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연경-
dc.contributor.author이화은-
dc.creator이화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2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4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292-
dc.description.abstractOral histories diversify the perspectives on history and enable us to perceive history profoundly. However, since oral histories can be recorded only if the interviewee concerned and witness survive, it is important and urgent to record oral histories timely. Korean domestic institutions which possess oral history collections are still in early stage of management of oral histories. Since they have concentrated on production and oral history collections, overall procedures including arrangement, description, conservation and provision of oral history interviews have not been smoothly proceeded. Unless oral histories are cataloged after production and collection of oral histories, it is difficult to discern individual oral history, and the possibility of double production increases, and the collection cannot be conducted smoothly in the end. Besides, it becomes impossible to introduce oral histories to staffs of institutions concerned and the other people who research and utilize them, and to offer such people services concerning oral histories. Arrangement and description of oral histories should be systematically performed in order that the position of oral histories can be firmly acknowledged by Korean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In other words, basic instruments such as description elements and rules are needed to catalog oral histories, and characteristics of oral histories should be reflected in such a catalog. Hereupon, this research intends to suggest description elements and rules necessary for arrangement of oral histories in public institutions which possess domestic oral histories. For achievement of this purpose, documentary research and case study were conducted. Above all, definition, characteristics, limits and values of oral histories, and types of oral histories in accordance with production methods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oral history cataloging manual, which can be a model for application of description rules of oral histories, was analyzed. And description elements were analyzed through the study on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e "Truth Commission for Forced Mobilizat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which installed their own archives and have constructed database by arranging and describing oral histories according to each step of description were included for analyzing Korean domestic cases. And the "British Library Sound Archive" the British national sound archive center, and, simultaneously, one of the largest sound archives in the world,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which search for and manages general records as well as oral histories, the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which constricted the integrated research system with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having oral histories, the "National Archives of Singapore" which operates the oral History Center were analyzed for foreign cases. Those domestic and foreign cas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parts, and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analyzed: introduction of institutions and programs on oral histories, arrangement and description of oral histories. Source of information on description was provided and description elements necessary for oral histories we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f above-stated analysis. Description elements were composed of eight areas: identity statement area, context area, content and structure area, condition of access and use area, allied material area, note area, and description control area, which were seven elements suggested by ISAD(G) 2nd,, and one additional element, that is, physical description area. Forty two description elements were suggested in this research: six identity statement areas, eight context areas, six content and structure areas, six condition of access and use areas, five allied material areas, five note areas, three description control areas, and three physical description areas. Description elements included in each area are as following. First, identity statement area is composed of elements which make it easy to identify oral histories: reference code, level of description, title, production date, type of archives, physical size and scope element. Physical size and scope element include type of medium, quantity and reproduction time. Second, context area is the information produced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of oral histories: name of interviewee, name of interviewer, biography, historical background, information on interviewer, interview date, interview place, and direct source of information for collection. Direct sources of information for collection include details; the date of collection, donations, and commission, the name of one who did the above actions, the method, the process, and conditions for collection, and so on. Third, content and structure area is composed of the detailed article catalog including many elements such as summary of the content of oral histories, subject term, arrangement system, which suggests the information on internal structure of description unit, assessment and cases concerned. Forth, condition of access and use area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items: information on the restriction on access including condition of access and information on lending, information on the restriction on use relating to reproduction, oral language, copyright, source and instrument for search. Fifth, note area is composed of general notes which describe information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other elements, form of original and duplicate copy, name of place which possesses archives, rearrangement history of collected notes and archives, and information on history of custody of archives including status of custody of archives, period of inspection, maintenance date. Sixth, allied material area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by describing information relating to oral history concerned, and is composed of name of collection, electronic file, publication, data concerned, and attached materials. Seventh, description control area includes archivist which describes oral history, and information relating to description rules. And it is composed of detailed elements such as describer, description rules and description date. Eighth, physical description area describes details concerning the size, quality, and form of physical medium of oral histories. It is composed of detailed elements including quantity, size, reproduction time, reproduction speed, and type of recording(videorecording) of each medium.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s essential elements by consulting basic elements suggested by ISAD(G) and OHC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analysis on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description rules were made through consultation of the description part of Chapter 2 of OHCM, Archives & Records Description Rule (bill) made by the National Archives & Records Service (2006), content concerning description of recoded materials, video materials, visual materials, electronic materials in KCR4 (2002), particularly, description elements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 s of analysis on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description elements suggested by OHCM. This research actually applied the above-stated description elements and description rules to oral histories on Korean art history in the Arts Council Korea.;사람을 비롯한 동물 실험 모델에서 납(lead)이구술기록은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을 다양화하고 깊이 있는 역사인식을 가능케 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해당 구술자와 증언자가 생존해야만 기록화할 수 있다는 한계를 지니기 때문에 구술기록을 적시에 기록하는 것은 중요하고도 시급한 일이다. 국내에서 구술기록을 소장하고 있는 기관들은 구술기록 관리와 관련해서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생산과 수집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구술기록을 정리, 기술, 보존, 제공하는 전반적인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생산·수집한 이후 목록화하지 않으면 개별 구술기록을 식별하기가 어려워지고, 중복 생산할 확률이 높아져 결국 수집업무에도 차질이 빚어지게 된다. 또한 구술기록을 연구하거나 이용하는 내·외부 사람들에게 소장 구술기록을 소개하고 서비스할 수조차 없게 된다. 국내 공공기관에서 구술기록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정리와 기술을 체계적으로 해야 한다. 즉, 구술기록의 목록 기본도구가 되는 기술요소와 규칙이 필요하며 구술기록의 특성이 반영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구술기록을 소장하고 있는 공공기관에서 구술기록을 정리할 때 필요한 기술요소와 기술규칙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사례 조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구술기록의 정의와 특징을 알아보고 한계점과 가치, 구술기록의 생산방식에 따른 종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구술기록의 기술규칙 적용모델이 될 수 있는 구술기록목록매뉴얼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국내외의 사례분석을 통해 사용하고 있는 기술요소를 분석하였다. 국내의 경우, 내부에 아카이브를 설치하고 구술기록을 기술단계별로 정리·기술하여 DB를 구축하고 있는 국사편찬위원회와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를 분석하였다. 외국의 경우는 영국국립구술기록센터이면서 세계에서 가장 큰 사운드아카이브의 하나인 영국사운드아카이브, 일반기록물과 함께 구술기록을 관리하고 검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미국국립기록청, 자국 내 구술기록을 관리하고 있는 공공기관과 통합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호주국립도서관, 소속기관으로 구술기록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국립싱가폴기록관을 분석하였다. 국내외 사례는 기관과 구술 프로그램에 관한 소개와 정리·기술부분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상에서 파악된 바를 바탕으로 기술의 정보원을 제시하고 구술기록에서 필요한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요소는 ISAD(G)에서 제안하고 있는 식별영역, 배경영역, 내용과 구조영역, 열람과 이용조건영역, 연관자료영역, 주기영역, 기술통제영역에 물리적 기술영역을 추가하여 8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기술요소는 식별영역 6개, 배경영역 8개, 내용과 구조영역 6개, 열람과 이용조건영역 6개, 주기영역 5개, 연관자료영역 5개, 기술통제영역 3개, 물리적 기술영역 3개로 총 42개를 제안하였다. 각 영역에서 포함하고 있는 기술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별영역에는 구술기록의 식별을 유용하게 하는 요소들로 구성되며 참조코드, 기술계층, 제목, 생산일자, 기록물유형, 물리적 크기와 범위 요소를 제안하였다. 물리적 크기와 범위요소에는 매체종류, 수량, 재생시간을 포함하였다. 둘째, 배경영역은 구술기록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들이며 구술자명, 면담자명, 전기·역사적 배경, 면담자 정보, 면담일자, 면담장소, 수집의 직접적 정보원 등의 요소로 구성하였다. 수집의 직접적 정보원은 수집/기증/위탁/구입일자, 수집/기증/위탁/구입자, 수집방법, 수집경위/조건 등의 세부요소를 포함하였다. 셋째, 내용과 구조영역은 구술기록 내용 요약, 주제어, 기술단위의 내부 구조정보를 제시하는 정리체계, 포함하는 상세기사목록, 평가, 관련사건 등의 요소로 구성하였다. 넷째, 열람과 이용조건영역은 열람조건·대출정보 등의 접근제한정보, 이용·재생산과 관련된 이용제한정보, 구술언어, 저작권, 출처, 검색도구 등의 요소로 구성하였다. 다섯째, 주기영역에는 다른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정보를 기술하는 일반주기, 원본 및 복제본의 형태, 소장처명, 소장주기와 기록물의 정리이력, 보관상태 및 점검주기와 보수일자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보관이력정보로 구성하였다. 여섯째, 연관자료영역은 기술대상 구술기록과 관련된 정보를 기술하여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컬렉션명, 전자파일, 간행물, 관계자료, 첨부자료로 구성하였다. 일곱째, 기술통제영역은 구술기록을 기술한 아키비스트와 기술규칙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기술자, 기술규칙, 기술일자의 요소로 구성하였다. 여덟째, 물리적 기술영역은 구술기록의 물리적 매체 크기와 재질 등의 형태에 대한 세부정보를 기술하는 항목이다. 녹취록, 녹음자료, 영상자료로 구분하여 각 매체별 수량, 크기, 재생시간, 재생속도, 녹음·녹화 유형 등의 세부요소를 구성하였다. 또한 ISAD(G)와 OHCM에서 제안된 필수요소를 참고하고 국내외 기관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필수요소를 제안하였다. OHCM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술요소와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제시된 기술요소를 중심으로 OHCM의 제2장 기술부분과 국가기록원 기록물기술규칙(안)(2006), KCR4(2002)의 녹음자료, 화상자료 및 영상자료, 전자자료 기술부분을 참고로 하여 기술규칙을 작성하였다. 이렇게 제안된 기술요소와 기술규칙을 바탕으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한국예술사 구술기록에 실제로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고혈압 유발인자임을 밝혔다. 납으로 야기된 고혈압의 병태 생리학적 기전을 설명하는 여러 시도 중에 활성 산소 종(ROS)의 발생이 가장 유력한 고혈압 발생 원인일 수 있다고 납(lead)중독 동물모델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활성 산소 종(ROS)은 COX-2, catalase의 증가로 발생한다. TCTP가 납(lead)으로 야기된 고혈압 발생 기작에 관여하는 지를 증명하기 위해, 나는 A7r5 세포에 납을 처리하였고 TCTP가 과발현 됨을 확인하였다. 납에 의해 TCTP가 과발현 되었을 때 COX-2, catalase의 발현도 증가하였고, TCTP를 siRNA로 knockdown 시켰을 때 COX-2, catalase의 발현도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요약하여, 납이 A7r5 세포에서 활성 산소 종(ROS)을 발생 시킬 수 있는 TCTP, COX-2, calatase를 과발현 시켰으므로, 이는 TCTP가 납(lead)으로 야기된 고혈압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에 관여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C. 선행연구 = 4 Ⅱ. 구술기록의 의의와 특성 = 13 A. 특성 및 가치 = 13 B. 범위와 유형 = 18 Ⅲ. 구술기록 기술사례 비교 = 21 A. OHCM = 21 B. 기술사례 = 26 C. 비교분석 = 70 Ⅳ. 구술기록 기술요소 및 규칙 = 77 A. 기술요소 및 규칙 = 77 B. 적용 = 96 Ⅴ. 결론 = 106 참고문헌 = 112 ABSTRACT =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404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c.title구술기록의 기술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scription for Oral Histories-
dc.creator.othernameLee, Hwa-Eun-
dc.format.pageⅷ, 12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기록관리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