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찬-
dc.contributor.author오금숙-
dc.creator오금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3Z-
dc.date.issued1973-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9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4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957-
dc.description.abstract지도는 지리 학습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인 도구이다. 지도 이용자들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술은 지도를 읽을 수 있는 능력과 지도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이다. 지도 읽기 능력은 복합적인 과정에 의해서 형성되므로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학습이 선행되지 않는 한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없으리라고 생각된다. 효율적인 지도 읽기 능력 함양을 위한 학습에는 지도 읽기 능력에 대한 보다 정량적이고 조직적인 분석의 결과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지도 읽기 능력에 대한 조직적인 연구가 되어 있지 못하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이 현행 지리교육과정을 통해서 어느 정도의 지도 읽기 능력이 형성 되었는지는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들의 지도 읽기 능력 측정을 위한 표준화 검사 작성의 일례이며, 학생들의 지도 읽기 능력을 측정하여 기준을 작성하고 지도 읽기 능력 증진을 위한 앞으로의 문제점을 찾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지도 읽기 내용의 선정, 지도 읽기와 관련된 교육목교의 선정, 지도 읽기 내용과 교육목교와의 이원분류표 작성, 예비문항의 작성, 검사 및 문항분석, 본 검사의 문항작성, 실시 및 결과처리 등으로 정리하였다. 지도 읽기 내용은 지도가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요소를 지도의 형태, 방위, 위도, 거리, 기호, 지도추리의 6개 부분으로 나누었다. 교육목교의 선정은 Benjamins, Bloom 교수의 교육목표 분류학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지적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map reading에서 달성되어야 할 교육목교를 선정하였다. 이원분류표는 지도의 일반적인 요소와 달성되어야 할 목표를 각각 종, 횡으로 정리하였다. 예비문항은 120개를 작성하여 서울시내 중학교 3학습, 고등학교 3학급에 총 39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computer에 의한 문향분석을 하였다. 문항분석에서는 각 학교별 백분위 점수의 계산, 점수분포의 조사, 각 학교별 점수분포곡선작성, 난이도조사 등을 실시하였고, 본 검사는 예비문항 중 40개를 선정하여, 중학교 9개교(589명), 고등학교 7개교 (411명). 총 100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 결과는 학교별득점, 각 학교의 득점율, 문항별 난이도 등을 계산하였고, 득점의 분포 및 분포곡선을 작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지도 읽기 능력측정을 위한 검사문항을 작성하고 실시한 결과, 다음 몇가지 사실들이 밝혀졌다. 첫째, 중·고등학교 점수기준은 백분위 점수로 각각 49.4, 61.7 로 나타나 중학교보다 고등학교가 12.3 높다. 둘째, 남학생의 특점이 여학생 보다 2~5 점 높다. 셋째, 난이도는 예비검사의 결과 최고 .995(문항번호 76)에서 최하 .089(문항번호91)까지 나타나고 있다. 넷째, 예비검사에서 득점분포의 범위는 중학교 (25~109점)가 고등학교 (35~99점)보다 넓다. 다섯째, 중학교의 통과비율이 고등학교를 능가하는 문항은 120개의 예비문항 중 22개에 달하고 있다.;The most important and basic tool for a geographer is a map. And the essential skill for a map user is Map Reading Abilities. But the Ability is formed through complex processes, so it is difficult to achieve. Systematic studies in this field are hardly achieved in our country. The aim of this study is making norms of the Map Reading Abilities and bring various issues in this process to discussion in junior high school and senior high school.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selecting the contents of Map Reading, educational objectives related to the Map Reading, and from which I made 120 items and then pretested the students by using the items and analysed the results of the test. The contents of Map Reading Abilities comprised the general elements of the map, such as shape, direction, location, distances, symbols and map inferences.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Map Reading Abilities depend on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Cognitive domain- 396 students (Junior:3classes, Senior:3classes) answered the pre-test and the data was analysed by computer. After 40items have been selected out of 120 items by computer dating, I tested 1000 students (Junior: 589 Senior: 411) by these 40 items. The results from the test are following: 1) The percentile scores of 40 items in junior high school is 49.4 and 61.7 in senior high school. 2) The boys' achieved percentile score is higher than girls'. 3) The difficulty-range of pre-test is from .995 (item number 76) to .117 (item number 91) 4) The present score distribution of junior high school(25-109) is broader than that of senior. 5) In the pre-test there are 22items that the score of junior high school is higher than that of senior high schoo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연구의 제한점과 전제 2 II. 연구방법 및 과정 4 A. 연구방법 4 B. 연구과정 4 1. 지도 읽기내용의 선정 5 2. 지도 읽기와 관련된 교육목표의 선정 10 3. 지도 읽기 내용과 교육목교와의 이원분류표 작성 18 4. 예비문항의 작성, 검사 및 문항분석 19 5. 본검사 문항의 작성 실시 및 결과처리 36 III. 결론 46 영문초록 50 참고문헌 52 부록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343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912-
dc.title지도읽기 능력측정을 위한 검사작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지리교육분야-
dc.date.awarded197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