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효은-
dc.creator박효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3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2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318-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문법 학습 전략, 그 중에서도 차이 주목하기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특수목적 한국어 학습자로, 자기수정을 통한 차이 주목하기를 유도하였다. 학습자가 자신이 이해한 목표언어와 중간언어의 차이에 주목했다는 것은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산출과정에 주목하여 언어학적 문제점을 알아차리고 출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말하기 과제를 통한 자기수정을 실시하고 이러한 자기수정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가 차이 주목을 하여 말하기 정확성을 향상시키는지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기존의 실험 연구 중 제2언어 습득 분야에서의 차이 주목하기와 자기수정에 관한 연구, 연결어미 교육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를 살펴본 결과,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는 문법 교육이 학습자의 오류 분석을 통한 교수 방안 제시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 주도의 문법 학습 전략 제시나 산출 활동에서의 주목하기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검토되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학습자 주도의 학습 전략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그 동안 폭넓게 연구되지 못하였던 차이 주목하기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Ⅱ장에서는 제2언어 습득 분야에서의 Swain(1995)의 논의를 받아들여 차이주목하기의 개념을 정의했으며, 한국어 원인 연결어미의 제약적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자기수정을 통한 차이 주목하기가 말하기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 방법을 서술하였으며, Ⅳ장에서는 실험도구였던 사전·사후 문법성 판단 시험과 인터뷰 분석, 말하기 과제 및 자기수정 수행 분석, 사후 설문과 면담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기수정을 통한 차이 주목하기가 한국어 말하기 정확성 향상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 상대적으로 연구 결과물이 없었던 차이 주목하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문법교육에 학습자 중심의 전략 학습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둘째, 차이 주목하기를 유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실시한 자기수정 역시 한국어 교육에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분야였다. 학습자의 오류에 대한 교사나 동료의 오류수정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면, 자기수정은 학습자 주도적 학습에 대한 필요성을 환기시켜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목표항목인 원인 연결어미 및 연결표현의 교수에 있어서 학습자들에게 의미적 제약뿐 아니라 발화 및 통사적 제약의 차이점을 교수해야 할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어 문법 학습에서 학습자 중심의 학습 전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학습자의 출력 활동 측면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In this treatise this author studied strategy for studying grammar with focus of students and amongst them in particular carried out research on noticing the gap. Subjects of this study are students who are studying Korean language for special purpose and by means of self correction noticing the gap has been induced. Students' noticing the gap between target language and intermediate language which he or she understood means students themselves are made to identify linguistic problems for themselves and to pay attention to producing process for themselves and thus being able to adjust output. Accordingly in this study this author examined whether or not accuracy of speaking was improved through students' noticing the gap through such self -correction under assignment for speaking. The structure of this treatise is as follows: In Chapter 1 need and purpose of study were addressed. In this connection this author examined noticing the gap and study on education for connective endings in the field of learning second foreign language. When preceding studies were examined it could be identified that i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its grammar focus was on establishing teaching plan through analyzing mistakes of students. Also it could be seen that there was no broad spectrum studies for noticing gaps in terms of productive activity or proposing strategy for studying grammar under the initiative of student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is author mentioned about the need of study strategy under the initiative of students in education of grammar in Korean language study. This author raised the points for the need of noticing gap which was not researched extensively in the meantime. In Chapter II this author defined noticing gap by accepting Swain's (1995) logic in the field of mastering the second language and addressed on the issue of restrictive characteristics of connective endings in Korea language. In Chapter III this author described the method of testing for finding out influence of noticing gap on accuracy in speaking. In Chapter IV this author examined the result of analysis of test taken before and after for finding out the knowledge of grammar, analysis of interview, analysis of assignment for speaking and performance of self correction and analysis of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being conducted later on. In consequence this author confirmed that noticing gap through self correction can contribute to improving accuracy in speaking Korean. In connection with what is stated above the significance of this treatise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ce of this treatise can be found in its providing information on noticing gap about which no significant outcome of researches was available in the field of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until now and also in this treatise need for student-focused strategy in education of grammar was mentioned which is also meaningful. Secondly self correction which was carried out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inducing noticing gap was an untapped field of research so far. While main stream of researches was focused on teachers or fellow students' correction of mistakes made by some students whereas self correction reminded the need for study under the initiative of students. Thirdly in this treatise not only restriction in terms of meaning to the students but also need for education on difference between speaking and restriction of verbs were mentioned in connection with education of causative connection ending and connective expression. Accordingly in this treatise this author proposed for the need of understanding students focused study strategy in the education of grammar of Korean language and need for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output activity of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 B. 선행 연구 = 4 1. 자기수정 연구 = 4 2. 차이 주목하기 연구 = 7 3. 연결어미의 문법 교육 연구 = 9 C. 연구 문제 = 12 Ⅱ. 이론적 배경 = 13 A. 제2언어 습득에서 주목하기 = 13 1. 이해가능한 출력 가설 = 15 2. 주목하기와 차이 주목하기 = 17 B. 원인 연결어미와 연결표현 = 19 Ⅲ. 연구 방법 = 24 A. 연구 설계 및 절차 = 24 B. 연구대상 = 27 1. 연구 참여자 선정 = 27 2. 연구 대상 항목 = 29 C. 연구 도구 개발 = 31 1. 사전·사후 문법성 판단 시험 = 31 2. 사전·사후 인터뷰 = 33 3. 말하기 과제 = 34 4. 자기수정지 = 36 5. 사후 설문과 면담 = 37 D. 자료 분석 방법 = 39 1. 유효 자료 처리 기준 = 39 2. 분석 방법 = 4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3 A. 사전·사후 문법성 판단 시험 및 인터뷰 분석 = 43 B. 말하기 과제와 자기수정 분석 = 49 1. 말하기 과제 수행 결과 = 49 2. 차시별 자기수정 = 53 3. 목표문법 발화 양상 = 61 C. 사후 설문과 면담 분석 = 65 Ⅴ. 결론 및 제언 = 73 참고 문헌 = 77 부록 = 83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83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title자기수정을 통한 차이 주목하기가 한국어 말하기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원인 연결어미와 연결표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noticing the gap by self-correction in korean as second Language-
dc.creator.othernamePark, Hyo Eun-
dc.format.pageviii,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