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9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전사용이 쓰기에 미치는 효과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전사용이 쓰기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dictionary use on Chinese Korean learners' writing : A comparative study of bilingual dictionary and monolingual dictionary
Authors
박꽃새미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권 중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사전 사용 현황 및 선호도를 알아보고, 사전에 따른 어휘 사용 양상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 한국어 교육에서도 학습 사전에 대한 요구에 따라 사전 편찬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 실제적 사전편찬학에 치중되어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학습자 중심의 사전을 편찬하기 위해 사전 사용자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이중어사전과 단일어사전에 대한 선호도와 두 사전이 쓰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 연구해 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이중어사전과 단일어사전 중 어떤 사전을 선호하는가? 둘째, 이중어사전과 단일어사전 중 어떤 종류의 사전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 더 유용한가? 본 연구에는 20명의 중국인 중급 학습자가 참여하였고, 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먼저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두 집단으로 무선할당하여 한 집단은 이중어사전을, 다른 집단은 단일어사전을 사용하여 작문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작문을 수행하는 동안 Harvey와 Yuill(1997)의 자율 점검표를 활용한 중국어 자율 점검표에 자신의 사전 사용에 대한 응답을 기입하도록 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은 단일어사전보다 이중어사전 사용을 더 선호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에게 작문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사전을 검색하면서 자신의 사전 사용에 대한 자율 점검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두 사전을 사용한 집단의 작문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습자들이 작성한 자율점검표를 토대로 작문 텍스트의 어휘 사용을 분석해 본 결과 두 사전을 사용한 각 집단은 각각 다른 양상을 보였다. 첫째, 이중어사전과 단일어사전 사용 집단의 사전 검색 목적의 빈도는 각각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중어사전을 사용한 집단에서는 맞춤법, 존재, 의미 정보가, 단일어사전 사용 집단에서 보다 빈번하게 검색되었다. 반면, 단일어사전을 사용할 때는 그 외의 활용형, 문법, 연어, 사용역 검색에 대한 요구가 이중어사전 사용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중어사전과 단일어사전 사용 집단의 사전 검색 성공률은 검색 목적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을 보였다. 자율 점검에 의한 전반적인 검색성공률은 이중어사전 사용 집단이 단일어사전 사용 집단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검색 목적 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이중어사전의 성공률이 더 높게 나타난 영역은 맞춤법과 존재, 의미 부분이었고, 나머지 활용형, 문법, 연어, 사용역, 유의어 검색의 성공률에 있어서는 단일어사전이 우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검색이 어려웠던 이유로는 상호참조의 불편함이 가장 큰 이유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상호참조의 불편함이 단일어사전의 단점이라고 지적되었던 선행 연구들의 비판과는 상반되게 실제 쓰기 상황에서는 이중어사전을 사용할 때의 상호참조가 검색을 어렵게 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검색 실패의 가장 큰 원인은 검색 정보의 부재로 나타났다. 반면, 설명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검색이 어려웠거나 검색에 실패한 경우는 매우 미미한 정도여서 학습자들이 단일어사전은 자신의 언어 능력으로 사용하기 힘들 것이라는 인식이 선입견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이중어사전과 단일어사전 사용 집단의 어휘 사용 성공률은 단일어사전 사용 집단이 더 높은 경향이 있었다. 어휘 사용 성공률 또한 검색 목적에 따라 분석해 보았는데, 그 결과 모든 목적에 대해 단일어사전 집단의 어휘 사용 성공률이 이중어사전 집단보다 높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 어휘 사용 성공률에 있어서는 단일어사전을 사용했을 때 이중어사전을 사용하는 것보다 높게 나타나, 원어민이 판단했을 때 목표어에 더 가까운 어휘를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사전은 어휘를 성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학습 도구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사전이 쓰기 학습의 모든 해결책이 될 수 없고, 심지어 학습자의 오류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무조건 사전 검색을 강조하기보다는 잘못된 사전 검색으로 인한 오류를 줄이고, 학습자들이 주어진 사전의 정보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사전 사용에 대해 학습자들에게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시도되지 않은 한국어 학습자의 사전 사용과 어휘사용의 관계를 밝혀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사전 편찬학과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사전 사용자 연구가 활성화되고 더욱 다양화되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aims to obtain the dictionary user profiles with regards to dictionary use and preference and to gain the knowledge on vocabulary use according to dictionary types. This paper compares the effects of the bilingual dictionary(BD) and the monolingual dictionary(MD) on Chinese Korean learners with respect to success rate of dictionary consultation and vocabulary use. Two main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as follows: 1. What kind of dictionary do the Chinese Korean learners prefer, the BD or the MD? 2. What kind of dictionary is more useful for Korean learners' writing between the BD and the MD? In order to obtain the answers, 20 Chinese students learning intermediate Kore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answered 18 survey questions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y performed self-observation making a compos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survey verified that the majority of the Chinese students prefer Chinese-Korean/Korean-Chinese BD to MD. They have not used MD nor even tried to consult MD, because they consider that it is too difficult to use. Secondly, it was shown that the frequencies of dictionary consultation purposes have different phases depending on the group BD and MD. The group BD consulted more frequently about spelling, existence, and meaning than MD. On the other hand, inflection, grammar, collocation, and register were consulted more frequently when the students used MD. The success rate of dictionary consultation in different aspects different seemed depending on their consultation purposes. According to the self-observation, the general consultation success rate of BD was higher than MD. With regards to each consultation purpose, spelling, existence, and meaning, consultant rates were higher when the students used BD. MD was superior in the success rate in inflection, grammar, collocation, and synonym consultation. The success rate of vocabulary use tends to be higher in the group using M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when the students used MD, they could use the vocabulary which is closer to native Korea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