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읽기 텍스트 상의 한자 병기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우연적 한자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읽기 텍스트 상의 한자 병기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우연적 한자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djacently written Chinese characters on incidental learning of Chinese-oriented Korean vocabulary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Authors
이미경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djacently written Chinese characters on incidental learning of Chinese-oriented Korean vocabulary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Specifically,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overall effects of Chinese characters on incidental learning of Chinese-oriented Korean words and to find out the most effective type of vocabulary on incidental learning of three vocabulary types. For the latter purpose, Chinese-oriented Korean word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which were synonyms with same character (type 1), synonyms with partially different character (type 2) and synonyms with entirely different character (type 3), based on the comparison of Chinese characters between the Chinese-oriented Korean words and the equivalent Chinese word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ould the Chinese learners learn the Chinese-oriented Korean vocabulary incidentally by reading Korean text having Chinese-oriented Korean words followed by Chinese characters in parentheses? 2. Would the Chinese learners learn type 1 Chinese-oriented Korean vocabulary incidentally by reading Korean text having Chinese-oriented Korean words followed by Chinese characters in parentheses? 3. Would the Chinese learners learn type 2 Chinese-oriented Korean vocabulary incidentally by reading Korean text having Chinese-oriented Korean words followed by Chinese characters in parentheses? 4. Would the Chinese learners learn type 3 Chinese-oriented Korean vocabulary incidentally by reading Korean text having Chinese-oriented Korean words followed by Chinese characters in parentheses? In order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this study carried out an experiment with 24 Chines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tudies of the Korean language. The experiment took place on March 10, 2008 in Y University in Beijing, China and the participants were in the second semester of 1st grade by then. The experiment adopted a posttest-only control group design. An independent variable was presenting Chinese characters adjacently to the Chinese-oriented Korean words and a dependent variable was a mean score of vocabulary posttest.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and group B) and each group read two reading texts (text 1 and text 2). The group A read the text 1 with Chinese character and the text 2 without the same, while the group B read the text 2 with Chinese character and the text 1 without the same. After the reading, a reading comprehension test and a surprise immediate vocabulary test containing retrospective vocabulary assessment were followed. Finally, a simple survey on the participants’ impression to the adjacently written Chinese character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for comparisons between and within group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effect sizes were also reported to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 of th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riting Chinese characters adjacently to the Chinese-oriented Korean words was generally effective for incidental learning of Chinese-oriented Korean vocabulary. In every comparison between and within groups, the mean scores of the text with Chinese characters groups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text without Chinese characters groups. The only exception was found at the comparison of the mean score between groups relating to the text 1, which had been turned out to have certain problems in selected target words. However, the mean score of the text with Chinese characters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the text without Chinese characters group in well-designed text 2. Writing Chinese characters adjacently to the Chinese-oriented Korean words was especially effective for incidental learning of type 1 and type 2 Chinese-oriented Korean vocabulari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scores of type 2 words between groups in both text 1 and text 2.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score of type 1 words between groups in text 2. However, presenting Chinese characters adjacently to the type 3 Chinese-oriented Korean words could be effective or ineffective in occasion. Writing Chinese character adjacently to the Chinese-oriented Korean words makes Chinese Korean learners combine the meaning of each Chinese character with the contextual information in inferring the precise meaning of unknown Chinese-oriented Korean words. Therefore writing Chinese character adjacently to the Chinese-oriented Korean words could facilitate the incidental learning of Chinese-oriented Korean word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writing Chinese character adjacently to the Chinese-oriented Korean words, which had been estimated only in theory, were examined. Thu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ome guidelines on composing KFL textbooks and working materials, Korean vocabulary books and academic books used in Korean universities for the Chinese learners of Korean with a general or academic purpose.;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및 한국 내 중국인 유학생들이 급증하고 있는 최근의 추세에 맞추어, 한자 병기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우연적 한국 한자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우연적 한자어 학습에 가장 효과적인 한자어의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집단 별로 한자가 병기된 읽기 텍스트와 한자가 병기되지 않은 읽기 텍스트를 각각 1개씩 읽게 한 다음, 사전 지식이 없었던 목표어휘에 대한 사후 어휘 평가를 실시하여 각 집단 간의 유의미한 점수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와 관련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자어에 한자가 병기된 읽기 텍스트를 읽음으로써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읽기 과정에서 한국 한자어를 우연적으로 학습할 수 있을 것인가? 둘째, 한자어에 한자가 병기된 읽기 텍스트를 읽음으로써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중 한자어 비교 유형 중 동형동의 관계 한자어를 우연적으로 학습할 수 있을 것인가? 셋째, 한자어에 한자가 병기된 읽기 텍스트를 읽음으로써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중 한자어 비교 유형 중 동의부분이형 관계 한자어를 우연적으로 학습할 수 있을 것인가? 넷째, 한자어에 한자가 병기된 읽기 텍스트를 읽음으로써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중 한자어 비교 유형 중 동의완전이형 관계 한자어를 우연적으로 학습할 수 있을 것인가?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2008년 3월 10일 중국 북경에 소재한 Y대학의 한국어학과 1학년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은 통제집단 사후검사 설계 방식을 취하였고, 한자 병기의 여부를 독립변수로, 사후 어휘 평가 점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두 집단으로 나누어진 실험 참여자들에게는 우선 한자가 병기된 읽기 텍스트 1개와 한자가 병기되지 않은 읽기 텍스트 1개가 집단 별로 교차되어 제공되었고, 이어서 읽기 이해 평가와 회고적 어휘 평가 항목이 포함된 사후 어휘 평가가 실시되었으며, 마지막으로 한자 병기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회고적 어휘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사전 지식이 없다고 판명된 어휘에 대해서만 채점에 반영하였고, 채점 결과는 텍스트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독립표본 t-검정 및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 집단 간 및 집단 내의 평균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효과크기를 함께 보고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읽기 텍스트 상의 한자 병기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우연적 한자어 학습에 대체로 효과적이었다. 목표어휘 선정에 문제가 있었던 텍스트 1의 사후 어휘 평가에 대한 집단 간 비교를 제외한 모든 집단 간 및 집단 내 비교에서 한자가 병기된 텍스트를 읽은 실험집단의 어휘 평가 평균이 한자가 병기되지 않은 텍스트를 읽은 통제집단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특히 목표언휘 선정이 잘 된 텍스트 2의 사후 어휘 평가에 대한 집단 간 비교에서는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의 평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한자 병기는 동형동의 관계와 동의부분이형 관계에 있는 한자어의 우연적 학습에 효과적이었다. 동의부분이형어 문항에 대해서는 텍스트 1과 텍스트 2 모두 실험집단의 어휘 평가 평균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며, 동형동의어 문항에서는 목표어휘 선정이 잘 된 텍스트 2의 어휘 평가 평균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한편, 동의완전이형어는 한자를 병기하는 것이 경우에 따라 도움이 될 수도 있고 방해가 될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텍스트 상의 한자어에 한자를 병기하는 것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로 하여금 문맥 상의 정보와 제시된 한자의 정보를 결합하여 어휘의 의미를 추론하게 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의미 유추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읽기 텍스트 상의 한자 병기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읽기를 통한 우연적 한국 한자어 학습을 촉진시킨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자문화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한자어 학습법의 하나로 거론되어 온 한자 병기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한자문화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일반 목적 및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상의 한자 병기에 대한 하나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한자 병기가 한자문화권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자어 교수법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한 많은 후속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한국어 교재, 한국어 어휘 학습 교재, 대학 전공 교재, 수업 시의 부교재 등을 구성하거나 수업 시 한자 병기의 활용 방안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