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9 Download: 0

중·고등학생들의 성역할 정체감이 과학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고등학생들의 성역할 정체감이 과학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Gender-role Identity in Middle-High School Students on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Authors
주효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과학 분야에 있어서 성차에 관련된 많은 연구들을 보면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과학성취도나 과학태도가 높고, 과학계열에 종사하는 사람의 대부분이 남성이라고 한다. 과학이라는 학문에서 성차가 뚜렷하고 남성적이라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성차에 대해 심리학에서는 두 가지 견해가 있는데, 하나는 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선천적으로 타고난다고 보는 성차(sex difference)와 다른 하나는 개인이 자라난 환경적 요인에 의해 후천적으로 형성된다고 보는 성차(gender difference)이다. 이러한 두 견해에 대해서 최근 심리학 경향은 개인의 성은 타고난 것이지만 성역할은 학습된 것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교육에 있어서 환경적인 요인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gender role identity: 자아 정체감의 한 측면으로서 사회가 그 성에 적절하다고 인정하는 특성이나 태도 혹은 흥미를 동일시하는 과정)이 과학 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관련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청소년의 성역할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라 청소년의 과학 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관련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과학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성역할 검사지(KSRI)와 전국학력모의고사(2008), Fraser(1981)의 TOSRA, 양희진(2004)에 사용된 과학 진로선택에 대한 검사지를 이용하여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는 중학교와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 7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으며 총 562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χ²(Chi-square)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역할 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여러 배경 요인들(성별, 학년, 계열)에 대해 알아본 결과 학년에 따른 차이만 있었는데(p<.05), 중학생의 경우 미분화(42.5%), 양성성(28.5%), 남성성(19.2%), 여성성(10.0%)순으로 많았고 고등학생의 경우 양성성(32.5%), 미분화(27.6%), 남성성(20.9%), 여성성(19.0%)순이었다. 따라서 양성성과 미분화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감소함을 알 수 있고 반대로 남성성과 여성성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성역할 정체감이 연령에 따라 분화되고 발달되어 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과학 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관련 진로 선택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과학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관련 진로 선택인식에 있어서 양성성이나 남성성을 띄는 학생들이 다른 성역할 정체감의 유형을 가진 학생보다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1). 셋째, 성역할 정체감이 과학 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관련 진로선택인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역할 정체감의 유형을 나눌 때 쓴 남성성 점수와 여성성 점수가 과학 성취도와 과학 진로선택이 과학에 대한 태도와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남성성 점수는 과학 진로 선택인식, 과학에 대한 태도순으로 여성성 점수보다 조금 더 큰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렇듯 본 연구 결과 성별의 차이보다는 학생들의 성역할 정체감이 과학 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한관련 진로선택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과학교육에 있어서 학생에게 과학이 남성적인 학문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시키고 각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과학 다양한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또한 과학관련 진로교육에 힘써야 할 것이다.;Given seeing many researches related to gender difference in science field, boy students are higher in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compared to girl students. And, the majority of people, who engage in scientific series, are said to be men. Accordingly, in the learning dubbed science, there is general awareness of being explicit in gender difference, and of being masculine. There are two opinions about gender difference here. One is the sex that is seen to be born innately by a biological factor. And, another is the gender that is seen to be formed natively by an environmental factor, in which an individual grew. However, the recent propensity is dominated by the thought that the individual gender is what is inborn, but the gender role is what is learnt.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effects of gender-role identity(as one aspect of ego-identity, it is the process of identifying characteristics, attitudes or interest, which society recognizes it to be proper for its gender)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 in the science education on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To do this, first of all, it analyzes the factors of influencing gender-role identity in the youth, and the effects on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in the youth according to gender-role identity type. For this, the questionnaire on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was used, which was applied to KSRI(Korea Sex Role Inventory), Nationwide Scholastic Simulation Exam(2008), Fraser(1981)'s TOSRA, and Yang Hui-jin(2004).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700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are attending middle school and humanities high school, where are located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Totally 562 copies were analyzed finally. The collected data was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χ²(Chi-square) depending on research problem, by using SPSS 12.0 for Windows. And, the post-test method was carried out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Given summariz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ose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about several background factors(gender, school year, series) that have influence upon gender-role identity, there was only difference depending on school year(P<.05). The case of middle-school students was larger in order of non-differentiation(42.5%), androgyny(28.5%), masculinity(19.2%), and femininity(10.0%). On the other hand, the case of high-school students was in order of androgyny(32.5%), nondifferentiation(2 7.6%), masculinity(20.9%), and femininity(19.0%). Accordingly, the case of androgyny and non-differentiation can be known to reduce more in the higher school year. Inversely, masculinity and femininity can be known to increase more in the higher school year. And, the gender-role identity can be known to proceed with being differentiat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ag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awareness on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according to gender-role identity, in awareness on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the students of showing androgyny or masculinity can be known to be favorable more than students of having other types in gender-role identity. Third, with the score in masculinity and the score in femininity, which were used when dividing types in gender-role identity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identity and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toward science, &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it examined which correlati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the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have with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s a result, masculinity indicated the bigger positive correlation in order of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and attitude toward science than femininity. Thus the guide line to science related depends rather the true color of students attitude than the differences of sex role based on the survey. For the conclusion, This is the thing that it is necessary to remind people that science study is not only boys subjected pursuit, to develop the various science relate program related and to give a hand to the science related study dire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