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송민-
dc.creator이송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8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1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843-
dc.description.abstract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풍요롭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속에 21세기에 들어와 정보화는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정보 기술의 발전은 경제적 측면을 비롯하여 여가, 문화,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에 이르기까지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청소년 역시 웹서핑, 채팅, 게임 등 주로 컴퓨터에서 즐길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여가 활동이 없을 정도로 인터넷은 청소년의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중매체에 관한 이용과 충족이론을 바탕으로 중학생의 인터넷 이용 패턴의 차이가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서 인터넷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중학생들이 인터넷을 실제 이용하고 있는 모습을 실증적으로 조사하여 사회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학생들의 인터넷 이용은 어떤 패턴을 보이는가? 2. 사회과 학업 성취도는 인터넷 이용 패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자료 수집은 서울시 및 경기도에 위치한 3개 중학교의 38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넷 이용 패턴 중 이용 동기에 관한 항목은 김재휘, 홍재욱(2000)이 사용한 척도 중 중학생에게 적합한 항목을 선별하여 사용하였으며, 사회과 학업 성취도는 중간고사 사회 성적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인터넷 이용 기간 및 이용량과 사회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30개의 인터넷 이용 동기를 6개의 요인으로 분류하기 위해 베리멕스 회전을 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후 개별 학생의 주된 동기 유형을 분류한 후, 각 유형별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이용은 이제 보편적인 현상이 되었다. 모든 중학생이 현재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고, 대부분이 초등학교 때부터 인터넷을 이용해오고 있다. 또한 평일 기준, 매일 적어도 1시간 이상은 인터넷을 한다는 것은 학교와 학원에서 보내는 시간,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의 일상을 인터넷을 하며 보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중학생은 학습과 교육 보다는 오락적인 용도로 인터넷을 이용한다. 남학생은 주로 오락과 게임을 하려는 목적에서, 여학생은 친구들과 채팅을 하려는 목적에서 인터넷을 이용한다. 반면, 소수의 학생만이 학교 숙제나 인터넷 강의를 듣고자 인터넷을 이용한다고 하였는데, 이는 중학생들의 인터넷 이용이 오락적인 용도에만 치우쳐 있음을 알게 해준다. 셋째, 많은 중학생들은 딱히 할 일을 찾기 못해서, 지루한 시간을 보내기 위하여 인터넷을 이용한다. 중학생들이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은 생산적인 행동을 적극적으로 함으로써 만족을 얻고자 하는 동기에서가 아니다. 많은 학생은 남는 시간에 특별한 할 일을 찾지 못해 그저 시간을 보내려는 동기에서 인터넷을 한다. 넷째, 인터넷 이용 시간은 사회과 학업 성취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그 차이가 일관적이지 않다. 평일 인터넷 이용 시간과 한 회 인터넷 이용 시간에 따른 학생 집단은 사회과 학업 성적에 유의한 차이가 있고 대체적으로 이용량이 많아질수록 사회과 성적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두 가지 경우 모두 인터넷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집단이라고 해서 가장 성적이 낮은 것은 아니다. 이는 인터넷을 오랫동안 많이 이용한다고 해서 무조건 성적이 나빠지는 것이 아니라, 도대체 인터넷에서 무엇을 하고 있느냐에 따라 학업 성취도가 결정된다고 결론지을 수 있겠다. 다섯째, 인터넷을 ‘정보 검색과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및 ‘학교 숙제와 인터넷 강의’를 위한 목적으로 이용할 때 사회과 학업 성취도가 높다. 즉 인터넷을 단순히 재미와 흥밋거리로만 여기는 것보다, 정보를 획득하려는 목적으로 활용하며 인터넷을 다양한 용도로 쓸 때 학업 성취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터넷을 ‘정보추구’의 동기로 이용할 때 사회과 학업 성취도가 높고, ‘현실도피’와 ‘대인관계’를 위하여 이용할 때 사회과 학업 성취도가 낮다. 또한 정보추구의 동기가 강하면 강할수록 사회과 성적이 높아지는 상관관계를 가진다. 다시 말해 인터넷은 이제 청소년들 모두가 사용하는 대중적이고 보편적인 매체로서 전반적인 이용패턴이 학업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학생들이 어떠한 동기로 인터넷을 이용하느냐에 따라 사회과 학업 성취도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본 연구의 과정에서 입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패턴의 차이가 사회과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정보화 사회에 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특성에 적합한 사회과 교육의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재정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통신기기를 학습에 유익하고 긍정적인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In 21C, informationalization has been rapidly progressed in expectation that human lives will be more convenience and affluent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al technology have brought great changes in economy, leisure, culture, human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Especially the internet influences many parts of juveniles' daily life because they spend most time in web surfing, chatting and doing computer ga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iddle school students' patterns of using internet and their social studies records with the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about mass media.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follows. 1. How are middle school students' patterns of using internet? 2. Does the patterns of using internet influence the social studies records? In order to identify this relationships, 382 students in 3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do were surveyed for 24 items. The patterns of using internet consist of using place, time, purpose, motivation and so on. In measure motivation of using internet, the scale suitable middle school students in used for internet users by Jae-Hwi Kim and Jae-Wook Hong(2000) was chosen and used. And to measure social studies records, used scores of social studies in mid-term exam. The analysis of data was carried out using SPSS 12.0 program and technical statistic and frequency analysis was calculated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ANOVA and correl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he social studies records according to terms of using internet and amount of use. And factor analysis rotated Varimax classified 30 questions about motivation of using internet to 6 factors. Then ANOVA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he social studies records according to each motivation type after grouped by motivation typ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now a days using internet is universal phenomenon. All of middle school students use internet now, most of them have used internet si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 weekday, they use internet everyday at least an hour that means they always use internet except time at school, educational institute and sleeping.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use internet for amusement than learning. Male students' main purposes are games and female students' are chatting with their friends. But small number of students use internet for homework and e-learning. Third, numbers of students use internet just they have nothing to do and spend a dull time. That is not only productive acts and gets satisfaction but spends a tedious time. Fourth, time assigned for using internet influences social studies records but differences of scores are inconsistent. It shows that the important thing in students' learning is not time for surf internet but purposes and motivations. Fifth, students who using internet for 'getting information and downloading software' and 'homework and e-learning' make a better grades in their studies. And last, students whose motive of 'pursue information' to use internet are good at social studies learning. On the other side, students who are motivated by 'escape from the reality' and 'personal relationship' in using internet make a bad social studies records. Also students have strong 'pursue information' motivation, they shows increasing of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learning. In other words, using internet patterns have so much influences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social studies learning. Especially the motivation of using internet affects the social studies records.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offer basic material to set new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the social studies as a important subject 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by analyzing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patterns of using internet on the social studies records based on evidence. The author of this research expect that the follow-up researches will be continually carried out based on this research to develop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s for the various teaching metho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문제 및 연구의 제한점 = 4 C. 선행 연구 검토 = 6 1. 인터넷 활용 방식에 따른 학업 성취의 차이 = 6 Ⅱ. 이론적 배경 = 9 A. 현대 사회와 인터넷 = 9 1. 정보사회의 대중매체 인터넷 = 9 2. 인터넷과 청소년 문화 = 11 B. 대중 매체에 관한 이용과 충족 이론 = 14 1. 이용자 충족 이론의 기본 가정 = 14 2. 인터넷에 대한 이용 충족적 접근 = 17 Ⅲ. 연구 방법 = 21 A.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21 B. 조사절차 = 22 C. 측정도구 = 23 1. 인터넷 이용 패턴 = 23 2. 사회과 학업 성취도 = 24 D.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 24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 25 A. 인터넷 이용 환경 = 25 B. PC방 이용 실태 = 28 C. 중학생의 인터넷 이용 패턴 = 31 D. 인터넷 이용 패턴과 사회과 학업 성취의 관계 = 40 1. 인터넷 이용 시간과 학업에 임하는 시간 = 40 2. 인터넷 이용 시간과 사회과 학업 성취도 = 42 3. 인터넷 이용 목적과 사회과 학업 성취도 = 48 4. 인터넷 이용 동기와 사회과 학업 성취도 = 5. 분석 결과 요약 = 62 Ⅴ. 결론 및 제언 = 66 A. 결론 = 66 B. 제언 = 70 참고문헌 = 71 부록 = 73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21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생의 인터넷 이용 패턴과 사회과 학업 성취의 관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s of using internet and social studies records-
dc.creator.othernameLee, Songmin-
dc.format.pageix,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