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인경-
dc.creator강인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2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2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22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substantial basis to stud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igital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s, also intimacy. It is designed to predict that digital communication which is made in cyber space can possibly reinforce the intimacy in intrapersonal interactions. In order to do so, we selected 600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in Inchon as subjects. Interpersonal Relations Scale, which is developed by Reis and Wheeler(1991) and modified by Kang(1999) and Intimacy Scale, which is developed by Jane, Carolyn, Linda(1993) and modified by Lee and Hong(2002), are used as measurement sca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bout these two topics which are set up in this research are like these. First, we found that the digital communication does not affect the interpersonal interactions. We can conclude that the digital communication in cyber space has not been able to link the off-line enough to affect the interpersonal interactions or make social interactions stronger so far. Second, we found that the digital communication does not affect the intimacy between individuals in off-line as well. Having each interrelationship among digital communication and six sub-factors of intimacy analyzed, we observed that there are little connections among the digital communication and the self-disclosure factor, trust factor, sincerity factor, and communication factor. We found, however, meaningful correlations among the digital communication and the consolation and empathy factor. The group using more digital communications has a higher correlation with consolation factor in intimacy, while the group using less digital communications has a higher correlation with empathy factor in intimacy. This is because of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consolation and empath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necessary to let students know the digital communication cannot be helpful to improve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intimacy. It is also required to educate the students who are addicted to th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s how to use digital devices wisely and how to educationally communicate with others in person.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seeking the objective usefulness of the digital communication to understand it properly.;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의사소통과 현실공간에서의 대인관계 상호작용성 및 친밀감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의사소통이 현실공간으로까지 연계되어 대인 상호작용과 친밀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지 예측해 보기 위한 실증적 토대를 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천 소재 고등학교 1학년 남·여 학생 6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측정도구는 Reis와 Wheeler(1991)가 개발한 “Rochester 상호작용 기록지(RIR: Rochester Interaction Record)”를 청소년들에게 맞게끔 강미경(1999)이 수정·번역한 「대인관계 상호작용 척도」와 Jane, Carolyn, Linda(1993)의 “수정된 대인관계 척도(The Modifi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를 이은실과 홍성화(2002)가 번역하여 청소년들에게 맞게끔 수정한 「친밀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두 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의사소통과 현실공간에서 대인관계 상호작용성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디지털 의사소통이 대인관계 상호작용성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는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의사소통이 연장선상으로 실제 현실공간으로까지 연계되어 대인관계 상호작용성에 영향을 주거나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화시키지는 못한다는 것을 나타내 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디지털 의사소통과 현실공간에서 친밀감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디지털 의사소통이 전반적인 친밀감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러나 친밀감의 6개 하위 요인과 디지털 의사소통과의 관계를 각각 분석한 결과 자기노출 요인, 신뢰감 요인, 진심 요인, 의사소통 요인에 대해서는 유의한 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지만, 위안 요인과 공감 요인에 있어서는 디지털 의사소통이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즉 디지털 의사소통을 많이 사용하는 집단이 위안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공감 요인에 있어서는 그 반대로 디지털 의사소통을 많이 활용하지 않는 집단이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이는 위안과 공감이라는 정서적 교류의 과정이 서로 다르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디지털 의사소통 방식이 청소년들로 하여금 현실공간에서 대인관계 상호작용성이나 친밀감 강화에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주지시키면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매체에 지나치게 몰입해 있는 청소년들에게 그의 건전한 활용과 더불어 교육적인 대인관계 의사소통 방안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아울러 디지털 의사소통 방식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갖도록 이에 대한 객관적 효용성을 모색하는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의사소통 = 4 B. 대인관계 상호작용성 = 17 C. 친밀감 = 19 D. 연구 가설 = 20 Ⅲ. 연구 방법 = 21 A. 연구 대상 = 21 B. 측정 도구 = 21 C. 연구절차 = 23 D. 분석방법 = 24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25 A.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결과 = 25 B. 신뢰성 분석 결과 = 28 C. 기술통계 분석 결과 = 30 D. 가설검증 결과 = 31 Ⅴ. 결론 및 논의 = 44 A. 요약 및 결론 = 44 B.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48 참고 문헌 = 50 부록 = 53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26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디지털 의사소통 수준에 따른 현실공간의 대인관계 상호작용성 및 친밀감에서의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ifference Of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Intimacy In Off-line According To The Digital Communication Level-
dc.creator.othernameKang, In kyung-
dc.format.pageix,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