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미옥-
dc.creator박미옥-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1Z-
dc.date.issued1977-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9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4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996-
dc.description.abstract문자의 유대성은 순수 미학적 기준만으로 결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아울러 문예비평은 일정한 윤리적 및 신학적 입장에서 하는 비평에 의하여 완결되어야 한다는 명제에 근접하여 고대소설에 나타난 성과 속을 연구함에 있어 종교학적 방법론에 의한다. 종교와 문학은 인간 존재의 구명을 그 출발점으로 하는 점에서 동일하기 때문이다. 최초의 문학형태를 시가로 보고 그 시가의 형성과정을 원시종합예술체에서 찾고 있고 또 그 원시종합예술체가 원시종교의 한 의식으로 행사되었다고 보고 있다면, 종교와 문학은 원시시대부터 밀접한 관련을 맺고 발달해 왔다고 하겠다. 또한 원시사회의 풍속적 잔해를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는 우리시대에 가령 Totemism, Animism, mana 각종 샤머니즘 등 원시종교가 원시예술과 동시적으로 발전되어 왔다는 견해도 일반화되어 왔다. 우리들의 고대소설 특히 신성소설류에 속하는 작품들은 신화나 설화가 그 작품들의 주제가 되고 있음을 본다. 이 신화나 설화는 현실적인 시간관념이나 공간관념으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극적인 사건을 포용한다. 이로써 이 극적인 사건을 그것이 표상하는 바의 의미와 근원을 해명하기 전에 <황당무계성>으로 처리하며 또한 소위 그 귀족문학의 백미라고 하는 구운몽을 일컬어 이른 바 유교적 공명주의에 입각한 동양적인 중세기 남성들의 현상적인 생활(일부다처주의)을 표현한 작품이라고 표면적인 평가를 하고 있음을 본다. 이러한 <황당무계성>과 그 표면적인 평가에 대한 근본적인 재고의 필요성에서 본고의 의도가 생겨난다. 그러므로 본고는 구운몽·천수석·영류록 이 세 작품을 신성소설류로 묶고 이들 작품이 지니고 있는 신이성·신비성·신성성을 인류가 경험한 성스러운 것의 총체로 봄으로써 문화의 국지주의로 그 편견 속에 침잠되어버린 우리의 <황당무계성>과 그 표면적인 평가를 재해명·재평가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신성소설류의 작품은 그 주목적을 <예술성> 즉 <문학성>에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종교적지도>에 두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전 작품에 흐르고 있는 신비성·초현실성 등은 곧 종교적 신비주의이며 이 신비주의는 초월에의 지향과 신화적 모티브를 항상 염두에 두고 있음이 작품 전체에서 나타나고 있다. 종교는 자연의 운동과 인간의 생명의 움직임에 대해서 명령을 하며 그것을 지배한다고 믿는 초인간적인 갖가지 힘에 대한 화해 혹은 조정이라는 정의에서 보면 작품에 표상되고 있는 초월적인 힘은 바로 종교적 신앙인 것이다. 그런데 이 종교적 신앙에는 그것이 단순한 것이든 복잡한 것이든 막론하고 하나의 공통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그것들은 모든 존재현상이나 사물들을 현실적인 것과 이상적인 것의 두 계층 또는 대립적인 그룹으로 나누고 있는데 이 두 대립적인 개념을 Profane(속)과 Sacred(성)라는 용어로 명확하게 구별한 Durkheim에 의존하여 작품 속에 표상된 성·속의 문제를 본고의 주제로서 다루었다. 따라서 이 성과 속의 개념과 특질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작품을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이 두 이질적인 요소에 대해서 그 개념과 특질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즉 성은 종교적 외경의 대상으로 세속에 대해서는 전적타자이다. 또한 심리학적인 면에서는 집단무의식 즉 원초적 심상 원형이 되며 이 원형은 영원한 실재로 인식된다. 이 실재는 궁극적이다. 성은 그 말의 전체적 의미로 볼 때 하나의 결합적 범주이며 이 범주는 순수 선천적(a priori)인 범주이다. 신성의 길은 위험이고 미로이지만 인류는 끊임없이 신성과의 합일을 기원한다. 속(profane)은 H.Cox가 말한 Secular와 동궤의 개념으로서 불경성과 실용성으로 인하여 성의 질곡과 갈등을 초래하는 자기중심의 비종교적 영역으로 어떤 초세계적인 실재가 없는 완전히 지상적인 시야를 말한다. 따라서 이 두 이질적인 개념은 완전히 대립관계에 있으며 대상관계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 속을 그 특질에서 보면 인간 경험의 두 가지 양태로 나타난다. 인간의 존재는 천상적인 것만도 아니고 지상적인 것만도 아니다. 신성소설 속에 일관하여 흐르고 있는 주제는 천상적인 것이지만 이에 반대명제로서 언제나 속적인 요소 즉 지상적인 차원의 세계가 투영되고 있다. 구운몽에서의 연화봉적 성계와 야소유적 속계, 천수석 에서의 위보형의 금욕적 고답성과, 이초혜 간옥지를 중심으로 한 집요한 욕망의 세속성, 영류록에 있어서의 손기의 신비성에 대립하여, 동서 소운성과 장모의 편협과 방만에 찬 속성 등 이러한 대립적인 갈등의 투영은 인간존재의 이원성에 대한 작가의 의도적 표현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러한 대립에서 결국 신성성을 지닌 주인공의 승리로 끝이 나며, 주인공은 선계로 회귀한다. 이것은 인간존재의 전이를 말함이며, 바로 궁극적 실재인 신성과의 합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류의 고향 motherland로 가서 영생함을 뜻하는 것이다. 곧 영혼의 불멸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른 바 <황당무계성>은 궁극적 실재에 대한 상징적 표현임을 간주한다. 다시 말하면 이 실재를 말하는 형식이나 이미지가 유치하게 보이기도 하고 불합리하게 보이기조차 할지라도 이러한 표현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는 바로 비실재인 속 세계에 반대되는 절대적 실재에 대한 신앙에 의하여 지배받고 있다는 사실이다. 아울러 구운몽은 일부다처의 이상주의적 소설이 아니라 영원한 실재에의 참획을 희망하는 존재론적 갈등을 보여준 작품이다.;The Greatness of Literature can not be completely explained only in view of pure aesthetics, and a Literary Criticism should be made with the aid of the criticism which is performed in view of ethics and theology. Based upon this statement, the writer takes the religious method to research the sacred and profane which has been presented in the ancient novels. Literature is consistent with religion in the point of having the same origin of searching the human existence. Assuming that the first form of literature is song and poems, and that the courses of formation of song and poems are found in the primitive synthetic arts, and that the primitive synthetic arts takes place as one of rites of primitive religion, we would say that religion and literature have been developed with a close relation. The customary remnants of primitive society have been found in our age, such as Totemism, Animism, Mana, many kinds of shamanism and it has been generally accepted that the primitive religions have progressed with the primitive arts simultaneously. In our ancient novels, especially works categorized into the group of the sacred novels, their themes usually consist of myths and tales. These myths and tales include the dramatic events which can not be accepted in view of practical time and space conception at all. So, we have regard them as an absurdity and nonsense before elucidiating the meanings and the origin which the dramatic events represent for. Besides the Gou Oon Mong--what we call one of the best aristocratic literature--is estimated as the work which expressed the ideal lives of men of oriental mediaeval age based on Confucian utilitarianism. The necessity of rescrutinizing fundamentally these superficial estimates made the writer choose this subject to study. Therefore, in this paper the writer is to categorize the three works, Gou Oon Mong, Chun Soo Suck, Yeong E Rock, into a group of sacred novels, and by considering their mysteriousness, heterogeneity and holiness as the whole of the sacred which humankind had been experienced, the writer is to re-elucidiating and re-estimating the past estimates which have regarded the character of the mysteriousness nonsense and absurdity appeared in our ancient novels as reflection of the prejudice of cultural localism. In the works belonging to the group of sacred novels the authors' seem to place their purpose of writing the works not on their literary and artistic character but on the religion. The mystery and the supernatural characters involved wholly In the work are the expression of religious mysticism, which always suggests the intention of transcendence and mythical motives. Assuming that religion is the reconcilation with or regulation of various kinds of supernatural powers which order the movements of nature and human life and which we think control them, the supernatural powers which is represented in the works indicate the religious faiths. These religious faiths, whether they are as following, all the phenomena of existence and things are divided into two kinds of group, that is, realistic group and idealistic group, or other two groups conflicting against each other. Based upon Durkheim who drams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se two confliction conception the using the term sacred and profane the problem of the sacred and profane is treated as the theme of this paper. After the contemplation of the concepts of this sacred and profane, the writer analyzed and studied the works. The character and conception of these two heterogenous ele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 Sacred is the abject of reverence and the completely 'the other'. In view of psychology, the sacred becomes the group unconsciousness, that is, primitive image or archetype, and this archetype is recognized as permanent reality, which is ultimate. Though the way of the sacred is dangerous and a babyrith, humankind incessantly supplicates for being united with the sacred. 'Profane', which is similar to the conception of H. Cox's secular, is specified as completely earthly view without transcendal reality and it confines itself to unreligious region which is full of the felters and discords of life due to practicallity and irreverence. Therefore these two concepts are conflicting against each other and are set up in opposition. But the sacred and the profane appeared as two types of human experiences. Human existence is neither only divine nor only earthly. The theme which runs through the sacred novels is the heavenly element but the profane element as the contrary state, ent against the sacred that is, the earthly elements are always projected into the works. Yeon Hua Bong's holy world and Yang So Yoo's profane world in Gou Oon Mong, Wee Bo Hyung's ascetic transcendence and tenacious attachment to the world of Lee Cho Hae and Kwan Og Ji in Chun Soo Suck, So Oon Sung, and his mother-in-law which is full of pride and prejudice in contrast with Son-Ki's mysteriousness in Yeong E Rock, the projection of such conflicting troubles into those works are regarded as the author's intentional expression of the duality of human existence. But in these conflictions the hero who has the sacredness comes to win in the long run and he returns to the heaven. This is meant by the transition of human existence, and by uniting with the sacred which is ultimate reality, and by getting eternal life in mother-land. This symbolizes the immortality of soul, therefore the so-called absurdity and nonsense is considered as the symbolical expression of ultimate reality. In addition to that, Gou Oon Mong is not simply a novel of polygamous idealism, rather a work which shows the ontological confliction of human existence who desires the return to the eternal re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성과 속 5 A. 신성의 파악 6 B. 원형으로서의 신성 9 C. 속의 파악 13 D. 상징 15 III. 작품의 주제와 구조 분석 19 A. 작품의 주제와 구성 19 B. 작품의 구조에 나타난 성과 속 38 C. 회귀 61 IV. 결론 64 참고문헌 67 영문초록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277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古代小說에 나타난 聖과 俗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九雲夢, 泉水石, 靈이錄을 中心으로-
dc.format.page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7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