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숙자-
dc.contributor.author송유미-
dc.creator송유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9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0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5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05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사회과 교육의 주요 교수-학습 내용이며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의 기본적 요소인 개념을 학습자들이 체계화하고, 개념간의 관계를 통해 그 위계 구조를 파악하는 개념도(Concept Map)를 사회과의 전시학습 내용의 확인 단계에서 활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연구단원인 10학년 사회교과를 이루고 있는 다양한 교육내용 중 성취목표와 성격이 다른 경제영역 단원과 사회·문화영역 단원에서 개념도를 각각 활용하였을 때 두 영역에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및 태도변화에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기도 일산구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남, 여학생 157명이며 고등학교 1학년 사회 과목의 『Ⅷ. 국민 경제와 합리적 선택』, 『Ⅸ. 공동체 생활과 사회발전』의 성취목표와 성격이 서로 다른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집단Ⅰ는 전시학습 내용의 확인 단계에서 개념도를 활용한 집단이고, 집단Ⅱ는 전시학습 내용의 확인단계에서 일반적인 질문법을 활용한 집단이다. 이를 위해 2008년 9월 2일부터 2008년 11월 10일에 걸쳐 각 단원별로 6차시 분량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전 동질적인 집단임을 확인하기 위해 SPSS 1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6월 학업성취도 평가의 사회점수를 비교하였다. 경제영역(Ⅷ단원) 및 사회·문화영역(Ⅸ단원)의 각 단원에서 6차시 분량의 수업이 끝난 이후 두 집단 모두에게 경제 영역과 사회·문화 영역에서 단원평가 및 질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각 영역에서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및 태도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중상위권에 해당하는 학생들을 사례로 들어 그들이 작성한 개념도 자료를 관찰하였고 개념도 활용 수업이 학습자의 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되었는지를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영역 단원에서 전시학습 내용 확인 단계에서의 개념도 활용 집단은 질문법을 이용한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 평균점수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더욱 높았다. (실험집단 평균 21.65점 , 통제집단 평균 20.28점) 그러나 통계프로그램인 SPSS 13 (P < 0.05)으로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사회·문화 영역에서 전시학습 내용의 확인 단계에서 개념도를 활용한 실험집단과 질문법을 활용한 비교집단의 학업 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 평균점수는 실험집단 평균 11.27, 비교집단 평균 11.40으로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통계프로그램인 SPSS 13 (P < 0.05)으로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경제영역 단원의 전시학습 내용 확인 단계에서 개념도 활용 수업이 학습자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지 및 면담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상당수의 학생들은 개념도의 활용이 기본 경제개념 및 지식의 습득과 이해에 도움을 주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개념도의 활용이 경제적 가치 및 태도의 변화를 가져왔다는 인식 및 의견은 미약했으며 지식 및 개념의 이해라는 인지적 측면에서의 변화는 뚜렷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회·문화 영역 단원의 전시학습 내용 확인 단계에서 개념도 활용 수업이 학습자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지 및 면담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개념도의 활용이 「기본 사회·문화개념 및 지식의 습득과 이해에 도움을 주었다」, 「공동체 문제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보고 생각을 정리해볼 수 있었다」, 「공동체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해결하려는 자세를 갖게 되었다」등 경제 영역 단원에서의 태도변화 보다 여러 측면에서 다양한 응답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전시학습 내용의 확인 단계에서의 개념도 활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질문지를 분석해 본 결과 전시학습 내용 확인 단계의 필요성에 대해 학생의 상당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의 피드백과 보상이 개념도 작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인식에 대한 남녀 간 차이는 교차분석과 카이스퀘어(x²) 검정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개념도 활용에 대한 학습에의 만족도」등에 대해 여학생의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 성적에 따른 차이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성적이 상(90점 이상) > 중(60∼90점) > 하(60점 이하)의 순서로 전시학습 내용의 확인 과정에서 개념도 활용이 본 시간에 배울 내용과의 관계 이해에 도움을 주었다고 인식하는 등 성적에 따라 개념도활용 수업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다양한 내용(경제, 사회·문화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10학년 사회 교과의 전시학습 내용 확인 단계에서의 개념도 활용수업이 각 영역의 학업 성취도에 각각 다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는 사회교과에서 다루고 있는 경제 영역이 주로 기본개념 및 지식을 주로 다루고 있는 반면, 사회·문화 영역은 지식 및 개념뿐 아니라 학습자의 공동체적 가치형성 및 태도 변화를 주요 성취목표로 삼고 있다는 단원의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판단된다. 개념도 활용 수업 이후 정의적 영역인 가치·태도 변화에 있어서는 경제영역 단원보다 사회·문화영역 단원에서 다양한 태도변화를 가져 왔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개념도는 10학년 사회 교과에서 각 영역(경제 및 사회·문화 단원)별로 수업상황에 따라 시기적절하게 이용할 만한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겠다. 개념도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들은 수업시간에 매 시간마다 개념도를 작성하는 것이 부담된다고는 하였으나 대부분의 학생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했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수업이후 실제로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결과(P <0.05) 통계적으로 두 영역(경제 및 사회·문화 단원)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의한 결과는 발생하지 않았다. 다만 경제영역 단원에서의 평균점수가 사회·문화영역 단원의 평균점수에 비해 많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학습자가 개념도를 처음으로 작성해 보는 것에 대한 시행착오과정과 학습기간이 짧아서 나타나는 결과라고 보고 향후 개념도를 활용한 학습 기간이 더 늘어났을 때 경제영역 단원에서는 더욱 효과가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This study is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Students are to make a concept map by systemizing basic concepts first, and then setting rank order with relations of concepts. This process will be used in confirming preview studying of social study to see how it influences academic results of students. Also, it aims to find possibl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s and academic attitude in applying the concept map to different domains of social study: economic domain and social-culture domain, because they have different goals and characters. The tested party of this study is 157 10th grade students in an academic high school in Il-san. The concept map class was carried out in two chapters in 10th grade social study with different goals and characters. Two chapters are 『Ⅷ. National Economy and Reasonable Choice』 and 『Ⅸ. Community Life and Social Evolution』. 'GroupⅠ' used the concept map in confirming stage of preview studying, and 'GroupⅡ' used general questionnaire in the same stage. From September 2, 2008 to November 10, 2008, 6 classes were held for each chapter. To make sure two groups are of a same level, social study grades of an academic achievement test in June 2008 were compared by SPSS 13.0 program. Also, both groups were given a test and a questionnaire on economy and social culture domain chapters. Agai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nd academic attitud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what influences the concept map classes gave to the students' academic attitudes, the concept maps made by medium achieving students were scrutinized and the students were interviewed. Through this study, the concept map classes on confirming stage of preview studying gave different influences to academic achievements of different domains of 10th grade social study. It is understood to be because they have different goals and characters; economic domain is about basic concepts and knowledge, but social-culture domain is about learners values and attitudes as parts of community not only concepts and knowledge. Students felt pressure making concepts maps in every class, but they agreed that it was very useful way of learning. After class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s (P < 0.05)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 i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led group for both domains (economy and social-culture). Yet, average grade in the economy domain chapter has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social-culture domain chapter. It's maybe because the concepts classes are rather new and was only held in short period. It's anticipated that with longer learning period of concept map classes,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economic domain chapt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4 Ⅱ. 선행연구 고찰 = 5 Ⅲ. 이론적 배경 = 7 A. 사회과 교육의 본질 = 7 B. 사회과 교육과정의 구성 = 8 C. 전시학습 확인 단계에서의 개념도 = 14 D. 사회과에서의 개념학습 = 15 Ⅳ. 연구 방법 및 절차 = 26 A. 연구대상 = 26 B. 연구방법 = 26 C. 연구절차 및 연구도구 = 27 Ⅴ. 연구결과 및 해석 = 32 A. 개념도 활용 수업이 사회과의 경제와 사회·문화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32 B. 개념도 활용 수업이 경제영역에서 학습자의 인식 및 정의적 측면에서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34 1. 질문지 활용 분석 = 34 2. 사례 활용 분석 = 44 Ⅵ. 결론 및 논의 = 53 A. 결론 및 제언 = 53 1. 결론 = 53 2. 제언 = 56 참고문헌 = 58 부록 사후 검사 내용 타당도 의뢰 및 검사 결과 = 60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581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사회과에서 개념도 활용의 영향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경제, 사회·문화 영역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Concept Mapping in Social Studies : focused on Economic domain and Social-culture domain-
dc.creator.othernameSong, Yu Mi-
dc.format.pageⅹ,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