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우리나라 대칭문양의 연구

Title
우리나라 대칭문양의 연구
Authors
박혜덕
Issue Date
197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개요 우리나라 대칭문양의 조형적 연구 1. 연구목적 이 논문은 고려와 이조의 각종 조형물에 나타나고 있는 대칭문양과 장식을 수집, 분류, 분석 하여 우리 민족의 생활의식을 이해하고 그 기저에 흐르는 민족의 미의식을 재발견하며 나아가 대칭문양에 나타난 민족적 적성를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재현할 수 있는 방안의 일단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연구의 절차와 요약 대칭모양의 분석에 있어 문양의 실재, 이문대상 이문기법등의 차이에서오는 표현의식의 변화와 미적감각의 차이를 주 관찰대상으로 하였다. 1) 인간의 조형성을 규명함으로서 인간생활과 조형과의 불가분의 관계를 관하였다. 2) 인간의 조형본능에서 생겨난 각종조형의 의식화과정을 살펴봄으로서 미술구성의 제 원리들이 정립되는 일반적 단계들을 파악하였다. 3) 미술구정원리의 하나로서 대칭을 선대칭, 점대칭, 면대칭으로 3대별하고 각각의 구성원리를 기술하였고, 대칭의 미적결과와 한국대칭문양의 일반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4) 이상의 이론적 고찰에 입각하여 실제 각종 조형물에 나타난 대칭문양의 사례들을 ⓐ 먼저 좌우대칭, 좌우상하대칭, 점대칭등 형태별로 분류하고 ⓑ 각각을 동물문, 식물문, 인물문, 기하학문, 기타문등 분양실재별로 분류하여 각 문양이 이문대상과 이문기법, 의식화과정의 차이에 의해 주는 미적감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고려 및 이조의 대칭문양중 가장 많은 이문예를 찾아 볼 수 있는것은 좌우대칭형이며 점대칭은 몇몇 동물문의 경우에 이문예를 찾아 볼 수 있다. 이들 대칭의 경우에도 대칭형의 획일적 반복에서 오는 단조로움과 권태감을 극복하기 위하여 문양의 기본구성단위를 작가의 의도에 맞게 변형하여 변화와 「리듬」을 주고 전체적인 통일감과 함께 유동감을 강조하였다. 대칭문양의 소재로는 문의 용, 박쥐, 조문의 학, 봉황, 어문의 잉어등 동물문이 가장많고 식물문으로는 목단문, 연화문, 당초문등이, 기하학문으로는 도식화된 「수」학문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들 문양의 공통된 점은 모두 고전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며 장수, 다남, 부귀 등 우리 민족의 현세적 초복욕구를 표현한 것이라 하겠다. 대칭문양은 동일한 문양실재라도 기법, 이문대상등에 따라 미적감각이 달라진다. 도자기의 경우 고려상감청자나 분청사기등의 상감기법은 소규모적이고 귀족적이며 공예적 느낌을 주는 반면 이조 청화백자의 기법은 집중적이며 회화적인 표현에서 자유스러움을 느낄 수 있다. 금려를 실재로 한 고려 청동이나 이조 별당의 경우 율동적이며 입체감있는 로 한 것이 대부분이며 목재를 실재로 한 변화판과 떡살의 경우에는 목재의 특성을 살려 사실 적이며 적이고 도식화의 경향이 엿보이고 있다. 그 외에도 나전칠기나 화재 같은 경우에는 독특한 아취성과 화려함을 강조한 문양의 이문예를 발견할 수 있다. 고려 이조 대칭문양에 나타난 이러한 특징들을 한국적인 상징과 전통으로서 정립하고 현대적 응용을 위한 연구와 개발이 있어야 할 것이며 이것이 이루어 졌을 때 비로소 전통에 기반을 둔 새로운 「디자인」발전의 계기가 되리라 생각된다.;A study on the artistic quality of the symmetric patterns and ornaments manufactured during the Koryo and the Yi Dynasty. 1. Purpose of the study This thesis aims to cover three respective fields: first, to collect, classify and analyse the symmetric patterns and ornaments manufactured during the Koryo, Yi Dynasty: second, toe rediscover our ancestor's mode of life and aesthetic sense: and finally, to give a clue to the modernization of the racial sentiments expressed on the symmetric patterns. 2. Scope and summary of the study The major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variety of expression, the difference of aesthetic feeling caused by the material of patterns and the object of this special expression. To survey these subjects (1) Investigates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human life and the formative arts by bringing light on the artistic quality of human. (2) By observing the stylizing stages of design, analyses the general steps of the development in artistic composition principles, (3) Classifies symmetric expression, a major artistic rule, by its form; such as symmetric designs with respect to point, line and plane and pursuits the principles of each symmetric feature. Artistic feeling of symmetry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ymmetric patterns are also covered. (4) Based upon the preceding theoretical observation, classifies the symmetric patterns decorated on the industrial products ⅰ) into vertical symmetry, horizontal and vertical symmetry, and symmetry by counter point. ⅱ) by the various materials of the patterns, they are also classified into animal pattern, plant pattern, personal pattern, geometric pattern and others. Horizontal symmetry is the most frequent form of symmetric patterns of the Koryo, Yi Dynasty. Counter point symmetry can be found only in some animal patterns. In each case, by transforming the basic unit of pattern, dissolves the monotony and tediousness caused by repeating the basic unity uniformly, and gives patterns variety, rhythm, and lifelikeness together with unity. Animal patterns, such as beast patter(dragon, bat), bird pattern (crane, phoenix), and fish pattern (carp) are the most frequent ones. Plant pattern includes peony, lotus flower and arabesque. Graphic symbol of 「 」 pattern is often found as geometric pattern. Above mentioned patterns commonly contain lucky physiognomic meaning that expresses the realistic desire of our ancestors to live long, have many sons, be wealthy and noble. Such materials of symmetric patterns can give different aethetic feelings by the different methods and objects. Generally, Koryo and celadon chinas with incised decoration filled with white slip are usually small and highly thechnical. They give us noble and elegant feeling. On the other side patterns in Yi Dynasty chinas painted in underglaze blue are centralized and gives picturesque and unrestricted feeling. Koryo copper mirrors and special coins of the Yi Dynasty made of metal are commonly worked in relief, cubistically and rhythmically. Wodden diaper patterns and rice-cake moulds are realistic, ornamental and inclined to be graphed. Besides, mother of pearl works and horn sculptures have particular gorgeousness and taste. Preceding characteristics and symmetric patterns of the Koryo, Yi Dynasty should be established as the symbol and convention of Korean. Further study to develop and modernized such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tinued to give clue to the development of new design founded on trad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