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현주-
dc.creator송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6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3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2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352-
dc.description.abstractContemporaries get new information every day in cultural environment that continuously produces visual images. The distribution of images has been the cultural center, and various types of visual images have been produced, expressed and consumed in various visual media such as advertisements, movies, internet, TV, magazines, cartoons and otherwise. In this context, the validity of visual culture studies is to help students not to thoughtlessly accept visual messages including advertisements when they are faced with such things, but is to help them to orient themselves. Like so, it is urgent for students to be educated so that they can adapt themselves to visual culture. Also, art education needs to present the systematic standard for producing and analyzing visual images in visual culture stud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edagogy that enables students to interpret the texts of advertising pictures in order that they may cope with visual effect-centered culture critically, introspectively and actively. In order to do so, a critico-pedagogy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framework for pictorial texts and it was applied to the actual spot. The following is an expectable effect in this study. The test group, to which the pictorial text analysis-based critico-pedagogy against commercial advertisements was applied, will enhance their artistic knowledge, the uptake of art, appreciative power and expressive abilit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o which normal pedagogy was applied. In result, such results will have an effect on the scholastic performance measured by the practical test and the formative test.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in the following: First, 60 students including girl students in the two classes of the middle school ‘N’ located in Dongjak district at Seoul Korea were subject to this study.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April 1, 2008 until May 7, 2008.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test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each group was composed of 30 subjects. After class, their scholastic performances were evaluated and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Second, the model of pictorial text analysis-based critico-pedagogy against commercial advertisements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framework for pictorial texts presented by Noh Yong (2007).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performed by analyzing learners and performing questionnaires i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rd, the formative test that evaluates artistic knowledge, the uptake of art and appreciative power, and the practical test that evaluates expressive ability were used as evaluation tools to evaluate scholastic performance. Statistical data, related to the pretest of the homogeneity between two groups, the pretest and posttes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pretest and posttest of the test group, were processed by using SPSS (ver. 12.0) an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me out as in the following: First, pictorial text analysis-based critico-pedagogy against commercial advertisements was more effective to enhance the scholastic performance of learners, as compared to traditional pedagogy. Second, the new pedagogy was more effective to enhance the artistic expression of learners, as compared to traditional pedagogy. Third, the new pedagogy was more effective to enhance the artistic comprehension of learners, compared to traditional pedagogy. Lastly, the new pedagogy was more effective toenhance the artistic expression of learners, compared to traditional pedagogy. As shown above, pictorial text analysis-based critico-pedagogy against commercial advertisements exertedpositive influence on the scholastic performance of students. Accordingly, the pedagogy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ositively enable students to interpret pictorial texts dispassionately on the premise that the goal of education in visual art is to enhance cognition and criticism on various visual images. However, it is unreasonable to apply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all middle school students as this study was limited to a coeducational school and a small number of students. From now on, the pedagogy to which pictorial texts were applied should be developed more actively in order that the validity of visual culture studies may be applied to the actual spot. Additionally, the pedagogy should be systemically studied in order that students may uprightly judge visual culture.;오늘날 우리는 시각적 이미지들이 끊임없이 생산되는 문화 환경에서 매일 새로운 정보를 얻으며 살아간다. 이미지의 분배는 문화의 중심이 되었고 광고, 영화, 인터넷, TV, 잡지표지, 만화 등 다양한 시각매체 속에서 다양한 형태의 시각이미지가 생산되고 표현되며 또 그것을 소비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학생들이 광고를 비롯한 많은 시각적 메시지들을 접할 때, 그것들을 무분별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정확한 가치판단에 의해 올바른 선택을 하도록 돕는 것은 우리에게 시각문화연구(Visual Culture Syudies)라는 새로운 분야의 당위성으로 제시되었다. 이렇듯 학생들의 시각문화교육이 시급한 가운데, 미술교육은 시각문화연구에 시각적 이미지의 제작 과 해석을 위한 체계화된 기준을 제시해 줄 필요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진텍스트 분석틀을 토대로 하여 광고사진을 활용한 비평수업을 개발․적용하여 학생들이 시각문화 환경에 대해 비판적이고 반성적으로 사고하며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광고사진 텍스트의 의미를 해석하는 수업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르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일정기간 실시한 사진텍스트분석을 활용한 상업광고 비평수업을 한 실험집단은 일반적인 감상수업을 한 통제집단에 비해 미술 지식․이해, 감상력, 표현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며, 이것은 실기평가와 형성평가를 통해서 측정된 학업성취도향상에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동작구의 N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혼반 2개 학급 총 60명을 대상으로 2008년 4월 1일부터 5월7일까지 실험집단30명, 통제집단30명으로 나누어 수업 후 학업성취도 결과물과 설문지를 평가하여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사진텍스트분석을 활용한 상업광고 비평수업모형개발은 노용(2007)의 연구에서 활용한 사진텍스트분석틀에 기초하였다. 총5차시 수업으로 진행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설문지와 학습자분석을 통해 사전-사후를 검사하였다. 셋째, 평가도구는 미술의 지식․이해와 감상력을 측정하는 평성평가와 표현능력을 볼 수 있는 실기평가 두 가지를 사용하여 학업성취도를 측정한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사,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통계처리는 SPSS ver 12.0 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진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상업광고비평 수업모형은 전통적 미술감상수업보다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이었다. 둘째, 사진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상업광고비평 수업모형은 전통적 미술감상수업보다 학습자의 미술 표현력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이었다. 셋째, 사진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상업광고비평 수업모형은 전통적 미술감상수업보다 학습자의 미술 감상력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이었다. 넷째, 사진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상업광고비평 수업모형은 전통적 미술감상수업보다 학습자의 미술의 지식․이해를 향상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이었다. 위의 결과와 같이 사진텍스트분석을 활용한 상업광고 비평수업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본 연구가 시사하는 점은 시각문화미술교육의 목표가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시각적 인지력과 비평능력을 키우는 교육이라고 할 때, 체계적인 사진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비평수업모형이 학생들의 시각 문해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은 남․녀 공학이며 모집단의 숫자가 많지 않으므로 중학교에 다니는 모든 청소년에게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앞으로 미술교육현장에서 사진텍스트를 활용한 미술수업을 더욱 많이 개발하여 시각문화미술교육의 당위성을 실천함으로서 학생들이 일상에서의 시각문화를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일어나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시각문화미술교육 = 4 1.시각문화의 개념 = 4 2. 시각문화와 미술교육 = 5 3. 시각문화와 미술비평교육 = 7 가. 미술비평교육 = 7 나. 게히건의 비평적탐구법 = 8 B. 광고와 사진텍스트 = 9 1. 광고와 미술교육 = 9 가. 광고의 이해 = 10 나. 광고이미지와 기호학 = 11 다. 광고이미지의 구성요소 = 13 2. 사진텍스트 = 16 3. 사진텍스트 교육의 필요성 = 17 C. 사진텍스트를 활용한 광고비평수업의 학습자 분석 = 19 1.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광고사진텍스트교육의 필요성 = 19 2. 중학교 2학년 미술과 교육과정 = 20 가. 학습자분석 = 20 나. 교과서 분석 = 23 Ⅲ. 연구방법 = 28 A. 연구의 대상 및 절차 = 28 1. 연구대상 = 28 2. 연구절차 = 28 B. 연구도구 = 35 1. 수업도구 = 35 2. 측정도구 = 50 C. 자료처리 = 56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57 A. 연구결과 = 57 1. 학업성취도에 대한 동질성 검사 = 57 2. 미술학업성취도에 대한 두 집단 전/후 차이검증 = 58 3. 미술학업성취도에 대한 미술비평수업모형의 효과 = 59 가. 실기평가 영역에서 집단 간의 효과 검증 = 59 나. 형성평가 영역에서 집단 간의 효과 검증 = 61 4. 수업만족도 설문조사분석 = 63 B. 논의 = 66 Ⅴ. 결론 및 제언 = 69 참고문헌 = 71 부록 = 74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350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사진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미술비평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2학년 상업광고 디자인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Photos and text analysis using the classroom critiquing the impact of academic achievement : Focused on the comercial advertisement classof Middle School second-grade classroom-
dc.creator.othernameSong, Hyun - Ju-
dc.format.pagex,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