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교사의 교수유형이 중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교사의 교수유형이 중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eaching Style of Social Educators on Learning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
Authors
정은정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훈
Abstract
본 연구는 민용성이 개발한 「교수유형분석도구」로 분석된 한국교사의 교수유형을 바탕으로, 사회과 교사의 교수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과 수업에 대한 흥미, 주의집중, 학습의욕, 성취동기 등의 학습태도와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성공적인 사회과 수업을 경험하기 위한 최적의 교수유형을 파악하여 사회수업 전개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사회과 교사의 교수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학습태도(흥미도, 주의집중, 학습의욕, 성취동기)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효과적인 사회수업을 전개하는데 도움이 되고 앞으로 사회과 교사는 사회수업에 가장 적절한 교수유형으로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이 사회 학습에 잘 참여하도록 유도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사회과 교사의 교수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학습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수원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1, 2, 3학년 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표본 추출을 하였다. 조사대상의 추출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학교와 수원시 중산층 지역에 위치하는 학교로 선정하였고, 각 학교별로 250명씩 총 500명을 추출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응답내용의 일부가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한 491명의 설문지만이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도구는 사회교사의 교수유형을 묻는 설문지와 사회학습태도에 관한 설문지로 구성되었다. 교수유형을 묻는 설문은 민용성(2004)의 「교수유형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분류한 한국교사의 9가지 교수유형을 바탕으로 실시된 문경상(2007)의 고등학교 교사의 교수유형 연구에서 특히 사회과에 주로 나타난 4가지 교수유형인 설명형, 중재형, 안내형, 동기유발형을 설문의 내용으로 구성했으며, 민용성이 사용한 설문지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내용과 관련된 설문조항을 발췌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ㆍ보안하여 재구성하였다. 학생의 사회학습태도에 관한 설문은 한국교육개발원(1992)에서 제작한 학습태도 검사문항을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였다. 각 설문지에 대한 신뢰도는 교수유형 Cronbach's α=. 881, 사회학습태도 Cronbach's α= .915로 높게 나타났다.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에 대해서는 Scheffe' test를 사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력을 제외한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사회학습태도의 하위요인인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년에 따른 사회학습태도 중 성취동기를 제외한 다른 요인인 흥미도, 주의집중, 학습의욕에서 모두 p<.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학생의 성별에 따른 사회학습태도는 성취동기를 제외한 하위요인에서 p<.01 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남학생의 학습태도가 여학생의 학습태도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사회교사의 성별에 따른 학습태도는 모든 하위요소에서 p< .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여교사의 경우 남교사일 때보다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의 학력에서는 학생의 사회학습태도가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사회교사의 교수유형 정도에 따른 학생의 사회학습태도(흥미도, 주의집중, 학습의욕, 성취동기)는 각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가지 교수유형의 평균을 중심으로 표준편차 이상의 집단을 각 교수유형을 강하게 인식하는 집단으로, 표준편차 이하의 집단을 각 유형을 약하게 인식하는 집단으로서 두 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 간에 따른 사회학습태도를 살펴보았다. 먼저 사회교사를 중재형으로 강하게 생각하는 집단에 따른 학습태도는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p< .001수준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사회교사를 중재형교사로 인식할 때 그렇지 않을 때보다 사회학습태도에 긍정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마찬가지로, 설명형, 동기유발형, 안내형의 경우에서도 사회교사를 각 유형으로 강하게 인식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p< .001수준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교사를 설명형, 동기유발형, 안내형으로 인식할 때,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회학습태도인 흥미도, 주의집중, 학습의욕, 성취동기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사회학습태도에 있어서 각 유형 중에서 어떤 유형이 사회학습태도에 가장 긍정적인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각 유형을 강하게 인식하는 집단, 즉 각 유형을 대표하는 집단간에 일원변량분석과 사후 검증을 한 결과 동기유발형의 교사일 경우에 설명형의 교사일 경우보다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사회교사가 동기유발형이라고 생각하는 경우에 설명형으로 생각하는 경우보다 사회학습태도 중 성취동기 요소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eachers teaching style in social classes affects students learning attitudes in the social education and to provide new data and materials aimed to teach social lessons more effectively. It mean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students attitude such as student interest, concentrati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learning desire as well as teachers teaching style in social classes, the study focused on presenting an effective social lesson and providing necessary relevant data. For the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491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u-Won district. Statistics implemented in this study were frequent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with the exemption of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each low primary factors such as student interest, concentrati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learning desire of social education learning attitu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o go in deeper, students influenced by the factors of social education learning attitude except achievement motivation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01 level. Similarly, this study also showed gender of students differentiated in the social education learning attitude exclusive of achievement motivation from p<.01 level, that is, male students were to be superior to female students in social education learning attitude. The gender of social teachers also influenced on social education learning attitude making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01 level, that is, instruction of female teachers resulted in superior consequences than male teachers. It means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did not influence much on student's social education learning attitude from p<.05 level. Second, according to teacher's teaching style, the social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such as student interest, concentrati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learning desi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average of the four teacher's teaching style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over standard deviation group as the one who recognized each teacher's teaching style strongly and under standard deviation group as the one who recognized it weakly and this study investigated social studies learing attitude of each group. Above all, the social studies learning attitude of a group thinking social teacher as a mediation type strong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p<.001 level, compared to the other group. When regarding social teacher as a mediation type, a group was more affirmative in social studies studying attitude, compared to the other group. The results were similar in the case of explanation, motivation and guidance type : a group recognizing social teacher as each type strongly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p>.001 level, compared with the other one. When regarding social teacher as explanation, motivation and guidance type, a group showed more affirmative attitude than vice versa in student interest, concentrati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learning desire of social studies learning attitude. In addition, to investigate which type of a teacher affects students' social studies learning attitude positively among the above mentioned teachers types in social studies learning attitude, a variable analysis and post test concerning a group of recognizing social teacher as each type strongly were administered. As a result, the motivation teacher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p>0.001 level, compared with the other one. According to these results of this study, regarding social teacher as motivation type, not the explanation type, was to be more affirmative in achievement motivation element of social studies learning attitud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