유형 변인과 사고 유형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습 유형의 환경 변인과 사고 양식의 기능 변인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능 변인으로의 사고 양식의 변화를 위해서는 환경 변인을 고려하여 변화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과학 성취도에 따른 사고 양식과의 상관관계는 상위 집단 하위 집단 모두 상관관계가 없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과학 성취도의 상위 집단은 천장 효과(ceiling effect)로 인하여 사고 양식의 차이가 있더라도 더 이상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없음으로 과학 성취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과학 성취도의 하위 집단은 사고 양식에는 영향을 받지 않고, 학습 동기나 흥미 등의 다른 요소들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섯째, 과학 성취도에 따른 학습 유형과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과학 성취도의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모두 학습 유형과는 상관관계가 없음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상위 집단의 경우 사고 유형과 마찬가지로 천장 효과(ceiling effect)로 인하여 학습 유형과는 상관없이 항상 높은 점수를 얻는 것을 의미하며, 하위 집단의 경우 학습 유형외의 다른 요인이 과학성취도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 진다. 여섯째, 학습자의 사고 양식과 학습 유형 중 과학 성취도에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학습 유형 중 사회 변인으로 나타났다.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의 순위를 표준화 계수에 의해 살펴보면 학습 양식의 변인인 사회 변인, 사고 양식의 요인인 범위 요인,학습 유형의 신체, 정서 변인 순으로 나타나있다. 과학 성취도의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사회 변인을 고려해서 수업을 하는 것이 다른 변인을 고려할 때 보다 유의미한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일곱째, 성별에 따른 과학 성취도의 평균의 차이는 독립 표본 t-검정 결과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별이 과학 성취도가 영향을 받지 않음을 의미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inking style and Learning Style and Science Achievement of the Second grad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help teachers for understanding of the individual propensity of the each student. The sample was made up 173 students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Students were surveyed using the Thinking styles Inventory( Sternberg & Wagner, 1991) and the Learning style Inventory (R, Dunn & K.Dunn, 1978) and the Science achievement Inventory. Especially, the Science achievement Inventory was developed by researcher for this students. The result of these inventories was analyzed and compared using SPSS 15.0 program. The major analysis employed Descriptive detective, Correlation, Independent samples t - test, Multiple -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the significanc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unction of the Thinking style and Science achievement. And there was the affirmative correlation with the Legislative, Executive, Judical of subordinate concepts of the functional factor on the Thinking Style. Second, there was the significanc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unction of the Learning style and Science achievement. And there was the affirmative correlation with the physical factor of Learning style and Science achievement. Third, there was affirmative correlation with the environmental factor of Learning style and the functional factor of Thinking style. Forth, there was the result of analysis correlation between Science achievement and the factors of Thinking style is the no correlation. The group of higher and lower Science achievement are no correlation with Thinking style. This result mean Thinking style can not effect Science achievement. Fifth, the result of analysis correlation between Science achievement and the factors of Learning style is the no correlation. The group of higher and lower Science achievement are no correlation with Learning style. This result mean Learning style can not effect Science achievement. Sixth, The Social factor of Learning style is the powerful affirmative correlation with the Science achievement. This means more meaningful correlation Learning style than Thinking style on the Science achievement. Seventh, the arithmetical means of the different of the Science achievement was indicated insignificance between girls and boy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이론적 배경 = 4 A. 사고 양식 = 4 1. 사고 양식의 개념 = 4 2. Sternberg의 정신자치제 이론 = 6 3. 사고 양식 개념의 타당화 연구 = 7 4. 사고 양식의 교육적 활용 방안 = 9 B. 학습 유형 = 11 1. 학습 유형의 정의 = 11 2. Dunn과 Dunn과 Price(1979)의 학습 유형 = 12 C. 선행연구 = 13 1. 사고 양식에 관한 선행 연구 = 13 2. 학습 유형에 관한 선행 연구 = 13 Ⅲ.연구 방법 및 연구 절차 = 15 A. 연구 대상 = 15 B. 연구 절차 = 15 C. 검사 도구 = 16 1. 사고 양식 검사도구 = 17 2. 학습 유형 검사도구 = 19 3. 과학 성취도 검사지 = 19 Ⅳ.연구 결과 및 논의 = 21 A. 학습자의 사고 양식과 과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 21 1. 사고 유형 변인과 과학성취도와의 상관관계 = 22 2. 사고 양식의 기능 변인과 과학 성취도와의 상관관 = 24 3. 사고 양식의 형식 변인과 과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 24 4. 사고 양식의 수준 변인과 과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 25 5. 사고 양식의 범위 변인과 과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 26 6. 사고 양식의 경향 변인과 과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 26 B. 학습자의 학습 유형과 과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 27 1. 학습 유형 변인과 과학성취도와의 상관관계 = 28 2. 학습 유형의 환경 변인과 과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 29 3. 학습 유형의 사회 변인과 과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 30 4. 학습 유형의 신체 변인과 과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 31 5. 학습 유형의 정서 변인과 과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 33 C. 학습자의 사고 양식과 학습 유형의 각 변인과의 상관관계 = 33 D. 학습자의 성취수준에 따른 사고 양식과의 상관관계 = 34 1. 과학 성취도의 상위 집단과 하위집단의 차이 = 34 2. 과학 성취도 상위 집단과 학습자의 사고 양식 변인과의 상관관계 = 36 3. 과학 성취도 하위 집단과 학습자의 사고 양식과의 상관관계 = 36 E. 학습자의 성취수준에 따른 학습 유형과의 상관관계 = 37 1. 과학 성취도 상위 집단과 학습자의 학습 유형 변인과의 상관관계 = 37 2. 과학 성취도의 하위 집단과 학습자의 학습 유형과의 상관관계 = 37 F. 학습자의 사고 양식과 학습 유형 중 과학 성취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은 무엇인가? = 38 G. 성별에 따른 과학 성취도 결과 = 40 Ⅴ.결론 및 제언 = 41 참고문헌 = 44 부록 = 49 부록 - 1 과학 성취도 검사지 = 49 부록 - 2 학습 유형 검사지 = 54 부록 - 3 사고 양식 검사지 = 58 부록 - 4 타당도 검사지 = 64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78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학생의 사고유형, 학습 양식, 과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 between Thinking style and Learning Style and Science Achievemen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Lee, Seung Eun-
dc.format.pageⅷ,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