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지은-
dc.creator홍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3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3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336-
dc.description.abstract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기적 방안으로 환경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우리나라는 학교 환경교육과 사회 환경교육으로 나누어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성공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환경 관련 내용을 가르치는 교사의 우수성은 절대적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및 사회 환경교육 지도자의 생태, 환경문제에 대한 개념을 조사 분석하여 환경교육 지도자 연수 프로그램 및 교사용 도서 제작에 활용함으로써 학교 및 사회 환경교육 지도자들의 환경개념 형성에 도움을 주어 궁극적으로는 학생들이 올바른 환경 개념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및 사회 환경교육 지도자 159명을 대상으로 검사지를 통해 생태, 환경문제에 대한 개념을 조사하였다. 검사지는 생태 9문항, 환경문제 12문항으로 총 2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 및 사회 환경교육 지도자들의 생태 및 환경문제 검사지의 전체 평균 정답률은 67.29%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가 68.14%, 사회 환경교육 지도자가 65.43%로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 .05). 영역별 정답률은 생태 51.78%, 환경문제 70.78%로 나타나 생태 영역의 개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태 영역의 개념에 있어 에너지 흐름에 관련된 개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은 순환하고 에너지는 흐른다는 개념이 부족하여 에너지도 물질과 같이 순환한다는 잘못된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또, 먹이 단계를 거치면서 에너지가 물질처럼 단순히 소비되거나 축적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 물질과 에너지를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 및 사회 환경교육 지도자들은 환경문제 영역의 개념에 있어서 수질, 대기, 토양 환경에 대한 지식 중 토양 환경에 대한 지식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적인 물질이나 자연적 사건, 물리적 오염원에 대해서는 환경오염원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및 사회 환경교육 지도자들의 환경개념 형성을 위하여 환경교육 지도자 재교육과 교사용 지도서에서 체계적이고 명확한 안내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ormal and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conceptions about Ecology, Environmental problems. For this study, a total 159 teachers in formal and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were sampled. The questionnaire contained 21 questions about the ecology,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soil pollu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verag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67.29%.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rrect answers was 68.14%,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correct answers was 65.43%. And ecological understandings are the most poor. Formal and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confuse the flow of Energy in ecological knowledge. They have incorrect concepts that pollution is caused by chemical substances, but physical substances and anything natural is not pollutant in pollution Knowled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how systematic and clear guidelines in teachers' manual and to enhance the formal and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in order to develop correct concep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환경교육 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 범주 = 4 B.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환경 관련 내용 = 6 C. 선행연구 = 9 1. 생태, 환경문제에 대한 개념 연구 = 9 2. 교사 및 사회 환경교육 지도자의 환경개념 및 인식에 대한 연구 = 11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3 A. 연구대상 = 13 B. 연구절차 = 14 C. 검사도구 = 15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17 A. 초등학교 교사 및 사회 환경교육 지도자의 생태 및 환경문제 개념 조사 = 17 B. 초등학교 교사와 사회 환경교육 지도자 간의 문항별 차이 = 18 1. 생태 영역 = 18 2. 환경문제 영역 = 25 가. 환경지식에 대한 개념 분석 = 25 나. 환경오염원에 대한 개념 분석 = 28 다. 환경오염 현상에 대한 개념 분석 = 33 Ⅴ. 결론 및 제언 = 37 참고문헌 = 39 부록 = 43 부록 - 1 내용타당도 의뢰서 = 43 부록 - 2 검사문항 내용과 타당도 = 45 부록 - 3 개념검사 문항지 = 46 ABSTRACT =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69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교사 및 사회 환경교육 지도자의 생태, 환경문제에 대한 개념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esearch on the Conceptual Understandings of formal and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for Ecology, Environmental Problems-
dc.creator.othernameHong, Ji Eun-
dc.format.pagevi, 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