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인경-
dc.contributor.author박미진-
dc.creator박미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5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5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531-
dc.description.abstract19세기 서양문물의 도입과 함께 결혼 의식도 전통혼례식에서 서구의 결혼식으로 변화 하는 양식이 되었다. 오늘날 결혼 예식과 예복 또한 한국적인 독창성이 결여된 채 서구 지향적으로 양식화 되면서 한국의 결혼 예복은 서양식 백색 웨딩드레스와 폐백을 위한 전통혼례복을 착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거의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의 재인식을 통해서 우리의 위상을 확인하고 전통 복식을 현대에 계승하여 보다 현대적인 패션 사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다른 어떤 복식보다 큰 의미와 가치를 가진 결혼예복을 서양 중심의 문화에서 한국 전통의 조형미를 접목시켜 현대적으로 활용 할 수 있다. 전통미의 현대적이고 창조적인 가능성을 제시하고 세계무대에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알림으로써 국제적인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시도인 것이다. 다만 본 연구와 기존의 타 연구의 차별 점은 기존의 연구에서는 전통혼례복을 이용한 웨딩드레스가 대부분 이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서구웨딩드레스와 풍속화에 나타난 전통 복식의 치마의 가변적 형태를 접목시켜 현대 소비자의 미의식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서구적인 드레스에 한국의 요소를 가미하여 현대적이며 용도전환 가능한 웨딩드레스를 제작하여 현대 대중의 미의식에 맞는 다목적 웨딩드레스를 개발 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과 내용은 이론적 연구로서 국내외 학술지, 논문, 인터넷사이트,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풍속화에 나타난 전통 복식의 역사를 통해 전통 복식이 지금의 형태로 완성된 배경과 과정을 살펴보고, 풍속화에 나타난 전통 복식만이 갖는 조형미와 조형가치를 알아보았고,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사적 특징을 알아보고,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의 형태미를 복식구성상의 형태미, 착장상태에 의한 형태미, 동세에 의한 형태미로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서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이 주름에 의해 입체적인 형태미를 나타내고, 착장상태와 동세에 의해 치마의 가변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풍속화에 나타난 치마의 가변성을 활용하기 위해 다목적 복식의 디자인의 표현방법 중 착용방법을 응용한 가변의 유형을 토대로 다목적 복식디자인의 정의와 출현배경, 특성, 의의, 다목적 복식디자인의 유형을 고찰 하였다. 또 다목적복식 디자인의 과거의 여러 사례를 함께 고찰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작품제작에 기본이 되는 웨딩드레스의 개념과 유래, 변천과정, 다목적 웨딩드레스의 여러 사례를 문헌을 통해 표집,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가변적 형태에 의한 다목적 웨딩드레스를 제작 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총 8벌의 작품을 제작하였고, 전통 웨딩드레스6점, 미니 웨딩드레스2점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은 순간적인 포즈를 화가가 그린 그림으로 드레이퍼 주름에 의한 다양한 리듬감을 나타내면서 세련된 복식의 입체적인 형태미를 나타낸다. 둘째,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은 옷을 입는 방법과 움직이는 포즈로 인해 새로운 드레이퍼 주름이 나타나며 비대칭적인 선과 비정형적 형태미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 셔링의 형성으로 부피가 동시에 확장되는 효과가 있으며 주름의 반복과 의복가장자리에 형성된 파장 선에 의해 리듬감을 형성한다. 셋째, 용도전환이 가능한 웨딩드레스는 평상복으로 입을 수 있는 다목적 복식으로 제작하기에는 현실적인 상용화의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으며 사례와 표현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어 이브닝드레스, 예복, 파티복, 음악회 등에서 입을 수 있게 실현 가능한 활용적 가치를 지닌다. 넷째, 다목적 웨딩드레스의 형태와 실루엣, 디테일 변화를 통해 다목적성이 부합되어 여러 의상의 아이템을 조화롭게 코디함으로서 복식이 주는 기능성을 나타 낼 수 있다. 변화가 가능하여 미적 측면에서 여러 벌의 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현대인의 복잡하고 다양한 욕구에 부응 할 수 있어 시장 경제요소가 될 수 있다. 다섯째, 다목적웨딩드레스는 레이어드, 길이와 폭, 착탈식 등에 의해 형태변화가 가능하며 이는 착용자의 의지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복식의 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스타일을 연출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의 가변적 형태를 웨딩드레스에 도입하여 전통미를 살린 실용적인 다목적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전통의 현대화로 국제적인 경제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웨딩드레스에 국한 되었으나 전통복식이 현대화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디자인과 신소재를 사용한 디자인이 나오길 기대한다.;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in the 19^(th) century, wedding ceremony has also been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style to the Western style. Today's wedding ceremony and costume have also been westernized and lost the originality of Korean style, and as a result, Korean traditional wedding costume is used only for pyebaek following the wedding ceremony in Western style white wedding dress. Thu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introduce Korean traditional formative beauty to wedding costume, which is more meaningful and valuable than any other kind of dress, and utilize such costume in a contemporary styl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s our status through reviewing dress in old genre paintings, inherits traditional dress,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fashion industry. Furthermore, it attempted to suggest the contemporary and creative potential of traditional beauty and to enhanc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culture on the world stage. A difference of this study from previous research is that while most of previous research was about wedding dress using traditional wedding costume the present study tried to approach contemporary consumers' aesthetic sense by combining Western wedding dress with the changeable form of Korean traditional skirts observed in genre paintings. By adding Korean elements to Western dress, we attempted to design practical contemporary multi purpose wedding dress that matches today's people aesthetic sense. As to the methods and contents of research, this study is a theoretical discussion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journals, theses, Internet sites and books. Specifically, we reviewed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how traditional dress has been developed into today's form through the history of traditional dress observed in genre paintings, and examined formative beauties and values unique to traditional dress depicted in genre paintings. In addition,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dress history appearing in genre paintings created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and analyzed the formative beauties of dress in the genre paintings, focused on formative beauty of dress composition, formative beauty of wearing style, formative beauty of proportion among dress items, and formative beauty of mov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dress in genre paintings expressed three dimensional formative beauty using drapes, and depicted the changeability of the skirt by wearing style and movement. Thus, in order to utilize the changeability of the skirt in the genre paintings, we examined how to express the design of multi purpose dress based on the patterns of changeability obtained from the wearing style, focusing on the definition, background, characteristics, meanings and types of multi purpose dress design. Furthermore, a number of previous cases of multi purpose dress design were studied together. What is more, as a part of preparation for making dress in this study, we collected and analyzed information on the concept and origin of wedding dress and cases of multi purpose wedding dress. Based on the findings, we made wedding dress of changeable form that reflected the identity of Korean style. A total of eight dresses were created, including six traditional wedding dresses and two mini wedding dresses.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enre paintings depicting our ancestors' daily life reflect the spirits and social aspects of the corresponding days, and thus they are valuable materials that provide new ideas and design motives. Second, dress in genre paintings, which is a momentary pose captured by the painter, expresses various rhythmic senses using drapes and shows the three dimensional formative beauty of elegant clothes. The wearing methods and motions of dress in genre paintings make different drapes and express asymmetric lines and atypical formative beauty. In addition, shirring has the effect of expanding the volume, and the repetition of drapes and the wave lines on the hems create a rhythmic sense. Third, multi purpose wedding dress has not been commercialized until it can be worn as multi purpose everyday dress, and available cases and expressions are very limited. Thus, it has practical utility as evening dress, ceremonial dress, party dress, formal dress for concerts, etc. Fourth, the functionality of multi purpose dress can be enhanced through the variation of form, silhouette and detail in concert with other items. As different aesthetic effects can be achieved using a suit of dress in this way, multi purpose dress can be a marketable article that meets contemporary people's various complex desires. Fifth, the form of multi purpose dress is changeable according to the wearer's will by layered, length, width, and wearing style, and thus various styles can be produced beyond the concept of ordinary dress.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e potential for the design of practical multi purpose wedding dress reflecting traditional beauty by introducing the changeable form of dress appearing in genre paintings, and to strengthen ou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beauty. This study was limited to wedding dress, but we expect the development of new designs based on the infinite motives of traditional dress and new materia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 내용 및 방법 = 2 2. 이론적 배경 = 3 2.1 조선후기 풍속화에 표현된 복식 = 3 2.1.1 풍속화의 정의와 역사 = 3 2.1.2 조선후기 풍속화의 특징 = 6 2.1.3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치마의 형태미 = 7 2.1.4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의 형태미를 응용한 사례 = 13 2.2. 다목적 복식디자인 = 22 2.2.1 다목적 복식디자인 정의와 출현배경 = 22 2.2.2 다목적 복식디자인의 특성과 의의 = 27 2.2.3 다목적 복식디자인의 유형 = 28 2.3 웨딩드레스 = 39 2.3.1 웨딩드레스 개념 및 유래 = 39 2.3.2 국내 웨딩드레스의 도입 및 변천과정 = 41 2.3.3 현대 웨딩드레스 디자인 특성 = 46 2.3.4 다목적 웨딩드레스 디자인 사례 = 54 3. 작품 제작 = 60 3.1 제작의도 및 방법 = 60 3.2 작품 및 해설 = 63 4. 결론 및 제언 = 119 참고문헌 = 121 ABSTRACT =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004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여성복식의 형태미를 응용한 다목적 웨딩드레스-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裳(상)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Multi-purpose Wedding Dress Focused On The Formative Beauty Of Dress In Genre Paintings In The Late Chosun Dynasty : Centered on a skirt-
dc.creator.othernamePark, mi-jin-
dc.format.pagexiii, 1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