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대국 1, 2, 3곡의 비교연구

Title
대국 1, 2, 3곡의 비교연구
Authors
김명원
Issue Date
198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編者·年代 未詳의 時用鄕樂譜에는 納氏歌 以下 26曲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曲들 中에서 「大國」만이 특이하게 一·二·三으로 나뉘어져 收錄되어 있는 바, 이들이 각각 독립된 曲으로 나뉘어졌지만 여러 가지 面으로 볼 때 서로 關係를 갖고 있다고 생각되어져, 이들의 關係를 時用鄕樂譜에 관한 硏究와 더불어 省察해 보고자 한다. 時用鄕樂譜의 紙質·墨色·板式·字体·井問譜(六大綱 16井間 一行)·五音略譜의 使用으로 時用鄕樂譜가 李朝 때 편찬된 것이라 推定할 수 있으며, 또 收錄內容上 高麗와 李朝초기의 歌搖로 推定할 수 있다. 時用鄕樂譜의 杖鼓譜는 六字로서 「鼓·搖·鞭·雙」으로 되어 있다. 특히 時用鄕樂譜에 실린 26曲 을 長短別로 分類하면 여덟가지의 型이 있다. 「鼓·搖·鞭·雙」으로 16井間 1行을 單位로 하고 있는 杖鼓型이 여덟가지 杖鼓型 中에서 가장 많은 曲에 두루 使用되어졌으며, 「」·「搖」·「鞭」·「雙」의 杖鼓型(16井間 4行을 1單位)과 「鼓·搖·鞭·雙」의 杖鼓型(16井間 2行을 1單位), 또 「鼓」·「」·「鞭」·「雙」(16井間 4行을 1單位)의 杖鼓型이 「鼓·搖·鞭·雙」의 杖鼓型(16井間 1行을 1單位)에서 파생된 것이라는 이유로 時用鄕樂譜의 편찬 당시의 鄕樂의 杖鼓型은 「鼓·搖·鞭·雙」의 杖鼓型이 기본형임을 推定할 수 있다. 특히 시용향악보에 收錄되어 있는 曲들 중에서 무계음악에 속하는 곡에는 「鼓·搖·鞭·雙」의 장고형과 「鼓·搖·鞭·雙」의 장고형에서 파생된 장고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볼 때 무계음악의 장고장단형의 기본형은 「鼓·搖·鞭·雙」임을 추측할 수 있다. 시용향악보에 실린 26곡을 조별로 분류해 보면, 평조의 곡이 납씨가 이하 21곡이고 계면별로 된 곡이 사모곡등 3곡, 평조·계면조 통용의 곡이 정석가 1곡이 있으며, 조명이 명기되어 있지 않은 곡이 횡살문 1곡 등으로 되어 있다. 시용향악보에 실린 11곡의 무계악보 중에서 평조로 된 곡에는 대왕반·잡처용·삼성대왕·군마대왕·대국일·이·삼·구천·별대왕 등의 곡이 있는데 반해 계면조로 된 곡에는 성황반·내당 2곡 뿐이다. 대국일·이·삼의 가사와 장고형·선율을 비교함으로써, 이 곡들이 어떤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를 고찰해 보면 다음과 같다. 대국일·이·삼의 가사는 그 자수 또는 운율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즉 대국이는 대국일보다 가사가 늘어났을 뿐이며, 대국삼은 대국이와 같이 음악적인 면에서 볼 때 16행으로서 길이가 같으나, 가사는 10행으로 된 대국일보다 오히려 적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국삼은 가사상으로 볼 때는 대국일과 대국이보다는 그 음악의 속도가 더 빨라졌음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가사의 내용에서 대국일과 대국이는 서낭신께 복을 달라고 축원하는 내용으로 그 가사의 내용이 차분하여 그 음악의 속도가 늦을 수 밖에 없다고 추측할 수 있는 반면에, 대국삼은 서로서로 재난이 없는 삶을 영위할 것을 축원하므로써, 흥이 고조된 상태이므로, 그 음악의 속도가 빨라졌음을 추측할 수 있다. 대국일·이·삼의 장단형은 모두 6대강 16정간(3·2·3·3·2·3)으로 된 1행이 한 장단형을 이루고 있으나 장고형은 대국삼이 대국일·이와 동일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즉 대국일과 대국이는 「고·요·편·쌍」으로 1행 16정간을 하나의 장단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대국삼은 대국일과 대국이의 장단형을 2행에 걸쳐서 이루고 있다. 따라서 대국삼은 대국일과 대국이에서의 장단을 두 배로 늘인 것으로 악곡의 속도가 빨라짐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대국삼의 가락이 대국일이나 대국이보다 간단한 것으로 가락이 덜려져 진행되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 대국일·이·삼의 선율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국일과 대국이의 선율을 비교하면 대국일 전10행 전체를 「A」로 본다면, 대국이 전16행을 전반부6행과 후반부10행으로 구분할 수 있다(표Ⅶ 참조) 대국일은 「A」, 대국이의 후반부6행은 대국일 전체를 발췌 변주한 것으로 「B」, 대국이의 후반부10행은 대국일인 「A」를 변주곡임으로 「A‘」로 볼 수 있다. 대국이의 전반부인 「B」부분은 「A」를 변주한 것으로서 환두라고 볼 수 있으며, 이것은 마치 도드리에서 가요가 반복될 때 앞머리 부분을 바꾸는 환두형식과 같으며, 대국일과 대국이를 포괄하여 말한다면 대국이는 한국음악의 특징 중의 하나인 환두형식으로 되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대국일과 대국이를 음악적 형식으로 본다면 환두형식으로 된 A-B-A'형으로 볼 수 있다. 대국이와 대국삼의 선율을 비교해 보면 대국삼은 대국이의 선율을 시가·음의 생략·음의 첨가에 의한 방법을 통하여 변주시켰으며, 변주방법은 대국일과 대국이의 변주방법과 같이 일정하게 변주된 것이 아니고 자유롭게 변주되었다. 결론적으로 시용향악보의 고찰에 의해 고려와 이조초기로 추정할 수 있는 대국일·이·삼은 각각 독립되어 시용향악보에 수록되어 있으나, 가사·장고장단형·선율을 비교 연구한 결과, 대국일을 원형으로 하여, 대국이와 대국삼이 대국일에서 변주된 곡임음 알 수 있으며, 이는 대국일·이·삼이 서로 연관성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In Siyonghyangak-bo 時用鄕樂譜 the author and year of which are unknown, 26 songs in cluding napssiga 納氏歌 are manuscripted. Only daeguk (literally meaning, great nation among them is manuscripted, divided into 3 parts. Although they are divided independently, they are thought to be in the close relationship with one another in various aspects, And so, I will survey the relationship, studying on Siyonghyangak-bo. In reference to the paper material, the color of black ink, the printing style, the literal style, the use of Oumyak-bo 五音樂譜 and changgan-bo 井間譜, siyonghyangak-bo could be considered to have been written in the fifteenth century, while it could be considered as a book of songs of Koryo 高麗, with consideration of its contents Changgo-bo of siyonghyangak-bo was written with the literal notes "Ko 鼓, yo 搖, p'yon 鞭, ssang 雙." Particularly, we can divide 26 songs recorded in siyonghangak-bo into eight forms in terms of changdan (rhythmic patterm) of changgo. The form of Changgo among 8-changgo forms, which is mode of the unite of 16-changdan 4-haeng of 「 」, p'yon, ssang, Ko. changgo form (which is made of the unit of 16-chonggan 2-haeng and changgo form (which is maden with the unit of 16-chonggan 2-haeng of "ko," " ", "p'yon," "ssnag" are imitated from changgo form (which is maden with the unit of 16-chonggan 1-haeng of "ko," "yo," "p'yon," "ssnag," and so changgo-form of the written time of siyonghyangak-bo know us that changgo-form of "ko," "yo," "p'yon," "ssnag," is called as the basic from. Particularly, when we see that songs belong to shamanistic music among songs recorded in siyonghyangak-bo are imitated from changgo-form of "ko, yo, p'yon, ssnag," and changgo-form of "ko, yo, p'yon, ssnag," the basic form of chamggo changdan (rhythmic pattern) form of the shamanistic music is considered as "ko, yo, p'yon, ssnag." When we devide 26-song recorded in siyonghyangak-bo into each tone, song of the general tone are 21-songs including napssiga, songs maden with kyemyon-jo 界面調 are samo-kok 思母曲 and other 3-songs, and maden with the commen use of the p'yon-jo 平調 (sol mode) and kyemon-jo (la mode) is only one, chungsukga 鄭石歌 and song which was not recorded the tone name, is only one hoaengsalman 橫殺門. Song of the general tome 11-song shamanistic music recorded in siyonghyangak-bo are taewangban 大王飯, chapch'oyong 雜處容, samsongdaewang 三成大王, kunmadaewang 軍馬大王, taeguk 大國Ⅰ, Ⅱ, Ⅲ, kuch'on 九王, pyoldaewang 別大王 etc But songs of kyemyon-jo are only two songs songhwangban 城隍飯, and naedang 內堂. In reference with the fact, shamanistic music at that time was written in the plesure of the use of the general tone rather than kyemyon-jo. But the current shamanistic music is written in the plesure of the use of kyemyon-jo rather than the p'yong-jo. In comparison with song words of taeguk Ⅰ, Ⅱ, and Ⅲ are different from number of letters and rhythm. Song words of taeguk Ⅱ is longer than them of taeguk Ⅰ, and though taeguk Ⅲ is same as taeguk Ⅱ as the 16-haeng length in the field of music, its song words are short than taeguk Ⅰ madce of 10-haeng. So taeguk Ⅲ is song words is considered to bo quicked in the tempo rather than taeguk Ⅰ and Ⅱ is to pray for good fortune to god named sonangsin and their tempo is laxy, and taeguk Ⅲ is to pray for lives without and misfortune and its is high, its tempo is quicked. In changdon-form of taeguk Ⅰ, Ⅱ and Ⅲ is composed with 1-haeng made of 6-daegang 大綱 16-chonggan (3.2.3.3.2.3.), but its changgo-form of taeguk Ⅲ is different from taeguk Ⅰ, Ⅱ on the other side. In taeguk Ⅰ and Ⅱ, the changdam-form is composed with 1-haeng 15chonggan of "ko, yo, p'yon, ssang and taeguk Ⅲ is composed with the changdan-form of taeguk Ⅰ and taeguk Ⅱ. Therefore, taeguk Ⅲ is lengtherned twice than changdan of taeguk Ⅰ and taeguk Ⅱ and the temop of it's song it's song tone is to mean to be quicked further more and the fact know us that the rhythm of taeguk Ⅲ is more simple than taeguk Ⅰ and taeguk Ⅱ. In comparison with taeguk Ⅰ, Ⅱ, Ⅲ as follow; first, in compared with the rtythm of taeguk Ⅰ and taeguk Ⅱ, if we supposce as "A" the Whole parts of taeguk Ⅰ lo-haeng, taeguk Ⅱ 16-haeng can be devided into the first half 6 haeng and the last half 10-haeng. Taeguk Ⅰ is "A" and since the first half 6-haeng of faeguk Ⅱ is to imitate the whole parts of taeguk Ⅰ, it is "B" and since the last 10-haeng of taeguk Ⅱ is to imitake "A" of taeguk Ⅰ, it is called "A". Because the first "B" of taeguk Ⅱ in to imitate "A", it may be called repeating form. This is just as that the repeating from to change the head parts when song words will be repeated in toduri 도드리 In plus of taeguk Ⅰ and taeguk Ⅱ is to became repeating form, a particularly of korean music. In the musical form of taeguk Ⅰ and taeguk Ⅱ, they can be called the repeating form A-b-A'. In comparison with the rhythm of taeguk Ⅱ and taeguk Ⅲ, taeguk Ⅲ is to imitate the rhythm of taeguk Ⅱ through time cost, omittance of tone and attach of tone. The method of imitation is not to imitate Ⅰ: as the method of imitation for taeguk Ⅱ and taeguk Ⅲ, freely. On the conclution, though taeguk Ⅰ, Ⅱ and Ⅲ of siyonghyangak-bo which is considered as song Koryo dynasty is recorded independently, in the comparison study of song words, changgo cahngdan form, rhythm, taeguk Ⅰ is original and taeguk Ⅱ, taeguk Ⅲ are to be imitated from taeguk Ⅰ. This is to mean that taeguk Ⅰ, Ⅱ, Ⅲ are in each ra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