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선미-
dc.creator문선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1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2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152-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에서는 해마다 공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연구되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사교육 의존도는 높아져 가고 사교육을 받는 연령도 점차 낮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 사교육이 음악 및 타 교과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현재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음악 사교육의 효과와 필요성을 재검토 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사교육 현황 및 음악 사교육 경험의 일반적 유형을 살펴보고, 음악 사교육의 유무 및 경험 기간과 성별에 대한 변인에 따라 음악 교과 및 타 교과의 학업성적에서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음악 사교육 경험을 통해 학생이 갖는 만족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 내용을 탐구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방법을 활용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및 ‘2007년 사교육비 실태조사(교육인적자원부&통계청, 2007)’를 참고하여 음악, 사교육 유형, 사교육 만족도의 세 가지 주제어에 대한 상관관계와 관련한 설문지를 구성하여 사전 설문을 통해 예비문항을 재구성 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ㄱ’ 사립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4․5․6학년의 학생 중 설문에 참여한 36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43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학교의 양해와 각 반 담임선생님들의 동의를 얻어 음악 과목의 학업성취결과로써 1학기 성적과 국어․수학․사회․과학의 4과목에 대한 1학기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및 2학기의 학업성취도의 근거인 3회의 성적을 평균하여 설문조사 결과인 음악사교육 경험에 따른 성적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얻은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사교육의 경험은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에게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험 유무에 따라 기악과 창작 영역에서 높은 음악적 성취를 보인다. 또한, 음악 사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은 국어, 수학, 사회, 과학의 학업 성적에서 모두 높게 나타나 전반적인 학업에도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는 적극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음악 사교육 경험은 이른 시기에 시작할수록, 경험 기간이 길수록 가창 및 기악 성적에서 높은 성적을 나타냈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에게 음악적 표현과 의미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음악적으로 성숙한 연주자의 감상을 통한 소극적 음악활동보다는 다소 서툴지만 ‘소리’를 직접 연주하는 능동적 음악활동이 더욱 효과적이다. 셋째, 연구 결과에서 음악 사교육을 경험한 평균 연령인 7세보다 어린 5세 이하의 학생들에게서 실제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며, 음악 사교육 유형 중 학원 및 방과 후 특기적성의 유형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인다. 따라서 초등학생 연령의 어린이에게는 다수의 또래 친구들과 교육적인 분위기를 함께할 수 있으면서도 개인적으로도 음악적인 지도를 받을 수 있는 교육 유형이 적합하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은 다양한 형태의 음악 사교육 경험들을 통해 테크닉적인 능력 계발에만 치우치거나 학업 성적 향상에 목적을 두는 것이 아닌, 진정한 의미에서의 음악적 이해와 성취의 기쁨을 누릴 수 있는 경험들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앞으로도 꾸준히 생성될 음악 사교육 유형들은 ‘교육 시장’에 대한 상품 개념의 성격을 지니기보다는, 학생들의 균형감 있는 음악 성취를 위해 진정한 의미에서의 음악 교육 철학을 실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ypes of private music tutoring experienc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music and other subjec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tutoring experience and academic results. In this study, I first looked into private tutoring services delivered in real life and the general types of music tutoring experience, and then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tutoring experience and academic results in music and other subjects by whether or not students had received private tutoring, the duration of tutoring, or their gender. I also examined student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private music tutoring. The questionnaire regarding the relations involving the three topics, music, private tutoring types,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private tutoring, was produced on the basis of 'the 2007 survey on private education spending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fter that, a survey involving 360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at 'ㄱ'private elementary school in Seoul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ponses of a total of 343 questionnaires collected, the relations between results in music subject and results in Korean language,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were examin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2.0 program.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χ²(Chi-square) were performed on the data. In addition, Scheffe's multiple range tests were also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whether or not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significan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private music tutoring was found to have more positive effects o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Those who had the experience of the tutoring showed high achievements in playing instruments and composing. In addition, they received relatively high academic results in the subjects of Korean language,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indicating they paid more attention and efforts on overall academic curriculum than those who had little experience with private music tutoring. Second, students displayed higher achievements in singing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s they started the private tutoring earlier and received it longer. This indicates that active musical activities such as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are more effective at teaching musical expressions and meaning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n passive musical activities such as appreciating a musically matured musician's playing. Third, those who had started private music tutoring at age 5 displaye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than those who first experienced music tutoring at a mean age of 7. As for the types of private music tutoring, students showe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utoring delivered at private institutes or schools than other private tutoring types. This indicates that the music tutoring delivered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lots of other students are also involved is more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presents the necessities of various types of private music tutoring and shows the right direction of private music tutoring for students' balanced improvement in music. Students need to experience the true understanding and enjoyment of music through various types of private music tutoring rather than focusing on developing simple technical ability or improving academic results rapidly. Therefore, it is hoped that private music tutoring services to be released in the future will have the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necessary for students' balanced achievement in music rather than end up being a commercial product in the education marke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대상 및 연구 문제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사교육의 개념 = 4 B. 사교육의 현황 = 4 C. 음악 사교육 = 7 Ⅲ. 연구 방법 = 18 A.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 18 B. 연구방법 = 19 C. 자료분석 = 19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21 A. 연구 대상의 일반적 경향 = 21 B. 연구 결과 및 해석 = 23 Ⅴ. 결론 및 제언 = 40 A. 결론 = 40 B. 제언 = 42 참고문헌 = 43 부록 1 = 49 부록 2 = 50 ABSTRACT =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61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음악 사교육이 음악교과 및 타 교과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3·4·5·6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Types of Private Music Tutoring Experience on Achievements in Music and Other Subjects : Focusing on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dc.creator.othernameMoon, Seon-Mi-
dc.format.pagevii, 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