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5 Download: 0

사고 구술(Think-Aloud) 활동이 이야기 텍스트의 추론적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사고 구술(Think-Aloud) 활동이 이야기 텍스트의 추론적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Think-Aloud Activities on Inferential Abilities to Story Texts
Authors
박은주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hink-aloud activities on 1st graders‘ inferential abilities to story texts. The process of reader's reading texts and understanding it is that of receiving writer's intention using their background knowledge. However, the process is implicit. Think-aloud reveals it though. When readers read texts and receive informations, they consider omitted parts and implicit meanings of the texts. The inference is the process of arriving at some conclusion and completing sentence in a story text that, though it is not logically derivable from the assumed premises, possesses some degree of probability relative to the premises but from his/her experiences and knowledges. It is necessary for young children to learn inferences in Korean language, becaus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it is that parts of sentences are omissible. The 1st grade students are in the phase in which they start to get out of the level of reading texts out loud. They are beginners in reading stage. That is the reason why teachers have to cultivate students' inferential ability to read texts with finding implicit meanings through teaching how to read and encouraging communications related to it. The think-aloud can be regarded as one of thos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hink-aloud activities on the inferential ability of story texts of 1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follows: 1. Does the think-aloud have an effect on 1st graders's inferential ability of story texts? 2. Does the think-aloud have an effect on 1st graders' ability of bridging inference of story text? 2-1. Does the think-aloud have an effect on 1st graders' ability of bridging inference? 2-2. What are the comprehensive aspects of bridging inferences to story texts shown by think-description after think-aloud? 3. Does the think-aloud have an effect on 1st graders' ability of elaborative inference of story text? 3-1. Does the think-aloud have an effect on 1st graders' ability of elaborative inference? 3-2. What are the comprehensive aspects of elaborative inferences to story texts shown by think-description after think-aloud? In order to solve these questions above, two classes of 1st graders were selected from B elementary school, Seodaemun-gu, Seoul. One class is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is comparative group. Pre-tests were done for those two groups. After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think-alou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or 8 weeks, two hours a week from October, 2007. The comparative group was treated with normal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inally, post-tests were done to compare with the results of pre-tests. To investigate research questions, both quantitative approach and qualitative approach were used. For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of the pre-tests and those of post-tests were calculated for two groups first. The t-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actual differences between two means in relation to the variation in the data. The t-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bridging inference and elaborative inference separately. The statistical process was conducted by SPSS/WIN 10.1K. For this, research questions were solved by qualitative approach through analysis of the inference aspects to story tex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s inferential ability was improved more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who had not been treated with think-alou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ridging inference, one of the sub-element of the inference abilit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effects of the think-aloud activities on the inferential ability between two groups. However, 1st graders showed that they were more interested in catching the causes and effects of story texts than in inferencing about words and phrases, plots, topics. In elaborative inferenc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with comparative group. There were more cases in which they inferred people's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of story texts than connecting the informations with their experiences. Their inferences varied even though they read same story texts in both inferences. The findings imply that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language reading class applied with think-aloud make the beginning step of cultivating the inferential ability of 1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o story texts. Today, there are many 1st grade students who can read letters. So, it is necessary to revise view about reading a developmental stages in 1st-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The findings imply that teachers can teach 1st grade students to infer people's personality or characteristics, to comprehend structure and flow of story. Furthermore,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1st grade students need to be systematically taught how to infer meanings and backgrounds of words and phrases from clues in the texts, and to relate those with his/her experiences.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more research samples that put together several regions and grades would be needed. That will make some aspects of the study across by regions and grades. Second, the next research is needed to enlarge research scope to not only comprehensive ability but also expressive ability. The study whose aspects of think-aloud are dependent on reader's comprehensive ability would be needed also. Nowadays,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enhances abilities based on Korean language and focuses on student's learning processes is emphasized. Thus, these various tries would contribute to desirable Korean language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사고 구술 활동이 이야기 텍스트의 추론적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독자가 글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은 필자가 나타내고자 하는 것을 자신이 갖고 있는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재구성하며 받아들이는 과정이다. 하지만 그러한 과정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을 드러낼 수 있는 방법으로 사고 구술을 들 수 있다. 또한 독자는 글을 읽으며 정보를 받아들일 때 단순히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글의 생략된 부분이나 감추어진 부분을 메우며 읽게 된다. 이 때 독자는 자신에게 지금까지 형성되어 온 경험과 지식을 동원하여 글의 빈 곳을 메우며 글을 이해하기도 하고 재구성하기도 하는데 이것이 추론하기이다. 한편 국어는 문장 성분의 생략이 자유롭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데 국어의 이런 특징으로 인하여 국어 교육에 있어서 추론적 이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초등학교 1학년의 경우, 단순히 소리 내어 글자를 읽는 단계에서 벗어나는 시기이며 초보 독서단계이다. 초보의 독자들에게 읽기의 방법을 안내하고 읽는 과정을 교류하도록 하여, 숨겨진 의미를 파악하며 읽을 수 있는 추론적 이해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할 시기인 것이다. 그러한 교수학습 활동의 하나로 사고 구술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사고 구술하기 활동이 추론적 이해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사고 구술하기 활동이 이야기 텍스트 추론적 이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고 구술하기 활동이 이야기 텍스트의 교량적 추론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1. 사고 구술하기 활동이 교량적 추론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사고 구술하기 활동 후, 사고 기술(記述)을 통해 나타난 이야기 텍스트의 교량적 추론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사고 구술하기 활동이 이야기 텍스트의 정교화 추론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1. 사고 구술하기 활동이 정교화 추론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사고 구술하기 활동 후, 사고 기술(記述)을 통해 나타난 이야기 텍스트의 정교화 추론 양상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B 초등학교 1학년에서 1개의 실험 집단 학급과 1개의 비교 집단 학급을 선정하였다. 두 집단에 대하여 먼저 사전 검사가 실시되었다. 그리고 2007년 10월부터 한 주에 2차시씩 8주간 실험 집단에 대해선 사고 구술하기 활동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 집단에는 교사의 질문에 의해 유도되는 일반적인 읽기 수업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다. 연구 과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 사전 ․ 사후 검사 점수를 비교하고, 집단 별 사전 ․ 사후 검사의 증가 점수 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 각 하위 요소인 교량적 추론 이해 능력과 정교화 추론 이해 능력을 구분하여 다시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통계 처리 및 분석은 SPSS 10.1K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1학년 독자의 사고 구술 활동으로 나타난 이야기 텍스트 추론 양상을 분석하는 과제는 질적인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고 구술 활동을 한 실험 집단의 추론적 이해 능력이 그렇지 않은 비교 집단에 비하여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론적 이해 능력을 교량적 추론 능력과 정교화 추론 능력으로 구분하여 검증한 결과 사고 구술 활동은 교량적 추론 이해 능력의 전체적인 향상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정교화 추론 능력에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구술의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교량적 추론 및 정교화 추론 각각의 세부 요인별로 그 효과와 양상을 분석하였다. 교량적 추론 능력은 문체 관련, 구성 관련, 주제 관련 추론적 이해 능력 요인으로 나누어 사고 구술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구성 추론 능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야기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량적 추론 이해 양상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1학년 학습자들은 이야기 텍스트를 읽을 때 문체나 중심생각, 주제와 관련된 추론 보다는 구성과 관련된 사건의 원인과 결과 파악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양상을 보였다. 정교화 추론 능력을 인물 관련, 배경 관련, 관점 관련 추론적 이해 능력 요인으로 나누어 사고 구술 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배경 추론 능력과 인물 추론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론적 이해 양상 분석에서는 글과 정보를 경험과 관련짓는 관점 관련 추론 양상보다 인물의 특성에 대한 추론 양상과 장면을 상상하거나 유추해보는 배경에 관련된 추론 양상이 더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습자들은 같은 문장을 보고 추론을 하여도 다른 내용의 추론을 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학습자들의 선행 경험과 배경 지식, 개인적 성향에 의해 추론 양상이 달라질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우선, 초등학교 1학년의 국어과 읽기 학습에서 사고 구술하기 교수 ․ 학습 활동을 하면 그들의 추론적 이해 능력이 길러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1학년 학습자들이 이미 문자를 해독하고 음독의 시기를 지난 학습자들이 많다는 현상을 반영한 것이라고 판단되며, 초등학교 1학년의 독서 발달 단계에 대한 의견의 수정이 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이 시기에는 인물의 성격이나 특성을 추론하고 이야기의 흐름을 파악하는 글의 구조에 관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하며, 글의 단서로 단어와 구절의 의미를 추론하는 능력과 배경을 추론하는 능력에 대한 학습, 글을 읽고 자신의 경험과 관련지을 수 있는 학습들이 체계적으로 더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본 연구는 사고 구술하기 활동을 실제 다인수 학급의 학습자들에게 적용하여 1개교의 1학년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각 1개의 반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여러 지역에 같은 학년의 연구 대상을 늘리고 두 개 학년 이상을 동시에 연구함으로써 학년별 및 지역별 특성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국어과 이해 능력의 영역뿐만 아니라 표현 능력의 영역에도 구체적인 방법을 구안하여 적용한 후 효과를 검증하여 보는 것도 의의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고 구술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는 연구도 의미 있을 것으로 본다. 학습자의 학습과정을 중시하고, 국어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국어 교육이 중시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다양한 시도가 국어교육의 바람직한 움직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