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장애학생이 통합된 중학교 과학수업실태 및 과학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요구

Title
장애학생이 통합된 중학교 과학수업실태 및 과학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요구
Other Titles
Survey of current speci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with special students' integration and collaboration demands between teachers of science class and special class.
Authors
이지선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nding of education and survey of collaboration needs between teachers of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integrated with thos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0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 special classes (for the handicapped) and 136 science teachers, where the special class are set up among the Middle school of the whole nation. The instrument of the study wa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calculating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Also, to pro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the science teachers and that of the special class (for the handicapped) teachers, the t-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bellow : 1. The 68% of the whole science teachers, have known the basic academic leve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most of the science teachers don't format separate academic goa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go on to teach same lesson of the general class. But in the case of correcting the context of the less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was shown that they make lessons easier and simpler. Also, when required they would ask advices to a special class teacher about the methodologies or ways to tea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participating in the class partially and are assisted by student helper. Most of the cases there were not any para-professional or science assistant, and even though they are in the class they doesn't give a help that much.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 behavioral problems that were not so serious, and generally the teachers were known about how to treat these kinds of behaviors. Research shows that the difficulties arise in the following : 'Lack of basic academic ability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Lack of interest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difficulty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with general students.' Meanwhile, the science teachers evaluate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same way to evaluate the general students. Also, in the study shows that the most difficult thing for the science teacher to teach is 'Consider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class of many students', 'unawareness of methodology of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e to lack of experience and knowledge,' and lastly, 'difficulty in evalu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so, this study show that the science teachers are expecting to being in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general students even though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doesn't understand the lesson. 2. Generally the collaboration needs between teachers was very high. In both cases of the science teachers and the special class (for the handicapped) teachers, the highest collaboration needs was 'How to mediate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ing provided about the inform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 Also, the result of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academic level of the science clas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an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difficulties in many aspects in the actual state of the education and the collaboration needs between teachers, for the sake of the approvement of the quality of the science class in the Middle school where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integrated. So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general teachers the knowledge, experience and the method of instruc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kind of education should begin in the training process of the teachers. To make the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for the sake of the approvement of the quality of the science class, the school administrator's support and administrativ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o.;특수학급이 설치된 중학교의 수가 증가하면서 일반학교에서 교육받는 장애 중학생의 수도 함께 증가하였다. 초기에는 장애학생을 일반학급에 배치하는 물리적 통합이 이루어졌고, 이후에는 통합된 장애학생의 일반학생과의 사회적 관계 형성 및 학급의 한 구성원으로서 수용하는 사회적 통합이 강조되었다. 더 나아가서는 장애학생이 일반 교과수업에 잘 참여하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장애학생의 과학, 사회, 도덕 및 예체능 수업은 일반학급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통합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과학교과는 주지교과이면서도 일반학급에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실에서의 수업뿐만 아니라 실험실로 이동하여 이루어지는 실험수업도 있어 일반교과들과는 구별되는 교과이다. 이에 장애학생이 과학수업에 “의미 있게”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적 통합을 이루기 위해 교수적 수정의 필요성이 지적되었으며, 성공적인 교수적 수정을 위해서는 과학교사와 특수교사 간의 협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이 통합된 중학교 과학수업실태를 알아보고, 장애학생이 통합된 중학교의 과학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요구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특수학급이 설치된 지 5년 이상 된 전국 544개의 중학교에 질문지를 배부하고 140개교에서 회수되어 특수학급교사 140명(25.73%)과 과학교사 136명(25%)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장애학생이 통합된 중학교 과학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수업실태 및 과학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사 간 협력요구를 조사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거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해 분석하였고, 과학교사와 특수교사 집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이 통합된 중학교 과학수업실태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68%의 과학교사들이 장애학생의 기초학업수준에 대해서 알고 있었다. 또한 83%의 과학교사들이 장애학생을 위한 별도의 과학수업 목표를 세우지 않고 주로 수업내용을 그대로 가르치며, 수업 내용을 수정할 경우 더 쉽고 단순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와의 의견교환에 있어서는 과반수의 교사들이 정기적이진 않지만 필요할 경우 의견을 교환하고 주로 교수 및 학습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내용과 수준에 따라 장애학생은 부분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과반수가 일반교실 수업과 실험상황에서는 잘 도와주는 친구 모둠에 배치되어 또래의 도움을 받았다. 특수교육보조원과 과학조교는 배치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과반수의 교사들은 이들이 수업을 잘 돕지 못한다고 답하였다. 과학수업평가 및 수행평가를 실시함에 있어서 과학교사 77.9%가 일반학생들과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장애학생을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과반수의 과학교사는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이은 심각하지 않은 수준이라고 하였으며, 교사들은 이러한 문제행동 접근 방법에 대해 대체적으로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교사들은 장애학생이 과학수업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점은 ‘장애학생의 기초학업기술 부족’, ‘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장애학생의 흥미 부족’의 순위대로 나타난 것으로 답하였다. 또한 과학교사가 장애학생에게 과학교과를 가르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은 ‘학급학생 수가 많아서 장애학생을 특별히 배려하는 것의 어려움’, ‘장애학생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없어 교과지도 방법을 모르는 어려움’과 ‘장애학생의 수업목표 설정의 어려움’의 순위대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과반수의 과학교사는 장애학생이 수업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일반학생과 사회적 관계가 증진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학생이 통합된 중학교의 과학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요구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과학교사와 특수교사 모두 전체적으로 협력요구가 높았다. 과학교사와 특수교사의 경우 모두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방법’과 ‘장애학생의 행동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사의 경우도 과학교사와 마찬가지로 ‘장애학생의 행동특성과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방법’과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학교사와 특수교사의 가장 적은 협력요구로는 ‘시험이나 과제의 난이도 협의’와 ‘장애학생의 수업참여에 대해 협의 기회를 정기적으로 갖는 것’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교사와 특수교사에 따른 협력요구에 있어서 ‘장애학생의 과학수업 학습수준에 대한 정보 제공’ 문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장애학생이 통합된 중학교 과학수업실태 및 과학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요구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과학교사에게 장애학생에 대한 지식과 경험 및 교수 방법에 대한 연수와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와 같은 연수와 교육은 교사 양성 과정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장애학생이 통합된 중학교의 과학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학교관리자의 지원과 행정적인 체계 및 협력체계가 구축되고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