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7 Download: 0

음악교육 평가의 변천과정과 제 7차 교육과정 및 평가 방식 개정안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Title
음악교육 평가의 변천과정과 제 7차 교육과정 및 평가 방식 개정안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nges of Assessment in Korean Music Program in the Junior & Senior High School and the Problems of the Evaluation System in the Seven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uthors
권윤경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usic curriculum of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assessment to find out the specific problems and critical backgrounds of the present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the assessment of music program. This study was conducted by examining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assessment in music program and interviewing four junior high school music teachers and four senior high school music teachers in Seoul area. There are four parts of research in this study. Firstly, the changes of assessment in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are analysed. Secondly, the changes of evaluation systems are examined to find out how they have influenced the assessment in music program. Thirdly, the problems of assessment in music class was surveyed by eight music teachers i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Lastly, according to the problems alleged by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teachers, the improvement of assessment in music program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music curriculum i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the assessment method was changed to measure students' variable abilities. The appealing change was 'Performance Assessment' in which teachers need to observe the students' changing behavior. In the year 2007, the ministry of education declared to change the evaluation system i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from five grade levels into three grade levels and also descriptive assessment in arts. But this proposal was inappropriate in a current situation where there is a timely shortage of music class to observe students individually. Many music teachers have faced considerable problems in assessing behavior and performance of students. When the speciality and professionality of music teacher is not admitted, it was very difficult to make the performance assessment objectively. To follow the curriculum which is guiding that the assessment should be valid and reliable, students had no choice but to be evaluated only with the instruments which they have learned at school. For this reason teachers tend to assess students' limited abilities. Most of music teachers request that the music education should take the same evaluation system like other subjects and the proposal of 2007 should be withdrawn. To improve the assessment in music education requires rearranging performance assessment and papered tests equally so that the objectivity of the assessment is appreciated. Moreover, the ideal environment for the assessment in music program means admitting the teachers' professionality and providing sufficient time of music class in order to assess the student reasonably.;본 연구의 목적은 과거 중ㆍ고등학교 음악교육 평가의 변천과정을 돌아봄으로써 현재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평가에 대한 문제점과 '체육ㆍ예술 교과 평가기록방식 전환'에 대한 비판 배경 및 원인을 현직 중ㆍ고등학교 음악교사들의 의견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교육 현장에서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에 대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자료를 토대로 중ㆍ고등학교 음악교육 평가의 변화를 이해하고 학생과 교사가 만족하는 음악교육 평가의 적합한 대안을 제공하여 음악수업의 질이 향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음악교육 평가와 관련된 문헌 자료들로 음악교육 평가의 변천사를 돌아보고 서울시 소재 중ㆍ고등학교 8명의 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하여 교육현장에서 평가의 문제점과 '체육ㆍ예술 교과 평가기록방식 전환'에 대한 의견을 모았다. 본 연구의 내용은 네 가지 부분으로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평가의 변천과정, 「학교생활기록작성 및 관리지침」에 따른 변천과정, 교육현장에서 음악교육 평가의 실태, 그리고 문제점에 따른 개선방안으로 다음 아래와 같이 나뉜다. 제 1차부터 제 7차 교육과정까지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평가는 점차적으로 구체적인 평가 항목들로 제시되었다. 현재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이전 교육과정과 달리 평가부분을 평가의 목표, 계획, 방법, 영역별 평가, 평가 결과 활용 등으로 구분하였다. 하지만, 교육현장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평가 항목을 실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학교생활기록작성 및 관리지침」의 변화에 따라 음악교육 평가 방식에 대해 장점보다는 단점이 더 많았다. 이는 음악교육의 다양한 이해와 활동 영역을 고려하지 못하고 평가 방식을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2007년 '체육ㆍ예술 교과 평가기록방식 개정안'은 음악교육 평가의 객관성과 현장의 실정을 고려하지 않고 3등급제와 서술식으로 평가기록방식을 전환하였다. 음악교사들과 심층 면담을 통하여 학교현장에서 알아낸 음악교육 평가의 실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교육부에서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수행평가를 실행함에 있어 교사의 주관적인 견해가 개입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학교에서 다룬 악기만을 평가하도록 제한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특기와 개별적인 능력에 대해 파악할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음악교사들은 수업시수가 적은 상황에서 지필평가와 수행평가 두 가지를 한 학기 중에 모두 실행해야 하는 부담감을 갖고 있었다. 현재 학교현장에서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따른 개선점은 첫째, 평가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지필평가와 수행평가의 비율을 재검토하고 수행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평가 기준 도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제한된 실기 평가의 영역을 넓혀 학생들이 원하는 악기를 선택하여 다양한 음악적 능력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음악 수업시수를 확대하거나 평가 횟수를 줄여서 양질의 평가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체육ㆍ예술 교과 평가기록방식 개정안'이 시행될 경우, 예체능교과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닌 모든 교과목에 동일한 평가방식이 적용되어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전인교육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이 개정안에서 고시한 3등급제와 서술식 평가 방식이 적용된다면, 음악교과의 수업시수를 늘려서 학생들을 질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관찰시간을 배당해야 한다. 또는 평가자의 수를 충당하여 교사가 감당하는 학생 수를 줄임으로써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