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6 Download: 0

탐구 중심 유아사회교육 활동의 활성화에 관한 실행연구

Title
탐구 중심 유아사회교육 활동의 활성화에 관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An action research on a activation of the research-oriented child social education activity
Authors
성은지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paper is based on the problem which researcher recognizes during child social education activity in five-year-old Tamgu class, Nari kindergarte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and carry out activation plan of research-oriented child social education activity in Tamgu class. What was achieved during this process has been observed. The research subjects according to the research object are as below. 1. What is the plan for activation of research-oriented child social education activity in Tamgu class? 2. What achieved by activation plan for the research-oriented child social education activity in Tamgu class? The targets of this research are 17 five-year-old children, researcher and one vice-teacher in charge.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from the 10th of March until the 9th of May in 2008 to search for activation plan of research-oriented child social education activity. It consists of several steps, which are an investigation of the teacher’s understanding and actual state of child social education in Nari kindergarten, an execution of child social education activity to search for activation plan of research-oriented child social education activity according to the investigated problem in previous step, valuation and modification of change of children and the teacher by execution of the activity, re-execution of modified and replete research-oriented child social education activity according to the valuation and the valuation of the activity according to re-execution. The activity process had been taken by digital camera as a record during the period of time from the 10th of March until the 9th of May to collect data. Als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ren was recorded by hand or recorder during the execution, and it was re-arranged after the activity finished. Each daily activity finished, photographs and recorded contents were arranged and valuated, and change of children or thought of reflection was recorded as journal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actual states which have been analyzed regarding the social education activities performed in Nari kindergarten, social education activities have leaned to the growth of sociality,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was not certain him/herself regarding what and how to teach. Moreover, because social education activity itself was not proposed certainly, the activity was more or less abstract rather than specific and fragmentary rather than integrative. The researcher organized and performed research-oriented child social education considering the children’s growth level, their interest and topics by the problem recognition and analysis of child social education activities which are performed in Tamgu class in Nari kindergarten to follow. The research-oriented child social education activity is based o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DAP), reflects children’s interests and requirements, and performs integrative activity, so that variable social science concepts can be contained in education curriculum in the area of topics in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n kindergarten. In addition, to make these activities meaningful and successful experiences to children the project approach method was applied and it also makes them to be involved as a active subject of activities. Besides, the former child social education activities were performed depending on only teacher’s plan, new experimental activities are flexible for contents or performing direction due to children’s intention rather than teacher’s. In order to do this, as an activation plan of research-oriented child social education activity, action-oriented activity which highly reflects children’s interests and requirements, and lets children survey, research and solve the problem on their own as an subject themselves was planed and performed. After that, the activity which handles activities along the single subject to variable concepts coordinative was chosen. And then primary plan was performed that was based on it, secondary plan which is able to modify and improve insufficient factors that came up on the evaluation result of primary plan was re-organized and research-oriented child social education activity was performed. After primary activity perform procedure was evaluated, the activation plan of child social education activity was re-organized which is based on an analysis of contents of performed education curriculum regarding came up problems, an analysis of contents of interaction with children, a self-evaluation of teacher him/herself and an advice of experts. The re-organized plan made researcher re-consider the objective of child social education, guided children research and get involved in active, guided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using human resources while the activity is performed and made children’s knowledge connect to firsthand experience through relative study tour. In addition, a coordinative approach was used in order to the concept of social science of child social education can be handled in various by variable research activity, an evaluation of the activity and changes of children and teachers were analyzed and reflected in next plan each activity was finished, and it was modified and improved. In conclusion, the achievements by the activation of the research-oriented child social education activity in Tamgu clas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hildren gradually participated in the activity in active, so that they deserved an opportunity of the motivation of the activity. Second, children built up the relationship in their ages by communication their opinion with another, and they admitted and used their own ability and other’s, so that they experienced value of co-work to solve the problem together. Third, children maximized confidence and feeling of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rough the fact that they have participated in the activity with pride and dignity as an elder brother during research procedure. Fourth, children showed a progress of solving the problem during continuous discussion in activity by communication with their friends, and improved their researching skill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during looking for variable solution. Fifth, children’s sensibility about their environment society through the fact that concerns about them expands the world of surrounding of themselves. Sixth, this action research affected teacher to listen more carefully to children, and consider children’s every single word and action in meaningful by daily evaluation and writing journals, so that get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former teaching method and meditate him/herself. Last of all, this opportunity of meditation provided the motivation of the fact that teacher challenges with open mind always, accepts changes in active, and plans the activity with children about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constant research and consideration.;본 연구는 나리 유치원 만 5세 탐구반에서 실시되는 유아사회교육 활동에서 연구자가 인식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탐구반에서 탐구 중심 유아사회교육 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계획하고 실행해 보고, 그 과정을 통해 성취한 것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토대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탐구반에서 탐구 중심 유아사회교육 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2. 탐구반에서 탐구 중심 유아사회교육 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통해 성취한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나리 유치원의 탐구반에 재학 중인 만 5세 유아 17명과 연구자 및 부담임 교사 1명이다. 연구 기간은 2008년 3월 10일부터 5월 9일까지로, 이 기간 동안 탐구 중심 유아사회교육 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나리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유아사회교육 활동에 대한 실태 점검, 점검된 문제점에 따른 탐구 중심 유아사회교육 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유아사회교육 활동의 실행, 활동의 실행을 통한 유아와 교사의 변화 평가 및 수정, 평가에 따라 수정·보완된 탐구 중심 유아사회교육 활동의 재실행, 재실행에 따른 활동 평가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연구가 시작된 3월 10일부터 연구가 끝나는 5월 9일까지의 활동 진행과정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사진으로 기록을 남겼고,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내용은 활동 진행 중에 교사가 기록하거나 녹음을 하여 활동을 마친 후에 다시 정리하였다. 하루 일과가 끝난 후에는 촬영한 사진과 함께 기록한 내용을 정리하여 평가하였고, 유아의 변화된 모습이나 그 날의 교사의 반성적 사고나 느낌은 저널 쓰기를 통하여 기록으로 남겼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나리 유치원의 탐구반에서 실시되는 사회교육 활동에 대해 연구자가 인식한 문제점과 실태를 분석한 결과, 사회교육 활동이 사회성 발달 측면에 치중하고 있었고,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자 본인의 목표 또한 뚜렷하지 못하였다. 또한, 사회교육 활동 자체가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활동이 구체적이기 보다는 다소 추상적이고, 통합적이기 보다는 단편적인 활동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에 연구자는 현재 나리 유치원의 탐구반에서 실시하고 있는 유아사회교육 활동에 대한 문제점 인식 및 분석을 통해, 탐구반 유아들의 발달 수준과 흥미, 생활주제를 고려하여 탐구 중심 유아사회교육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탐구 중심 유아사회교육 활동은 발달에 적합한 실제(DAP)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에 제시된 생활주제 안에서 유아의 흥미와 요구를 반영하여 다양한 사회과학 개념이 교육과정에 포함될 수 있도록 통합적인 활동을 계획하여 실행하였고, 이러한 활동이 유아들에게 의미 있고 성공적인 체험이 될 수 있도록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하여 유아들이 능동적인 활동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기존의 유아사회교육 활동이 교사의 계획에만 의존하여 진행되었다면, 새롭게 시도하는 활동은 교사의 의도보다는 유아의 의도에 따라 활동의 내용이나 진행 방향이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탐구 중심 유아사회교육 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유아들의 흥미와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유아들이 활동의 주체가 되어 직접 조사하고, 탐구하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실행중심적인 활동을 계획하여 실행하였다. 그리고 하나의 주제에 따른 활동들이 다양한 개념을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활동을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차 방안을 실시하고, 1차 방안에 따른 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부족한 점들을 수정·보완할 수 있는 2차 방안을 재구성하여 탐구 중심 유아사회교육 활동을 실행하였다. 1차 활동 실행 과정을 평가한 후, 문제점이 나타남에 따라 실행된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 및 유아와의 상호작용 내용 분석, 교사 자신의 평가,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하여 유아사회교육 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재구성하였다. 재구성된 방안은 유아사회교육 활동의 목표를 되돌아보고, 목표에 따라 유아들이 능동적으로 탐구하고 참여하는 활동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자원인사를 활용하여 유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관련된 견학을 통해 유아들의 지식이 직접적인 경험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다양한 탐구 활동을 통해 유아사회교육의 사회과학 영역의 개념이 다양하게 다루어질 수 있도록 통합적 접근을 활용하고, 각 활동이 끝날 때마다 활동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활동에 참여한 유아와 교사의 변화된 내용을 분석하여 다음 계획에 반영하고 수정·보완해 나갔다. 둘째, 탐구반에서 탐구 중심 유아사회교육 활동의 활성화를 통해 성취한 것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이 점차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게 되어 활동에 대한 동기부여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둘째, 유아들은 자신의 의견과 다른 사람의 의견을 나누는 과정을 통해 또래 관계에서의 협력 관계를 형성하였고, 자신과 친구들이 잘 할 수 있는 능력을 인정하고 활용하여 협동해서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공동 작업의 가치를 경험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연구의 과정에서 형님으로서의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고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자심감과 만족감, 성취감 등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증대시켰다. 넷째, 유아들은 지속적인 토의와 토론을 통해 활동 중에 생긴 문제점을 친구와 의견을 나누며 해결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고,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 속에서 탐구능력과 문제해결력을 증진시켰다. 다섯째, 유아들로 하여금 자신에 대한 관심이 자신을 둘러싼 세계로 확장되어 주변 사회에 대한 민감성을 증진시켰다. 여섯째, 이번 실행연구를 진행하면서 교사는 유아들의 소리에 더욱 귀 기울이는 교사로서 매일 활동을 평가하고, 교사저널을 기록하여 유아들의 말 한 마디, 행동 하나하나에 의미를 두고 생각해 보며, 연구자가 행한 그 동안의 교수방법을 되돌아보고 반성하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일곱째, 이러한 반성의 기회는 교사로 하여금 항상 열린 마음으로 도전하고, 변화를 적극 수용하며, 유아와 교육과정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와 고민을 통해 활동을 계획해 나가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