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동숙-
dc.creator이동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9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2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96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가사 없는 음악활동이 유아들의 음감적성과 조성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음악교수법에 관한 지식기반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든(E. E. Gordon)의 음악학습이론을 바탕으로 한 오디(Audie) 음악활동 중 가사 없는 노래를 현장에 적용하였다. 연구문제는 (1) 오디의 가사 없는 음악활동이 유아들의 음감적성에 미치는 영향, (2) 오디의 가사 없는 음악활동이 유아들의 조성에 이해에 미치는 영향, (3) 오디의 가사 없는 음악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의 반응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시에 위치하고 있는 S 유치원의 만 5세 학급이다. 실험집단(N=24)과 통제집단(N=18)으로 구성하였으며, 7주간 10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음감적성검사는 초급음악적성검사 PMMA(The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를 노주희(미간행)가 번안,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음악활동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조성의 이해 검사는 연구자가 제작한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음악활동이 끝난 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T-검정, 이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유아의 반응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음악활동을 촬영하고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체유아의 반응 양상을 분석하고, 사전검사에서 음감적성이 가장 낮았던 유아 1명을 선정하여 사례분석 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오디의 가사 없는 음악활동은 유아의 음감적성을 향상시켰다 (p < .05). 또한 가사 없는 음악활동은 유아의 장조노래와 단조노래 으뜸음 인식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p <.05), 음감적성의 수준에 의거한 장조노래와 단조노래 으뜸음 인식력에는 의미가 없었다 (p > .05). 마지막으로 음악활동 적용에 따른 유아들의 전체 반응은 3가지 변화로 범주화하였으며, 긍정적으로, 적극적으로, 음악을 표현하는 행동으로 변했다. 사례분석 유아는 음악활동 초기에 가사 없는 노래에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나, 음악활동 중기에 유아는 연구자의 노래에 귀를 기울이며 자발적으로 노래하기 시작했다. 유아는 노래의 내용요소를 인식하고 음악적 경험을 신체로 표현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 오디의 가사 없는 음악활동은 만 5세 유아의 음악적성 향상과 조성의 이해에 효과적이며, 음악적&#8901;음악외적 태도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 of an activity involvingsong without words on young children's tonal aptitude and tonalunderstanding, and presenting basic information on music teachingmethods. For this, among music activities based on E. E. Gordon'smusic learning theory, the activity involving song without words wasapplied in the music education fiel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were addressed in the study: (1) the effect of Audie activity involvingsong without words on young children's tonal aptitude; (2) the effectof Audie activity involving song without words on young children'sunderstanding of tonality; (3) the analysis of response patterns youngchildren displayed after experiencing Audie activity involving songwithout wor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42 young children aged five atS kindergarten in Incheon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experimental group of 24 and a control group of 18 young students. The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10session music activity for seven weeks. The young children's tonal aptitude was tested using Rho, Joo-hee'sadapted version (not published) of the Primary Measures of MusicAudiation (PMMA).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music activity wasverified though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ests conductedbefore and after the activity. The test of children's tonalunderstanding, on the other hand, was conducted after the musicactivity using a five-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using SPSS win 12.0. Besides, t-test and two-way ANOVA were also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the young children's responses, the researchervideotaped the musical activity and collected data from interviewswith the teacher. He analyzed all of the young children's responsesand selected one child who had received the lowest score for tonalaptitude in the test conducted before the activity and analyzed his/hercas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study. Audie activityinvolving song without words improved young children's tonal aptitude(p < .05). In addition, young children who experienced the activity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recognition of tonics of songswritten in major tonality and songs in minor tonality (p <.05), but they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recognition of tonics ofsongs written in major tonality and songs in minor tonality based ontheir level of tonal aptitude (p > .05). Lastly, responses the youngchildren displayed after experiencing the music activity werecategorized into three changes. After experiencing the music activity,children began to express music positively and actively. The childwho was selected for the case study did not show any response to asong without words at the early stage of the music activity. Thechild, however, began to sing a song while listening to theresearcher's song in the middle stage of the music activity. Theyoung child was able to recognize the content of the song andexpress his musical experiences in physical move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Audieactivity involving song without words was effective in improvingfive-year-old children's tonal aptitude and tonal understanding, and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their musical and non musicalattitud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8 A. 음악적성 = 8 1. 음악적성의 특징 = 8 2. 발전적 음악적성과 고정적 음악적성 = 10 B. Gordon의 음악학습이론과 오디 음악활동 = 12 1. Gordon의 음악학습이론 = 12 2. 오디 음악활동 = 19 C. 선행 연구 = 28 1. 음악적성 = 28 2. 가사 없는 음악활동 = 31 3. 오디 음악활동 = 35 Ⅲ. 연구방법 = 37 A. 연구대상 = 37 B. 측정도구 = 38 1. 음감적성 검사 = 38 2. 조성의 이해 검사 = 38 C. 연구절차 = 39 1. 실험절차 = 39 2. 실험설계 = 41 3. 자료분석 = 41 D. 음악활동 프로그램 = 42 1. 프로그램 목표 = 42 2. 프로그램 구성 = 42 Ⅳ. 결과 및 해석 = 49 A. 음감적성 = 49 B. 조성의 이해 = 51 C. 유아의 음악적 반응양상 = 54 1. 반응변화 = 55 2. 사례분석 = 56 Ⅴ. 결론 = 59 A. 요약 및 결론 = 59 B. 제언 = 63 참고문헌 = 64 부록 = 71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3089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오디의 가사 없는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감적성 및 조성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an Audie activity involving Song without Words on Young Children's Tonal Aptitude and Tonal Understanding-
dc.creator.othernameLee, Dong Sook-
dc.format.pageix,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