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문지-
dc.creator최문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6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9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3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95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on the problem behaviors and task engag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 In this study,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problem behavior participated. Functional assessment were conducted to gather informations of their behaviors and learning styles, as well as various variables in inclusive settings. Class teachers, special educator, paraeducators and their parents are participated in behavior support team. All members collected data and discussed about function of the problem behavior and developed hypotheses regarding the factor influencing the behavior. And according to these hypotheses derived from functional assessment,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multicomponent intervention was conducted. Using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he frequency of students' problem behaviors and task engagement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nts' problem behaviors in inclusive classrooms were reduced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multicomponents intervention which behavior support teams participated in. Second,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nts' task engagement in inclusive classrooms were increased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multicomponents intervention which behavior support teams participated in. Third, reducing the frequency of problem behavior and increasing the frequency of task engagement in inclusive classrooms were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interventi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at positive behavior support based on functional assessmen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f problem behavior and increase of task engagement in inclusive classroom.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positive behavior support is effective when related professionals are discussing about their degree of involvement in assessment,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making common goal about students' behavior.;통합 환경에 속해있는 장애 학생들이 보이는 문제행동은 성공적인 통합의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한다.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의 경우 장애 학생 본인의 학업활동 참여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함께 생활하는 일반 학생들의 학업 성취, 학업활동 참여 그리고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일반교사들이 통합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가장 큰 어려움으로 호소하고 있는 영역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교실에서 벌어지는 문제행동의 감소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장애학생이 문제행동을 보이는 원인을 파악하고 그 원인에 따라 장애학생의 개인의 요구와 장애학생이 속해 있는 일반 학급의 요구에 적합한 포괄적인 지원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긍정적 행동지원은 생활방식 변화에 대한 강조,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적인 분석과 다요소적 중재를 포함하고 있는 지원체계이다. 이와 같은 긍정적 행동지원은 장애학생을 위해 구조화되고 통제된 특수학급이나 치료 환경이 아닌 일반학급 환경에 속해 있는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중재하는데 최대한 자연스럽고 일상생활 맥락에 알맞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학급에서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하여 통합학급에서의 학생의 문제행동 감소 및 학업활동 참여행동의 증가, 그리고 문제행동의 감소와 학업활동 참여행동 증가가 유지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의 A초등학교에 통합되어 있는 3명의 장애 학생을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문제행동의 정의, 기초선 측정, 행동지원팀 교육, 기능평가, 중재, 유지의 단계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행동지원팀 교육으로 인해 기초선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팀 교육 실시에 앞서 문제행동의 정의 및 기초선 측정을 실시하였다. 기초선 단계에서는 특별한 중재를 실시하지 않고 기존에 통합학급에서 주로 사용하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중재 기간에는 행동지원팀을 대상으로 한 면접 및 직접 관찰, 논의를 통해 도출 된 가설을 바탕으로 중재계획을 세우고, 정기적인 행동지원팀 회의, 행동지원서신 제공, 자리 배치 변화, 교수적 수정, 상황이야기, 보상체계 등을 이용하여 중다요소 중재를 실시하였다. 문제행동과 학업활동 참여행동의 측정을 위하여 통합학급에서의 학업 활동 시간 10분 동안 부분간격기록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중재 종료 후에는 중재 효과의 유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 종결 3주 후 연속 4회기 동안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 학생 세 명의 문제행동은 기초선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였으나 긍정적 행동 지원 중재가 시작된 후 통합학급에서의 문제행동이 점차 감소하였다. 둘째, 대상 학생 세 명의 학업활동 참여행동은 기초선에서 낮은 발생률을 보였으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가 시작된 후 통합학급에서의 학업활동 참여행동이 점차 증가하였다. 셋째,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나타난 통합학급에서의 문제행동 감소와 학업활동 참여행동의 증가가 중재가 종료 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의 결과를 살펴볼 때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학생의 통합 환경에서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학업활동 참여행동을 증가시키며, 이와 같은 결과를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임으로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특수교사 단독으로 실행되어 오던 장애 학생의 문제행동 감소 및 학업활동 참여행동 증가에 대한 중재가 아닌 통합 환경에 속해 있는 모든 관련 전문가들이 공유된 책무성을 가지고 동등한 위치에서 협력하여 중재를 실시했다는 점과 일반학급 환경에서 다차원적인 요소를 포함한 중재를 계획함으로써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중재하는데 최대한 자연스럽고 일상생활 맥락에 알맞은 방법으로 연구를 실행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6 C. 용어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9 A.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중재 = 9 1.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중재의 필요성 = 9 2.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중재의 동향 = 10 B. 긍정적 행동지원 = 11 1. 긍정적 행동지원의 정의 = 11 2. 긍정적 행동지원의 요소 = 15 가.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가 간 협력 = 15 나. 기능평가 = 18 다. 중다중재 = 21 C. 긍정적 행동지원의 통합 환경에의 적용 = 24 1. 통합 환경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중요성 = 24 2. 통합 환경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성과 = 27 Ⅲ. 연구 방법 = 30 A. 연구 참여자 = 30 B. 실험기간 = 33 C. 실험 장소 = 33 D. 실험설계 및 절차 = 34 E. 관찰 및 측정 = 59 F. 관찰자간 신뢰도 = 62 G. 처치 충실도 = 63 Ⅳ. 연구 결과 = 64 A.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에서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64 B.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에서의 학업활동 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 67 C. 긍정적 행동지원이 중재된 행동의 유지에 미치는 효과 = 68 V. 논의 및 제언 = 69 A. 논의 = 70 B. 제한점 및 제언 = 75 참고문헌 = 77 부록 = 86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68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학생의 통합 학급에서의 문제행동 및 학업활동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he Problem Behaviors and Task Engag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dc.creator.othernameChoi, Moon Ji-
dc.format.pageviii,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