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광우-
dc.contributor.author기경임-
dc.creator기경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4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4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404-
dc.description.abstract우식이 심하게 진행된 유전치를 수복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방법 중에서 가장 유지력이 좋고 시술이 용이한 것은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 적용법이다. 그러나 치아보호와 기능회복에는 효과적이지만 심미성이 낮아 환아와 보호자를 완전히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심미성을 얻을 수 있는 레진 베니어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이 사용되고 있지만, 장착 후 구강 내에서 레진과 금속 간 결합이 파괴되거나 레진 베니어 부위가 파절되는 등의 실패가 관찰되고 있다. 실패한 크라운을 제거하고 교체하는 것은 부가적인 시간과 비용, 다시 실패할 가능성, 환아의 협조능력에 따라 어려울 수 있다. 지난 40여 년 동안 치과용 콤포짓트 레진의 물성은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으며, 레진과 금속간의 결합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계적 및 화학적 방법이 소개되었다.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접착시스템은 기공과정에서 레진 비니어를 만들 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레진 비니어가 파절되거나 탈락하였을 때 수리 과정 중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레진 비니어가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으로부터 파절되거나 탈락한 경우 효과적인 수리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진료실에서 접착시스템을 이용한 직접법과 치과기공소에서 제작하는 간접법을 비교하였다. 샌드블라스팅한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 표면에 두 가지 접착제를 이용해 직접용 콤포짓트 레진과 간접용 콤포짓트 레진의 전단결합강도 및 탈락양상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전치부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 40개의 표면을 입자크기가 110㎛과 50㎛인 알루미나 (Al₂O₃)분말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샌드블라스팅하였다. 샌드블라스팅 처리한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은 네 가지 실험군으로 분류하여 Clearfil SE Bond (Kuraray Medical Inc., Okayama, Japan) 또는 One-Step (Bisco, Schaumburg, IL, USA) 레진 접착제를 적용한 후 직접용 콤포짓트 레진, Clearfil AP-X (Kuraray Medical Inc., Okayama, Japan) 또는 간접용 콤포짓트 레진, Tescera (Bisco, Schaumburg, IL, USA)을 접착하였다. 시편은 증류수 (37 ℃)에 24시간 보관한 후 만능시험기 (Instron, Model 4465)를 이용하여 1 mm/mim의 속도로 전단하중을 가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파절된 접착면은 실체현미경 (Nikon, SMZ-U, Tokyo, Japan)으로 파절 양상을 관찰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Clearfil SE bond를 사용한 실험군에서 직접용 콤포짓트 레진의 전단결합강도가 간접용 콤포짓트 레진보다 다소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 2. One-Step을 사용한 실험군에서 직접용 콤포짓트 레진의 전단결합강도가 간접용 콤포짓트 레진보다 다소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 3. 직접용 콤포짓트 레진에서 Clearfil SE bond로 접착한 실험군의 전단결합강도가 One-step으로 접착한 실험군보다 다소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4. 간접용 콤포짓트 레진에서 Clearfil SE bond로 접착한 실험군의 전단결합강도가 One-step으로 접착한 실험군보다 다소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5). 5. 대부분의 경우 접착성 파절 양상을 보였으며, 결합강도가 높은 일부 20% 정도에서만 혼합파절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직접법과 간접법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 레진 비니어가 파절되거나 탈락한 경우에 크라운의 교체 없이 진료실에서 콤포짓트 레진을 이용하여 직접법으로 수복하는 것이 받아들일 만하다.;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of direct composite resin (Clearfil AP-X) and indirect composite resin (Tescera) to sandblasted stainless steel crowns (SSCs) using two bonding agents, Clearfil SE Bond and One-Step. The study samples consisted of 40 primary anterior SSCs (3M ESPE), divided into 4 groups, were embedded in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block so that the resulting specimen has the crown's flat lingual surface parallel to the top surface of the acrylic resin block. Each group 10 specimens of SSCs were sandblasted with 110 ㎛ and 50㎛ Al₂O₃ particles, and bonding agents (Clearfil SE Bond and One-Step) were applied on SSCs' surfaces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Direct composite resin (Clearfil AP-X) and indirect composite resin (Tescera) were placed in mold (3.0mm × 2.0mm) and bonded to sandblasted SSCs. The cured specimens were placed in the distilled water and stored at 37 ℃ for 24 hours, and then 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using an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with a crosshead speed of 1 mm/min until the veneer was dislodged. The force at which the bond failed was noted, and it was calculated in megapascals (MPa) as bond strength. The debonded specimens were examined under a stereomicroscope (20×). The mean shear bond strengths and standard deviations in MPa were as follows: Clerafil SE bond - Tescera (11.98±1.53) ; One-Step - Tescera (9.44±2.00); Clerafil SE bond - Clearfil AP-X (13.48±3.32) ; One-Step - Clearfil AP-X (10.45±3.48).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direct and indirect composite resin groups. The bond strength values revealed that direct composite resin has slightly higher mean shear bond strength compared to indirect composite resin. Stereoscopic examination revealed adhesive and mixed bond failure. Certain patients, due to uncompliant bebavior or economic factors, make the complete replacement of an anterior pediatric crown difficult or undrsirable. This study indicates that in certain situations, the operator might choose to bond direct composite resin to a fractured labial facing rather than replacing the SSC.-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실험재료 및 방법 = 5 Ⅲ. 실험결과 = 9 Ⅳ. 고찰 = 11 Ⅵ. 결론 = 15 참고문헌 = 16 부록 = 19 ABSTRACT = 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23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title샌드블라스팅 처리한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에 대한 직접용 콤포짓트 레진과 간접용 콤포짓트 레진의 전단결합강도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ative evaluation of shear bond strength of direct composite resin and indirect composite resin to sandblasted stainless steel crown-
dc.creator.othernameKi, KyungIm-
dc.format.pageⅵ, 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소아치과학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소아치과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