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임선-
dc.contributor.author석민영-
dc.creator석민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3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5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302-
dc.description.abstractBeginning in the 21st century, art and scientific technology have repeatedly advanced in infinite competitions; and at the same time, the textile industry, as well as various other industries, has demonstrated designs and new materials with various expressions. Along with these advances, contemporary civilization has posted tremendous development and a standard of living among contemporary people which was even further upgraded beginning in the late 20th century. Accordingly, it was taken for granted that individual desire has been further clarified. It would not be much to say that all these have not been developed from a totally different world, but have been coped with naturally in the relationship among culture, art, and construction in our environment. Art has sustained growth with the expansion of media and concepts, and contemporary construction has in the same way experienced top-notch technical innovation. Thus, these two genres have maintained their pure developments without fuss. However, no small part of these genres has taken ideas from art at their sources. In some sense, art and construction have been mutually very complementary. While having more than the meaning of a sort of temporal style that was quickly replaced with another style, by implying problems non-existent in the past and facing the continual request for a new type of art, minimalist art had been in activity, based in New York; and this minimalist art was unfolded between the 1960s and the 1970s. Minimalism is one of the art trends, producing works that translate into the minimal factors, and features the arrangement of images and has conceptual images, which are repeatedly expressed with pure and simple colors in an available way. Textile design has this characteristic of minimalism, and it prompts some feelings from people as soon as they see the design. Therefore, it is supposed to draw a strong attraction from the public, and gives a simple and polished sense using minimalist expression, which is repetitive and free from any redundancy. The structural features of such minimalism may be largely classified as objecthood, non-internality, repetitiveness, and reducibility. They include broader areas ranging from huge indoor or outdoor sculptures, to works that arrange separated formative factors. Also, minim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on has been developed mainly by being limited to a construction space, which is defined as clean, “efficient, and calm”. As Mies Van Der Rohe (1886~1969), one of Bauhaus’ members expressed it, ‘Less is More’; in other words, the modernist ideology that fewer expressions imply more implications had been more thoroughly demonstrated. It reveals its taste for restricted colors, clearness and simplicity of patterns, and various sizes, intervals, and rhythms are considered as the essence of works by using more exaggerated methods. Based on such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this researcher reflected the demands of our time, created a more implicated space to give off simplicity and innocence from minimalism on the basis of formative factors of art and a construction space, and tried to propose a need for a natural yet original space where people today are able to relax even for a short period in a complicated and difficult society. The processes o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his study and developing work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sider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inimalist art through research into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minimalism. Second, the study researches the background and tendency of the formative expression factors and construction space of minimalism. Third, in order to maximize the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by using a construction space, it is going to express original minimalist patterns by adding changes to them with a computer and a blending technique after drawing diverse processes shown by the repetition of unit patterns and the change of colors. Fourth, the study attempts transformation and supplementation by applying a variety of objects with a view to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pattern designs through the use of a computer. The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through production and research procedures. First, the study focused on commercialization, and maximized its visual effect by upgrading its level with a more artistic sense through simple and regular repetitiveness in the composition and arrangement of works.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the era sharing the same trend in works, resolution of artistic troubles and its tendency, and groped for a new attempt at extending the level of harmony and balance between spaces. Third, in the hopes of creating a textile design featuring minimalism and a construction space to form the foundation of a new development by avoiding existing designs, the study created more fresh designs by taking insufficient points as an opportunity for driving the study. Personally, I will try to keep conducting follow-up research and creating works based on this study, proposing a positive direction for the growth of the contemporary textile industry, and thus, contribute to the industry.;21세기를 질주하는 현대에 이르자 예술과 과학기술은 무한경쟁 속에서의 발전을 거듭함과 동시에 여러 산업 분야는 물론, 섬유산업에 있어서도 다양한 표현력을 자랑하는 디자인과 신소재를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20세기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현대 문명의 엄청난 발달과 동시에 현대인의 생활수준도 한 층 업그레이드되고 개개인이 원하는 욕구가 좀 더 뚜렷해지는 것은 당연하게 여겨졌다. 이것은 전혀 다른 세계에서 착안된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생활 속의 문화, 미술과 건축의 관계에서 다루어졌다고 해도 무관하지 않다. 미술에서는 매체와 개념의 확장으로, 현대의 건축에서는 고도의 기술 혁신의 방식으로 두 장르는 각각 순수한 발전을 묵묵히 해나가고 있지만, 그 원전에는 예술에서 아이디어를 빌려온 것이 적지 않는 부분을 차치하고 있고, 미술과 건축은 어찌 보면, 서로 상호 보완작용을 돈독히 해주고 있다.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문제를 내포하고 새로운 형태의 미술에 대한 끊임없는 요구에 직면하여 다른 양식으로 재빠르게 대체된 하나의 시대양식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한 미니멀 아트는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미니멀리즘은 최소한의 요소로 환원하는 작품을 제작한 미술사조로서 가능한 방법으로 순수하고 단일한 색채로 반복적으로 표현되는 이미지의 배열과 개념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미니멀리즘 특성을 가진 섬유디자인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즉각적으로 느끼게 하는 장점이 있으므로 대중으로부터 강한 매력을 느끼게 한다고 생각되며, 반복적이면서도 군더더기를 뺀 최소한의 표현을 통하여 심플하고 세련된 감각을 지닌다. 미니멀리즘은 구조적 특성을 크게 물체성, 비내부성, 반복성, 환원성으로 구분지울 수 있는데, 거대한 실내 또는 실외 조각에서부터, 분리된 형태요소들을 배열한 작품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을 포괄하고 있다. 그리고 건축에서의 미니멀리즘은 깨끗하고󰡒능률적이고 차분한󰡓으로 정의되는 건축 공간에 사로 잡혀 전개되었는데, 바우하우스 구성원 중 하나였던 미스 반 데 로에(Mies Van Der Rohe, 1886-1969)가 표현한'Less is More', 즉, 보다 적은 표현이 많은 것을 함축한다는 모더니즘 사상이 철저히 전개되었다고 본다. 여기에는 절제된 색채와 형태의 명확성과 간결성에 대한 취향을 드러내고 있으며, 보다 과장된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와 간격, 그리고 리듬을 작품의 본질로 간주된다. 이와 같은 미니멀리즘의 특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미술과 건축 공간의 조형적 요소에 기초하여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보다 함축적인 공간 구성을 함으로써 미니멀리즘이 주는 간결함과 순수함을 발산하며, 복잡하고 까다로운 사회 안에서 잠시라도 현대인들이 편안히 휴식할 수 있는 독창적인 공간 연출의 아트월을 통해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현대 건축 공간의 아트월에서 보여지는 기하학적 형태의 단순한 구조와 현대의 미니멀리즘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건축 구성요소의 모티브를 응용하여 조형성과 색채에 표현된 이미지를 통해 반복성과 형식의 단순화, 제작과정의 최소화, 회화의 평면성을 현대 섬유디자인의 흐름에 맞게 접목시켰다.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전개되었다. 첫째, 미니멀리즘의 개념과 전개를 연구하여 미니멀 아트의 조형적 특성을 고찰한다. 둘째, 미니멀리즘의 조형적 표현요소와 건축 공간의 배경 및 경향을 연구하였다. 셋째, 건축 공간을 이용한 미니멀리즘 특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단위 형태의 반복, 색채의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다양한 과정을 드로잉해서 컴퓨터와 혼합기법으로 변화를 줌으로써 독창적인 미니멀 패턴을 표현하였다. 넷째,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한 패턴디자인의 한계점을 극복해 보고자하는 의도로 다양한 오브제를 도입시켜서 변형과 보완을 시도하였다. 제작 및 연구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용화하고 작품의 구성과 배열에서의 단순하고 규칙적인 반복성을 통하여 좀 더 예술적인 감각으로 고급화시켜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둘째, 작품에 있어서 사조와 같은 시대적 의미, 예술적 고민해소와 경향에 대해 분석하였고, 공간의 조화와 균형 차원을 확장하는 데에 새로운 시도를 모색해 보았다. 셋째, 미니멀리즘과 건축 공간의 특성을 가진 섬유디자인이 기존 디자인에서 벗어나 새로운 개발의 밑거름이 되기를 희망하며, 미흡한 점들을 연구정신의 계기로 삼아 보다 특별한 디자인으로 창출했다. 개인적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계속적인 연구와 작품 활동을 통하여 현대 섬유산업의 발전적인 방향제시와 기여를 하도록 나아가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B. 연구방법 및 내용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미니멀리즘의 개념 및 전개 = 3 1. 미니멀 아트의 환경성 = 11 2. 미니멀 아트의 형태적 특성 = 14 B. 미니멀리즘 건축공간의 배경 및 경향 = 19 1. 미니멀리즘 건축의 환경성 = 21 2. 미니멀리즘 건축의 형태적 특성 = 26 C. 미니멀리즘의 영향을 받은 텍스타일 = 32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37 A. 작품제작 배경 = 37 B. 작품 제작과정 및 분석 = 39 Ⅳ. 결론 = 89 참고문헌 = 91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3701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미니멀리즘에 기초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건축 공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extile Design Based on Minimalism : Emphasizing on the Construction Space-
dc.creator.othernameSuk, Min-young-
dc.format.pagexii,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섬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