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4 Download: 0

여성 중심 조직에서 여성상사의 리더십이 여성 부하의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Title
여성 중심 조직에서 여성상사의 리더십이 여성 부하의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Study on Job Satisfaction in Women-Based Organization by Leadership Style : Focused on International Flight Attendants in K Airline
Authors
서미경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에 들어서 평등사상의 광범위한 보급과 교육의 균등으로 여성의 사회 참여가 많아짐에 따라 여성이 조직에서 리더로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도 점점 증가되는 추세이다. 리더십이라 하면 기존에는 남성의 영역으로 여겨져 여성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그리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여성의 관리직 진출이 늘어나고 이와 더불어 전통적으로 여성의 영역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서비스직에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여성에 대한 연구 또한 여성을 리더로 다루기보다는 부하나 하급자, 혹은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라는 측면에서 다루어진 것이 연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에서는 여성에 대한 보조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여성을 리더의 위치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여성 중심 조직에서 여성 상사의 리더십 형태가 부하로써의 여성의 직무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에 대해 검증해보려고 한다. 본 연구 조사는 여성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조직인 국내 K항공사의 국제선 객실 승무원 조직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하였으며, 문헌 연구와도 병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총 407부를 유효 표본으로 하였으며, 신뢰도(reliability) 및 타당성(validity) 검증, 회전 방식으로 베리맥스(VARIMAX)방식에 의한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성 상사의 리더십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그룹별로 만족도의 점수 차이가 유의미한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변혁적 리더십과 여승무원의 직무 만족도간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성상사의 리더십이 승무원들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5점 척도를 활용하여 인구 통계적 특성과 여성상사의 리더십과의 관계, 여성상사의 리더십과 직무만족도,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과 직무만족도 등을 분석하였다. 인구 통계적 특성과 여성상사의 리더십과의 관계 분석을 위해서 각 응답자 그룹간의 만족도 차이가 유의한지 확인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여성상사의 리더십과 직무만족도,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과 직무만족도 분석을 위해서는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다. 1장은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의 목적, 그리고, 연구의 구성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2장은 이론적 배경과 관련된 사항으로, 선행된 리더십 연구의 이론적 고찰, 여성 리더십 이론과 선행 연구, 직무 만족에 대한 이론, 또한 이 연구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연구 대상인 K 항공사 객실 승무원 조직과 관련된 내용을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 모형, 연구 대상, 연구 가설을 설정 하였으며,4장은 실증 분석 부분으로 수집된 407개의 설문지에 대한 통계 분석실시를 통하여 3장에서 세운 가설을 검증하였다. 5장은 결론 부분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항공사의 국제선 객실 승무원 조직의 여성 상사에 리더십에 대한 부하의 만족도는 직급, 연령, 근무연수, 학력에 따라 정(+)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직급이 낮을수록, 근무연수가 적을수록 여성상사의 리더십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여승무원의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거래적 리더십도 직무 만족도와 정(+)의 관계를 맺고 있었으나 그 영향력은 변혁적 리더십에 의한 영향력보다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여성상사에 대한 만족도와 여승무원의 직장 및 직무자체에 대한 만족도는 정(+)의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특히 여성상사의 커뮤니케이션과 리더십 및 관리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K항공사 여승무원 중 여성 리더의 리더십 형태가 변혁적 리더십 일 때, 여승무원의 직무 만족이 커짐을 알 수 있으며, 커뮤니케이션도 상사 만족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여성 중심 조직에서, 여성 리더가 여성성을 충분히 살리는 리더십을 발휘할 때, 같은 여성의 직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으며, 서비스직이나 여성 중심 조직에서 여성 리더의 리더십이 지향해야할 방향을 제시해 준다 하겠다.;The women's equal opportunity in education along with gender empowerment is widespreadly acceptable especially in the 21st century as evidenced by the fact that their active social participation has spurred them on to leaders in a broad spectrum of organizational sectors. Under the situation of conventional leadership being contextualized as the male category, not much attention on the female leadership has been comparatively paid, and as for the service providing sector a majority of which is taken by the women, most of its related studies by far are likely to consider them as the organizational subordinates or coordinators, rather than leaders. The current study aims at providing the analytical standpoint on female leadership setting it free from the past viewpoint making the women confined as subordinate in order to evaluate how and to what extent the leadership performed by the female seniors is influential to job satisfaction for the female juniors in the women-oriented organizations. In this regard, this study has made practical analysis over the flight attendants of international lines working for a local K airliner as a showcase sample for the women-based organization, while focusing on research of related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A total of 407 questionnaire was adopted as the validated sample for surveying and the factor analysis was approached by Varimax criterion for analytical rotation including reliability and validity authentication. In addition, one-way ANOVA was incorporated to verify identifiable difference in scores of satisfaction among groups in pursue of analyzing satisfaction degree depending on the leadership by female higher-up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reover,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focused on the finding of how the transformation leadership was influential to job satisfaction of female attendants. The purposes of the five point calibration designed includes; to check up how the female seniors' leadership influences on stewardess job satisfaction;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female seniors' leadership; to analyze the female seniors'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to assess the transformation and transaction leaderships including job satisfaction. The one-way ANOVA was applied in an attempt to ascerta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female seniors' leadership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mong interviewee groups, while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put into practice to analyze the female seniors'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nd to assess the transformation and transaction leaderships including job satisfaction. Chapter 1 in this study, providing constituents for the research, outlines its necessities and directives. Chapter 2 associated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describes the theoretical approach toward preceding leadership researches, the women's leadership theories and their preliminary studies, a variety of job satisfaction related arguments, and specified empirical data and concerns relating to the sampling of this study, that is, the flight attendant organization for K airline. Chapter 3 draws up research modeling, research object and research hypotheses, and chapter 4 as a verifiable part executes the statistical analysis over 407 questionnaire collected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preset hypotheses in chapter 3. Chapter 5 underlines the conclusion part briefed as follows; First, the lower ranked juniors in their job satisfaction varying with the leadership applicable by the upper ranked female seniors in K airliner's international flights showed that there exis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ir rank, age, service period and final education. The lower the rank and the shorter the service period,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gainst the senior officials' leadership. Second, the transformation styled female leaders were proven positively influential to the stewardess' job satisfaction. The positive inclination was found in the transaction leadership, too, but its influential intensity was less than the transformation leadership. Third, there revealed the positive connectivity between satisfaction against the female superiors and satisfaction against the job and company, in particular being mostly influential to satisfaction against the female leaders' leadership and management. In consequence, the study argues that the job satisfaction felt by the female attendants increases when the leadership style exercised by the female seniors is categorized into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which indicate that the full sense of feminity performed by the female leaders in an female-based organization poses positively influential to job satisfaction for the same gender in lower positions with the implicative orientation for where the female leadership in a female strata of organizations is bound f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