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나정-
dc.creator강나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2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3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20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아동의 지각된 부부갈등과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관계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부부갈등지각, 사회적지지의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부모와 교사들로 하여금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사회적지지의 중요성과 부부갈등의 영향력을 다시 한 번 인식하고, 아동에 대한 더 깊은 관심을 통해 아동의 보다 높은 자아존중감 형성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시사점을 주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성남시 분당구에 소재한 한 초등학교 5·6학년 아동 406명(남아 193명, 여아 21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도구로는 부부갈등 지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Grych 등(1992)의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척도(CPIC: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수정 본을,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로는 박지원(1985)이 만든 사회적지지척도 수정 본(김승미, 1997)을, 그리고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위하여 Rosenberg(1965)가 제작한 Self - Esteem Scale(SES)의 수정 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초등학생들의 경우, 아동의 지각된 부부갈등, 사회적지지 그리고 아동의 자아존중감 간에 상관이 있었고 남녀 아동 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다. 부부갈등지각이 낮고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높게 나타났고, 회기분석 결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부부갈등 지각과 사회적지지가 영향을 주고 있었다. 사회적 지지는 부부갈등보다 더 영향이 컸고 부부갈등지각과 자아존중감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 작용을 한다는 것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아동 모두 부모의 갈등을 많이 지각할수록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이 낮았고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생각할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다만, 남아는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 간 상관이 여아보다 컸고 여아는 부부갈등지각과 사회적지지 간 상관이 남아보다 컸다. 또한 사회적지지 중 남아는 친구지지보다 교사지지를, 여아는 교사지지보다 친구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생각할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둘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사회적지지가 부부갈등지각보다 영향력이 더 컸고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설명해주는 주요한 하위변인은 부모지지, 부부갈등 빈도, 친구지지, 부부갈등 해결 순으로 밝혀졌다. 셋째, 부부갈등 지각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를 부분적으로 매개 하고 있음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즉 부모의 부부갈등이 직접적으로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침은 물론 간접적으로는 사회적지지를 통해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부부갈등이 부모, 친구 또는 교사로부터 받는 사회적지지에 영향을 주고 이는 다시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낮추게 됨을 의미한다.;This study is designed to know the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ocial support and a child's self-esteem. By clarifying the influence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social support on a child's self-esteem, parents and teachers would be abl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and influence of inter-parental conflict to have more interests on a child , which would then influence on a child's self-esteem positively. The subjets for this study include four hundred and six 5th and 6th graders (193 boys and 213 girls) in one primary schools from Seongnam-si in Seoul. The instruments include : revised virson of the perception scale of children and inter-parental conflict by Grych et al, (1992); and the revised Social-Support Inventory by Park Jee-Won(1985) and Kim Seung Mi(1997); the revised Self-Esteem Scale by Rosenberg(196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ocial support and a child's self-esteem are correlated and the correlation has different degree between boys and girls. With low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high social support, a child's self-esteem is high. Influlence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social support on a child's self-esteem, social support has more effect than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social support show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a child's self-esteem. More concret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er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was related to the lower self-esteem, boys have stronger positive correlation than girls. Especially among sub-scales of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conflict-resolution has the strongest negative correlation to self-esteem. Second, Higher social support was related to higher self-esteem, boys have stronger positive correlation than girls. Especially among sub-scales of social support, parent's support has the strongest positive correlation to self-esteem. But there is some distinction between boys and girls. To boys, teacher has stronger positive correlation to self-esteem than peer, but to girls, peer has stronger positive correlation to self-esteem than teacher . Third, Higher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was related to the lower social support, girls have stronger positive correlation than boys. Especially among sub-scales of social support, parent's support has the strongest negative correlation to inter-parental conflict. But there is some distinction between boys and girls. To boys, teacher has stronger negative correlation to inter-parental conflict than peer, but to girls, peer has stronger negative correlation to inter-parental conflict than teacher . Fourth, The Influence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social support on a child's self-esteem, social support has more effect than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major sub-scales which have infiunce on a child's self-esteem are parent's support, conflict-frequence, peer's support, conflict-resolution. Lastly, social support show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a child's self-esteem, which can be inferred that inter-parental conflict does not only affect a child's self-esteem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through social suppo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부부 갈등 = 5 B. 사회적 지지 = 8 C. 자아존중감 = 12 D. 부부갈등,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의 관계 = 15 Ⅲ. 연구 방법 = 18 A. 연구대상 = 18 B. 측정도구 = 19 1.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 = 19 2. 사회적지지 척도 = 20 3. 자아존중감 척도 = 21 C. 연구절차 = 22 D. 자료분석 = 22 Ⅳ. 연구결과 = 24 A. 주요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및 상관 = 24 1. 주요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 24 2. 부부갈등지각,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간 상관 = 25 3. 남녀아동 상관 비교 = 26 B. 주요변인 간 회귀분석 = 29 1.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부부갈등지각, 사회적지지의 영향 = 29 2.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30 Ⅴ. 결론 = 33 A. 결과요약 및 논의 = 33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 36 참고문헌 = 40 부록 = 47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278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과 사회적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n a child's self-esteem of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social support-
dc.creator.othernameKang, Na- Jeong-
dc.format.pagevi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